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hid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1초

콩에서 흡즙해충 싸리수염진딧물 저항성 자원의 발굴 (Resistance Resources for the Foxglove Aphid in Soybeans)

  • 고홍민;박수민;김경혜;김지민;이택림;허진호;이주석;정진교;강성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257-264
    • /
    • 2018
  • 작물의 병해충 발생은 환경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발생하며 현재 기후의 급격한 변화는 해충류의 급격한 발생빈도 증가를 야기하여 궁극적으로 안정적인 식량 공급의 위협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콩 재배에 있어 많은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한 저항성 검정지표설정과 저항성 자원발굴을 실시하였다. 기존 콩진딧물에서 사용하는 검정지표는 이동성이 높은 싸리수염진딧물에서 조사의 어려움 있어 비가림온실과 생장상에서의 진딧물 피해 정도를 분석 한 결과를 토대로 싸리수염진딧물 검정지표를 검정한 결과 싸리수염 진딧물은 식물의 피해정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났고, 간편하게는 접종 14일 후 최초 접종엽의 피해 정도가 싸리수염진딧물 검정지표로 가장 우수하였다. 국내 콩 유전자원의 재배종과 야생종 1,115점의 자원에 대한 Choice test 결과 재배종 23점과 야생종 44점으로 총 67개의 저항성 자원을 선발하였으며 No-Choice test를 통해 재배종에서 8점, 야생종에서 23점으로 항생성을 가진 31개의 유전자원을 선발 할 수 있었다. 선발된 저항성 자원은 생존성 검정결과 선발된 저항성자원에서 진딧물의 생존성이 매우 낮았으며 항생성과 비선호성간에 저항성 반응도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밝혀진 싸리수염저항성 검정지표 및 선발된 자원은 금후 해충저항성 품종개발과 기작구명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진딧물과 응애 가해에 의한 옥수수 F1의 수량감소율 과 저항성계통 선발 (Screening of Resistant Lines and Yield Losses to F1 Corn from Feeding by the Aphid and Mite)

  • 이준수;김순권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55-564
    • /
    • 2010
  • 본 연구는 14개 육성 $F_1$을 이용하여 진딧물과 응애 가해에 의한 옥수수의 수량감소율과 저항성 자식계통을 선발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진딧물 가해에 의한 수량감소율은 종실중(18.4%), 이삭장(10.9%), 이삭직경(1.7%), 100립중(5.4%), 종실 길이(2.3%), 종실 폭(1.5%), 종실 두께(-0.2%)이었다. 조사항목에 대한 수량감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딧물은 종실중과 이삭직경이 높은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r=0.83^{**}$), 그 다음으로 100립중과 종실 길이($r=0.74^{**}$), 종실폭($r=0.69^{**}$)이었다. 반면 이삭장과 종실 두께는 상관관계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응애 가해에 의한 수량감소율은 종실중(49.7%), 이삭장(16.5%), 이삭직경(7.5%), 100립중(20.7%), 종실 길이(18.9%), 종실 폭(9.5%), 종실 두께(-3.4%)이었다. 진딧물 보다 응애 가해 시 감소율은 종실중 2.7배, 이삭장 1.5배, 이삭폭 3.9배, 100립중 3.9배, 종실 길이 10.5배, 종실 폭이 8배 더 컸다. 반면 종실 두께의 감소율은 응애 보다 진딧물 가해시 -0.7배 더 컸다. 응애의 상관관계에서 종실 길이와 종실 폭이 높은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r=0.83^{**}$)가 인정되었다. 그 다음으로 100립중과 종실 길이($r=0.74^{**}$), 종실 길이와 종실중($r=0.69^{**}$)이었다. 반면 종실 두께는 어떠한 조사항목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7가지 조사항목 별 진딧물 가해에 의한 평균감소율 보다 낮은 $F_1$에 많이 이용된 자식계통은 KS7, B68, 61B3, 70A1, KS5이었고, 응애 가해에 의한 평균감소율 보다 낮은 $F_1$에 많이 이용된 자식계통은 KS7, B68, 61B3, 66B2-4, 70A1, 72B2, KS5이었다. 이들 자식계통은 추 후 진딧물 과 응애 저항성 자식계통 육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무우바이러스병과 매개진딧물과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Virus Diseases and Aphid Vectors in Radish Fields)

