• 제목/요약/키워드: apotracheal parenchym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아옥목 식물 줄기에서 이기목부인 비교해부 (Comparativ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Stem of Malvales Plants in Korea)

  • 임동옥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67-75
    • /
    • 1991
  • 한국산 아욱목 식물 4과, 5속 10종의 목부 해부학적 형질을 비교 관찰하여 과 및 속간의 목부의 특수화 정도를 검토하였다. 담팔수과 담팔수속의 목부는 산공재로서 각상 도관이 주로 방사배열(2-14 세포폭)이고 이관 및 반관유조직이 드물게 나타난다. 산공재로서 단독분포도관과 유조직이 계단상 1열대를 보이는 피나무과 식물 중 피나무속은 도관이 각상이고, 방사조직이 절화와 타일세포가 존재하며 장구밥나무속은 원형도관을 보인다. 아욱과 무궁화속은 환공재로 도관은 원형 단독분포이며 유조직이 2열로 나타난다. 그리고 벽오동과 벽오동속은 환공재로 원형 단독분포이며, 반관연합익상 및 이관 다열 유조직이 나타난다. 그리고 유조직에는 전분과립이 많이 나타난다. 도관요소의 배열, 모양, 길이, 직경 및 청공판 각도와 주축유조직의 분포 등의 특징에 의한 이들 과간의 계통순서는 담팔수과(담팔수속) 피나무과(피나무속 장구밥나무속) 아욱과(무궁화속) 벽오동과(벽오동속) 순으로 사료된다.

  • PDF

대학의 식물형태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유관속조직의 구조에 관한 용어의 분석 (Analysis of Some Korean Terminologies on the Structures of Vascular Tissues in Plant Morphology)

  • 이규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19-929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의 식물형태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유관속조직의 구조에 관한 용어들 가운데,교재 또는 저술자에 따라 다르게 번역되어 쓰이고 있는 한글 용어들의 합리적인 표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되는 일반생물학,일반식물학,식물형태학 등 14종의 교재에서 서로 다르게 표기되어 있는 대표적인 12개 용어의 어원과 정의를 조사 분석한 결과 제시된 한글 용어의 표기는 다음과 같다. 즉 목부(木部,물관부)의 구조에 관한 용어로서 "apotracheal parenchyma"는 "도관분리형유조직(導管分離形柔祖熾)" 으로 표기하고, "paratracheal parenchyma"는 "도관연접형유조직(導管連接形柔組織)"으로,"tylose"는 "전충체(塡充體)"로 표기하는 것이 적합하다. 벽공(壁孔)의 구조에 관한 용어로서 "simple pit"는 "단순벽공(單純壁孔)"으로 표기하고, "bordered pit"는 "유연벽공(有緣壁孔)"으로,"aspirated bordered pit"는 "흡착유연벽공(吸着有緣壁孔)"으로,"pit aperture"는 "벽공구(壁孔口)"로 표기하는 것이 합당하다. 그러고 중심주(中心柱)의 구조에 관한 용어로서 "haplostele"은 "단순중심주(單純中心柱)"로 표기하고, "actinosteIe"은 "방사중심주(放射中心柱)"로, "plectostele"은 "습곡중심주(褶曲中心柱)"로,"solenosteIe"은 "통로중심주(通路中心柱)"로 표기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식물학 분야를 가르치는 교수자와 배우는 학습자들 사이에 생물학적 개념을 올바르게 전달하고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재(古材)의 구조(構造)와 수종식별(樹種識別)(제(第) 1 보(報)) -제주도지방(濟州道地方)에 있어서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목조건축재(木造建築材)- (Structure and Identification of Ancient Wood (I) -Construction Wood of Yi-dynasty m Jeju Province-)

  • 박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15-23
    • /
    • 1978
  • This report observed for anatomical structure and identified species of small wood debris collected at Chungi-Hyankyo, Yunbuk-Chung, Jeju-Hyankyo, Teachung-Hyangkyo and Kwanduk-Chung in Jeju province constructed in a central period of Yi-dynasty, and now named as local cultral assets. 1. Sample of Chungi-Hyangkyo is gymnosperm with window-like pit, axial and radial cannal & dentate ray tracheid. This sample with identified with Pinus densiflora or Pinus thunbergii. 2. Samples of Yunbuk-Chung and Jeju-Hyangkyo are diffuse porous wood having small vessels with scalariform perforation plates scattered almost equally in annual ring, possess heterogenus ray parenchyma & banded apotracheal parenchyma. This sample is identified with Distylium racemosum. 3. Sample of Teachung-Hyangkyo is ring porous wood composed of big vessels of pore zone and compound vessels outside pore zone. It also has simple perforation plates, tylosis, homogenlls uniseriate ray parenchyma & diffuse parenchyma This sample is identified with Castanopsis cuspidata. 4. Sample of kwanduk-Chung is ring porous wood composed of big vessels of pore zone and compound vessels outside pore zone. It has simple perforation plates, heterogenus ray parenchyma, crystal, vasicentric parenchyma. This sample is identified with Zelkova serrata.

