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stem of Araliaceous Plants in Korea

한국산 두릅나무과 식물 줄기에서 2기목부의 비교 해부

  • 박동옥 (호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Anatomical study of the secondary xylem in Araliaceous plants, induding 7 genera and 11 species grown in Korea,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among genera in the family. Wood of Hedera has difbse porous and shows ulmiform pattern of angular vessels, simple perforation plate, and alternate pitting. In addition, its ray is homogeneous type II with only procumbent ray cell. Ring porous wood of Dendropanax shows ulmiform of angular vessels, simple perforation plate, alternate pitting, and heterogeneous type II ray, which has sometimes horizontal secretory cavity. Fatsia has diffuse porous wood, which shows ulmiform of angular vessels, scalariform perforation plate (3-9 bars), scalariform pitting, spiral thickening in the lateral wall of vessel, and heterogeneous type II ray with sheath cells. Kalopanax has ring porous wood, which shows ulmiform of circular vessels, simple perforation plate and alternate pitting, and heterogeneous type II ray. While K pictum appears tylose with septum, K pictum var. maximowczii appears tylose without septum. Echinopanax shows ring porous wood, ulmiform of angular vessels, simple perforation plate, scalariform pitting, and tylose with septum. And the ray of Echinopanax is paedomorphic type I composed of only upright cells. Acanthopanax genus is composed of diffuse porous wood, ulmiform of angular vessels, simple perforation plate and alternate pitting. In this genus, A. sessiliflorus has heterogeneous type II ray, apotracheal axial parenchyma and tylose with septum. A. senticosus appears paedomorphic type I with only upright cells, and tylose with septum. A. koreanum and A. sieboldianum have heterogeneous type II ray but have not tylose. Aralia is composed of ring porous wood, ulmiform of circular vessels, simple perforation plate, alternate pitting, heterogeneous type II ray, and tylose contained both septum and reticulate. On the basis of arrangement, shape, length and diameter of vessel element, the angle of end wall to vessel axis, and ray type, the line of specialization in these genera is as follow: from Fatsia, the most primitive, to the most highly specialized Aralia, throughout Hedera, Acanthopanax, Echinopanax, Dendropanax, and Kalopanax by turns. turns.

한국산 두릅나무과 식물 7속 11종의 목부해부학적 형질을 비교관찰하여 속간 목부의 특수화 정도를 검토하였다. 송악속은 산공재로서, 각상도관이 집합배열하고, 도관끝벽은 단천공이고 측벽은 호생벽공이었으며 방사조직은 오직 횡주세포로 구성된 동성 II형이었다. 황칠나무속은 환공재이며 각상의 추재부 소 도관들은 접선대상배열, 단천공 및 호생벽공의 특징을 보였고 방사조직에 간혹 수평수지도가 내재된 이성 II형이었다. 팔손이속은 산공재이고 각상도관이 접선대상배열이고, 계문상천공, 계문상 벽공 및 측벽에 나선비후가 나타났으며, 방사조직은 이성 II형이었다. 음나무속은 환공재이고, 환상의 소 도관은 접선대상배열이며, 단천공 및 호생벽공 그리고 이성 II형의 방사조직이 나타났다. 그 중 음나무는 도관내 격벽의 형태를 갖는 진충체를 가졌으나, 가는잎음나무에서는 격벽의 형태를 찾아 볼 수 없었다. 땃두릅나무속은 환공재이며 각상도관이 접선대상배열이고, 단천공 및 계문상 벽공 그리고 격벽형태를 갖는 진충체가 나타났으며 방사조직은 직립세포로만 구성된 paedomorphic type I이었다. 오갈피나무속은 산공재이며 각상도관이 접선대상배열, 단천공 및 호생벽공의 특징을 보였다. 본 속에서 오갈피나무는 이성 II형의 방사조직과 이관유조직 그리고 격벽형태를 갖는 진충차가 나타났다. 가시오갈피는 직립세포로만 구성된 paedomorphic type I의 방사조직과 격벽형태인 진충체가 나타났다. 섬오갈피와 오가나무는 이성 II형의 방사조직이 나타났으나, 진충체는 없었다. 두릅나무속은 환공재이고 환상도관이 접선대상배열, 단천공과 호생벽공, 그리고 격벽형태와 망상구조를 한 진충체가 나타났고, 이성 II형의 방사조직도 보였다. 도관요소의 배열, 모양, 길이, 직경 및 천공판의 각도와 방사조직의 형태 등에 의한 이들 특수화 순서는 가장 원시적인 팔손이속으로부터, 송악속, 오갈피나무속, 땃두릅나무속, 황칠나무속, 음나무속 그리고 두릅나무속 순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