  • 최홍규;소인영;박건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8-36
    • /
    • 1984
  • 무우의 바이러스 이병율과 매개진딧물 비래밀도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전주지방에 무(Raphanus sativus L. var. Chungsu gungjung)를 파종하고 1982년 4월부터 11월 사이에 실시하였다. 진딧물 비래밀도는 황색수반으로 채집하고, 바이러스 이병율은 병징을 육안으로 조사하였다. 전주지방의 진딧물 비래밀도는 5월 하순과 10월 중순에 최성기를 나타냈으며 매개진딧물의 비래분포도 같은 경향이었다. 무우의 바이러스병 매개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ticae), 무우테두리 진딧물(Lipaphis erysimi), 목화진딘들(Aphis gossypii),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이 채집되었고, 전체진딧물 대 매개진딧물의 비율은 $62.82\%(39.260/62.499)$이었다. 매개진딧물중 복숭아혹진딧물이 $82.53\%(32.401/39.260)$로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춘계의 바이러스 이병율은 급상승하며 높은데 비하여 추계의 바이러스 이병율은 완만하면서 낮았다. 매개진딧물의 밀도상승과 바이러스 이병율간의 상관관계는 춘계는 $r=0.7414^*(\hat{Y}=8.1444+0.0551X)$, 추계는 $r=0.9117^{**}(\hat{Y}=10.2590+0.463X)$로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 매개진딧물의 비래와 바이러스 병징발현간에는 약 15일의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병의 이병주 보존구가 이병주 제거구보다 발병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의 imidacloprid에 대한 저항성 기작 (Resistance Mechanisms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Homoptera: Aphididae), to Imidacloprid)

  • 최병렬;이시우;유재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5-271
    • /
    • 2001
  • Imidacloprid에 저항성을 보이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몇가지 저항성 기작을 조사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에 약제를 처리한 후의 체벽잔류량은 처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되었으나 감수성계통과 저항성계통 간에 체벽침투력의 유의성은 없었다. 체내잔류량은 양 계통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되었으며 감수성에서 많았다. 배설량은 저항성계통이 감수성계통보다 많아 약제 대시가 빠르게 나타났다. Imidacloprid 저항성계통의 acetylcholine-sterase (AChE) 활성은 감수성계통 보다 약 1.4배 높았으며, imidacloprid는 AChE를 저해하지 않았다. 저항성계통에 대해 산화효소 저해제인 PBO(piperonyl butoxide)와 esterase 저해제인 IBP (iprobenfos)를 혼합하여 사용한 결과 Imidacloprid : PBO의 비율은 1 : 1과 1 : 5에서 각각 69.4, 250배의 독성을 보였으며, IBP와 혼합사용(1 : 1과 1 : 5)에서는 각각 227, 80.6배의 독성을 보였다. 감수성계통에 PBO와 IBP를 imidacloprid와 같은 비율로 혼합처리 하였을 경우 단독처리와 독성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alpha$-naphtyl butyrate와 $\beta$-naphtyl acetate 기질을 사용하여 비특이적 ester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항성계통의 감수성 계통보다 esteraseghkf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imidacloprid 저항성 복숭아혹진딧물의 저항성 기작에는 산화효소와 esterase가 관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담배포장에서의 복숭아혹진딧물 체색형별 발생과 생태적 특성 (Occurrenc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our Morphs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Homoptera : Aphididae) in Tobacco Field)

  • 손준수;송유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6-83
    • /
    • 1994
  • The dominant colour - types of fundatrices of green peach aphid, Myzsts persicae 5. were yellow - green, red and green. Yellow type was the minority among nymphs produced by field collected alatae. Rate of producing dead nymphs was over 34.0% in red and yellow types apterae grown from tobacco plants in early summer. Brown and green were the dominant colour - type in apterae throughout tobacco growing season. Brown type on tobacco, and yellow type on hot pepper and tomato grew better and produced more nymphs than other colour - types.