  • PDF

국산(國産) 활엽수재(闊葉樹材) 자원(資源)의 목재조직(木材組織) (II) - 가래나무과(科) 수목(樹木)의 비교목부조직(比較木部組織) - (Wood Anatomy of Some Korean Angiosperm (II) - A Comparative Wood Anatomy of Juglandaceae -)

  • 박상진;강애경;김유정;김재우;이정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82-87
    • /
    • 1995
  •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genus Platycarya, Juglans and Pterocarya of Juglandaceae occurring in Korea were described and coded based on the IAWA list. Juglandaceae are ring-porous or semi-ring-porous. Vessels have simple perforation plates and helical thickenings in some genus. Axial parenchyma cells were abundant, most apotracheal but rarely paratracheal and rays with 1-5 seriate. Platycarya is ring-porous wood with 2-3 rows of vessels in the pore zone. Helical thickenings were found only in small vessel of latewood. Axial parenchyma were commonly diffuse-in-aggregates or vasicentric. Rays 3-5 seriate. belonging to Kribs' heterogeneous II or III type with frequent occurrence of rhomboidal crystals. Juglans are semi ring-porous with few vessels in $mm^2$ and pores are commonly solitary. Axial parenchyma were diffuse-in-aggregate or marginal. Rays were mostly homocellular and 3-5 seriates. Pterocarya is similar to Juglans in anatomical features but the reticulate parenchyma consisting of 1 layer on transverse section and biseriate rays.

  • PDF

한국산 두릅나무과 식물 줄기에서 2기목부의 비교 해부 (Comparativ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stem of Araliaceous Plants in Korea)

  • 박동옥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45-355
    • /
    • 1993
  • 한국산 두릅나무과 식물 7속 11종의 목부해부학적 형질을 비교관찰하여 속간 목부의 특수화 정도를 검토하였다. 송악속은 산공재로서, 각상도관이 집합배열하고, 도관끝벽은 단천공이고 측벽은 호생벽공이었으며 방사조직은 오직 횡주세포로 구성된 동성 II형이었다. 황칠나무속은 환공재이며 각상의 추재부 소 도관들은 접선대상배열, 단천공 및 호생벽공의 특징을 보였고 방사조직에 간혹 수평수지도가 내재된 이성 II형이었다. 팔손이속은 산공재이고 각상도관이 접선대상배열이고, 계문상천공, 계문상 벽공 및 측벽에 나선비후가 나타났으며, 방사조직은 이성 II형이었다. 음나무속은 환공재이고, 환상의 소 도관은 접선대상배열이며, 단천공 및 호생벽공 그리고 이성 II형의 방사조직이 나타났다. 그 중 음나무는 도관내 격벽의 형태를 갖는 진충체를 가졌으나, 가는잎음나무에서는 격벽의 형태를 찾아 볼 수 없었다. 땃두릅나무속은 환공재이며 각상도관이 접선대상배열이고, 단천공 및 계문상 벽공 그리고 격벽형태를 갖는 진충체가 나타났으며 방사조직은 직립세포로만 구성된 paedomorphic type I이었다. 오갈피나무속은 산공재이며 각상도관이 접선대상배열, 단천공 및 호생벽공의 특징을 보였다. 본 속에서 오갈피나무는 이성 II형의 방사조직과 이관유조직 그리고 격벽형태를 갖는 진충차가 나타났다. 가시오갈피는 직립세포로만 구성된 paedomorphic type I의 방사조직과 격벽형태인 진충체가 나타났다. 섬오갈피와 오가나무는 이성 II형의 방사조직이 나타났으나, 진충체는 없었다. 두릅나무속은 환공재이고 환상도관이 접선대상배열, 단천공과 호생벽공, 그리고 격벽형태와 망상구조를 한 진충체가 나타났고, 이성 II형의 방사조직도 보였다. 도관요소의 배열, 모양, 길이, 직경 및 천공판의 각도와 방사조직의 형태 등에 의한 이들 특수화 순서는 가장 원시적인 팔손이속으로부터, 송악속, 오갈피나무속, 땃두릅나무속, 황칠나무속, 음나무속 그리고 두릅나무속 순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