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artment building arrangement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PLC 모뎀설계를 위한 옥내 배선 특성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Distribution Line for PLC Modem Design)

  • 홍덕표;이진목;최재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524-1526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basic line constants in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n the residential building. An apartmen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onventional residences to get the line constants in this paper and Agilent 4263B LCR Meter is used to measure the detailed values each area and the specific results and the averaged analysis data are shown in the tables. The measured results no different from the calculated values with using conventional formula due to the line arrangement neglected factors, complex permittivity, and etc. Also, this paper describes many kinds of lines and wiring figures of domestic construction. Finally, it is utilized with the analyzed line characteristics in frequency domain as a planning reference of PLC.

  • PDF

실측을 통한 공동주택 단지 내에서의 온열환경 및 거주자 쾌적감 평가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n Thermal Environment and Human Thermal Comfort in Residential Building Block through Field Measurement)

  • 임종연;황효근;송두삼;김태연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11-317
    • /
    • 2008
  • As outdoor environment become worse due to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large citie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ntrol strategies such as the arrangement of green space or water space and ventilation paths,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However, most of the studies focus on the assessment on outdoor thermal environment, few studies focu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rmal environment in residential block and human thermal comfort.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outdoor planning method to reduce the heating/cooling load in an apartment unit or entire block by the sustainable approaches in outdoor environmental design. In this paper, on the basis of the prior studies, the effect of the outdoor thermal environment on human thermal comfort will be analysed.

  • PDF

풍향에 따른 건물군에서의 열환경 변화 (Change of thermal environment in buildings by wind direction)

  • 김상진
    • KIEAE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27-32
    • /
    • 2012
  • In recent years, the quality of the outdoor thermal environment has come to be regarded as important as that of the indoor thermal environment. Since the outdoor thermal environment is composed of many elements and is affected by many factors, it is not easy to evaluate the impact of each factor separately. Hence, a comprehensive assessment method is required. In order to evaluate the pedestrian level comfort of an outdoor climat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not only wind velocity but also various physical elements, such as temperature, moisture, radiation, etc. Prediction of wind and thermal environment for a large scale building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rgets for research. Wind and thermal change in a city area is a very complicated phenomenon affected by many physical proc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plan for wind environment at a large Buildings. In this study, we analyze outdoor wind environment and thermal environment on buildings using the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ethod. The arrangement of building models is an apartment in Jeonju. These prediction of wind and thermal environment for a large scale buildings is necessary in a plan before a building is built.

CFD 모델을 이용한 도시 재정비 사업에 의한 NOX 분포 변화 모의 (CFD Simulation of Changesin NOX Distribution according to an Urban Renewal Project)

  • 김지현;김연욱;도현석;곽경환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3호
    • /
    • pp.141-1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CFD) 모델을 이용한 수치 모의에서 춘천시 약사지구 도시 재정비 사업에 의한 약사천 복원과 아파트 단지 건설이 주변 지역의 오염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업에 의한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도시재정비 사업 전과 후인 2011년과 2017년의 지형 자료를 이용하여 바람장과 오염물질 농도장을 모의하였다. 수치 실험에서 아파트 단지 건설의 영향과 하천 복원의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하도록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대상 지역의 평균적인 배경 바람장을 반영하기 위해 춘천 종관기상관측소(ASOS)의 풍향 및 풍속 자료를 유입 경계 조건으로 사용하고, 모의 결과를 유입 풍향의 8방위별 빈도에 따라 가중평균하였다. 시나리오 간 건물·지형 변화에 따른 풍속과 NOX 농도 분포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주변 도로에서 배출된 NOX 농도는 아파트 단지 건설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단지 건설과 하천 복원을 함께 고려한 결과에서는 증가 폭이 감소하였다. 이를 지점별로 나누어볼 때, 복원한 하천 주변으로는 NOX 농도가 감소하는 한편, 건설한 아파트 단지 주변으로는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아파트 단지 주변의 NOX 농도 증가는 풍향을 기준으로 아파트 단지의 후면에 위치한 곳에서 더욱 뚜렷하였으며, 그 영향은 건물 높이까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업 대상 지역의 주풍향에 대한 아파트 단지 건설과 하천 복원의 상대적인 배치가 주변 대기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아파트 실의 발코니 확장으로 인한 실의 장단변비 변화와 거주자의 선호도 조사 (The Analysis of User Preference of the Room W/D Ratio Changed by Merging Balcony to Room)

  • 진경일;안병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1호
    • /
    • pp.104-111
    • /
    • 2003
  • Most 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are preferred to have maximum interior spaces, rather than consider its original design, overall building performance, and any other aspects since early 1990's. Especially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balcony has been merged to living room to get more interior spaces and this renovation trends have been producing deep and narrow shapes of living rooms that was not initially intended by architects. On the other hand, the same gross area of each unit does not necessarily mean same width and depth ratio of each residential unit. Generally, we can categorize it to the deep or wide unit based on its width and depth ratio.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nalyzes the room usage pattern changes based on the space width and depth ratio and the effect of expansion of room space to the balcony. This study also includes about 180 apartments plan case studi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mong w/d ratio changes, furniture arrangement types, and room configurations. In this research, general apartment room w/d ratios are 0.97 ∼ 1.23; 0.7(south facing sitting room), 1.23(south facing bed room), and 0.95(north facing bedroom). But, after expanding room space to balcony w/d ratio increased as follows; sitting room become 1.31, general south facing bedroom become 1.23, and north facing bedroom become 1.45. In addition to user preference of w/d ratio, many people prefer rectangular room shape a little(w/d ratio is 0.9 or 1.2) than square style (w/d ratio is 1.0) or very deep room style (w/d ratio Is more over 1.5). Accordingly, expanding the room space to balcony may make unsatisfactory room w/d ratio. Expanding room space to balcony should be considered by existing room w/d ratio.