  • PDF

Dactynotus 진딧물의 국내 미기록 곤충병원성 곰팡이, Zoophthora phalloides에 관한 보고 (Zoophthora phalloides Batko (Zygomycetes: Entomophthoraceae), a Fungal Parasite of the Aphid Dactynotus species in Korea)

  • 윤철식;성기호;이승환;윤태유;이정운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413-415
    • /
    • 1998
  • 국내 미기록 곤충병원성 곰팡이, Zoophthora phalloides를 1998년 6월경 수원 농업과학기술원 및 전남진흥원내의 망초에 기생하는 진딧물(Dactynotus sp.)에서 발견하였다. 이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Z. phalloides를 보고하며, 형태적 특징을 기재한다. 이 균은 소세지 모양의 1차포자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며, 평균길이가 $28.98\;{\mu}m$이었다. 또한 1차포자에서는 두 종류의 2차 분생자병을 형성하였는데, 발아관처럼 짧고 굵거나 긴 막대모양을 띄었고, 각각의 분생자병 끝에서 2차포자가 만들어졌다.

  • PDF

Laboratory and Field Evaluations of Entomopathogenic Lecanicillium attenuatum CNU-23 for Control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 Kim, Hyang-Yeon;Lee, Hyang-Burm;Kim, Young-Cheol;Kim, In-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2호
    • /
    • pp.1915-1918
    • /
    • 2008
  • An entomopathogenic fungus was isolated from an infected aphid. The isolate conformed most closely to Lecanicillium attenuatum CBS 402.78 (AJ292434) based on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its 18S rDNA, and thus was designated L. attenuatum CNU-23. Laboratory and field evaluations of CNU-23 blastospores were carried out for the control of green peach aphids. The laboratory evaluations of CNU-23 revealed an aphid mortality of about 80% with an estimated $LT_{50}$ of 3.72 days after the application of CNU-23 at $1{\times}10^6$ blastospores/ml. Meanwhile, the field evaluations of CNU-23 performed on greenhouse pepper plants during the rainy season showed an aphid mortality ranging from 72% to 97%. Significant sporulation was observed in the aphids treated with CNU-23.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L. attenuatum CNU-23 can be used as a biocontrol agent for green peach aphids on greenhouse pepper plants.

먹이 곤충에 따른 Orius strigicollis(Poppius)의 발육과 산란 (Development and oviposition of Orius strigicollis (Poppius) (Hemiptera: Anthocoridae) reared on three different insect preys)

  • 김정환;한만위;이건형;김용헌;이정운;인치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6-171
    • /
    • 1997
  • 총채벌레류의 유력천적인 Orius strigicollis의 연중 실내사육에 적합한 대체먹이를 선발하고자 먹이 곤충으로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 긴털가루응애를 각각 급여하여 O. strigicollis의 발육과 산란수를 $25\pm$$1^{\circ}C$, RH60-80%, 16L:8D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약충기간 중 생존율과 발육기간은 목화진딧물 급여시 81.6%와 11.6일, 점박이응애 급여시 56.7%와 14.6일, 긴털가루응애 급여시 42.3%와 16.5일 이었으며, 성충기간 중 총산란수는 목화진딧물 급여시 68.5개, 점박이응애 급여시 46.1개, 긴털가루응애 급여시 26.5개로 3종의 먹이곤충 중 목화진딧물 급여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Controlling the Aphis gossypii Glover (Homoptera, Aphididae) on Cucumber of Entomopaht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 Kang, Min-Ah;Youn, Young-Nam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127-136
    • /
    • 2008
  •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는 미생물 살충제로서 다양한 해충들을 방제하는데 사용해오고 있다. 최근에 B. bassiana TBI-1균주가 두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생물학적 방제 인자인 B. bassiana TBI-1를 목화진딧물에도 어느 정도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B. bassiana TBI-1 균주를 처리한 후 일주일 동안 평균 진딧물의 증가율은 0.21로 나타났으나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0.24의 증가율로 약간 높게 나타나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백강균의 처리구에서 진딧물의 평가 증가율이 0.03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이 잎에 B. bassiana TBI-1 균주에 의하여 붉은빛 곰팡이의 형태로 죽은 진딧물의 죽은 흔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적정농도로 B. bassiana TBI-1을 처리하면 목화진딧물의 개체군 증가율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 효과적으로 진딧물을 방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