전력선 통신 시스템 설계를 위한 주택배선의 선로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Distribution Line for Design of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s)

  • 홍덕표;최재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99-10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주택에서 전력선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PLC)을 위해 기본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선로정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주택의 표준적인 선로정수 분석을 위해서 국내 주택의 보편적인 형태의 아파트를 모델로 하였으며 Agilent 4263B LCR Meter를 이용하여 구간별로 세부적인 측정을 하여 구체적인 결과를 표로 나타내고 평균을 취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한 결과 일반적인 수식으로 계산한 값과는 선로배열, 기본적으로 무시된 전제조건과 복소 유전율 등으로 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 주택의 시공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와 배선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선로 특성을 주파수영역에서 분석하여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설계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양 문화마을 주택의 평면 특성을 통해 본 최근 농촌주거의 공간 디자인 경향 (Contemporary Space Design Trends on the Floor Plan Analysis of Rural Houses in So-yang Munhwa Village)

  • 최병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65-72
    • /
    • 2006
  • This study was to and out contemporary space design trends of rural houses in So-yang Munhwa village by analyzing their floor plan shapes and space relations & elements of floor plans. There were built 71 houses in that village but it were possible to collect housing data, floor plans & general building records of 41 houses, from house register. By analyzing those data, findings were as follows : 1) Floor plan shapes of rural houses had a tendency to be diverse, various form of 'ㅋ' than simple form of 'ㅡ'. 2) Room-Living-Room, 3 bay arrangement was very strong trends, and traditional planning characteristics that the openness of living space was keeping. 3) Anbang(master bedroom) and living space were important, so two spaces were set forth of floor plan and Anbang with a bathroom were often showed. 4) DK space and its relation to other spaces were important factor to classily 2 floor plan types of them. 5) DK(dining kitchen) space had an openness from back entrance and DK were separated from public spaces L.D.K. Utility or balcony/veranda spaces as a support space of kitchen were planned in rural houses, and they were influenced from apartment houses or urban houses.

초고층 주상복합건축물 입지유형에 따른 높이기준 및 세장비 제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height standard and the slenderness ratio according to location types of Mixed-use Residential Tall buildings)

  • 성이용;김연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779-2788
    • /
    • 2012
  • 현재 주택시장은 주택증가율 상회와 미분양증가, 장기침체로 어려우나 주상복합은 복합화를 위주로 주거시설과 다양한 수요 시설을 조합할 수 있으며 초고층화하여 넓은 오픈스페이스와 우수한 조망을 확보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스카이라인 형성 저해, 건축물의 높이에 의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 입지유형에 따른 높이기준 및 세장비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문헌조사를 통한 용어정리, 선행연구조사를 하고 사례조사로 서울시내의 16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 계획적 차원과 건축물 단위의 높이와 관련한 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입지유형별 높이기준과 세장비를 제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가진다. 첫째,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입지유형별 주상복합의 높이는 부도심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높아지며, 150m이하에서 200m이상으로 제안이 가능하다. 둘째, 세장비는 초고층건축물과 달리 주상복합의 저층부의 면적이 크므로 1:3 이상으로 계획하여 시각통로를 두어 개방성 및 군(群)의 형성에 통일성 있게 계획한다. 셋째,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과 관련한 높이에 있어 특별건축구역제도 수정 및 초고층 관련 특별법을 제정한다.

건축물 내외부의 친환경 구성을 위한 입체녹화의 부문별 디자인 적용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Components of 3D Greenery System for Eco-Friendly Indoor and Outdoor Space of Buildings)

  • 신경선;김원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75-284
    • /
    • 2017
  • 입체녹화가 도시환경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친환경 건축물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국내적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건축물 준공사례를 대상으로 건축물 내 외부에 반영되고 있는 입체녹화의 공간특성을 조사하고 구성체계 및 디자인요소를 분석하여 친환경구성을 위한 부문별 디자인 적용요소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입체녹화는 건축물 내 다양한 외부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형화하는 고밀도 개발형태를 보이며 초기에는 전시, 교육 등 공공시설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공동주택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공동주거 Unit에 다양한 근접공간을 도입하고 사적 공간에서 독립적인 녹화공간을 제시하는 등 거주자의 선호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근접공간을 이용하도록 계획하는 방법은 일률적인 국내 공동주거의 디자인을 지양하고 거주자의 다양한 행위를 유도할 수 있다. 새로운 공간분위기와 다양한 옥외공간으로 인한 커뮤니티 장소들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공동주거의 생활패턴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마을공동체를 조성하는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지의 환경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건축물 형태에 자연지형과 경사로를 이용하는 경향을 뚜렷이 보이고 있어 외부공간 환경조성 디자인요소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