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rtic valve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32초

소아심장판막치환술 (Valve Replacement in Children)

  • 김재현;이광숙;윤경찬;유영선;박창권;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41-346
    • /
    • 1999
  • 배경: 소아에서의 심장판막치환술은 성인에서의 심장판막치환술의 제반문제 이외에도 작은 판막의 혈류역학적 문제, 신체발육에 따른 재수술, 출산 및 항응고요법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심장판막치환술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의 여러 문제점과 해결책을 규명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부터 1997년까지 15세 이하 소아 30명에서 심장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남아가 16명, 여아가 1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3세에서 15세로 평균 연령은 12.1$\pm$3.2세 였다. 판막 부위별로 보면 승모판치환술 15례, 대동맥판치환술 11례, 삼첨판치환술이 3례였으며, 승모판 및 대동맥판치환술이 1례 있었다. 판막질환의 원인을 보면 선천성이 17명, 후천성이 13명이었다. 이용한 판막으로는 조직판막 10례, 기계판막 20례였으며 1985년 이후로는 조직판막은 사용하지 않았다. 기계판막치환 환자에서는 술후 coumadin으로 항응고치료를 지속하였으며, 조직판막치환 환자에서는 술후 3개월간 coumadin을 복용하였다.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는 8명으로 엡스타인씨기형 교정술 2례, 심실중격결손증과 대동맥폐쇄부전의 교정술 2례가 있었으며, 그 외 대동맥판막하협착, 방실중격결손증, 대동맥판협착증 및 심실중격결손증 등의 교정술이 각각 1례씩 있었다. 판막치환시 동시에 시행한 술식으로는 삼첨판륜성형술 3례, 심실중격결손증 교정 2례, 동맥관개존증 결찰 2례, 대동맥판륜확장술 2례, 심실중격결손증과 동맥관개존증 교정 1례, 승모 풉낮첬括珝낵\ulcorner1례등이 있었다. 결과: 수술사망은 2례로 조기사망률은 6.7%였다. 수술생존자 28명중 4명은 장기추적관찰이 불가능하였으며, 총 2091환자.월(평균 74.7$\pm$68.4개월, 최장 187개월)동안 관찰하였다. 이 기간중 판막의 혈전, 혈전색전증 및 항응고치료에 따른 출혈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나, 조직판막을 이용한 10례중 8례에서 술후 평균 87.1$\pm$23.6개월에 판막기능부전으로 재수술하였으며(이중 2례는 타 병원에서 수술함), 기계판막을 치환한 1례에서 판막주위누출과 감염으로 술후 3개월째 재수술하였다. 재수술시 사망례는 없었다. 만기사망은 1례로 방실중격결손증 교정술후 잔존 승모판폐쇄부전으로 승모판치환술을 받은 7세환아로 판막치환술후 4개월에 확장성심근염으로 사망하였다. 조직판막의 경우 생명표분석에 의한 판막실패가 없는 장기누적률은 6년째 75.0%, 7년째 50.0%, 8년째 12.5%의 기록을 보여 술후 6년에서 8년에 걸쳐 격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사망 2례를 제외한 28명의 장기생존률을 Kaplan-Meiyer법에 의해 분석하였을때 4개월째 생존률이 96.0%로 그 이후로는 사망례가 없었다. 결론:이상의 결과로 보아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술후 적절한 추적관찰이 행해질 경우 항응고요법에 따른 합병증은 거의 없으나, 5세이하 소아나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한 경우는 위험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entall수술에서 inclusion technique 과 open technique의 비교 (Comparision of Inclusion TechnicRue with Open Technique in Patients with Bentall Procedures)

  • 김정택;문준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06-511
    • /
    • 1997
  • 1980년 10월부터 1995년 5월까지 대동맥근 치환을 받은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inclusion technique(IT)과 open technique(OT)의 수술성적을 비교하였다 대동맥근 치환술의 원인으로 W군에서는 대동맥륜확장을 동반할 상3n대동맥 동맥류가 20례, 대동맥박리가 8례, 그리고 인공판막심내막염이 1례였다. 07군에서는 대동맥륜 가성동맥류가 1례 있었다. 수술방법으로 Bentall등이 기술한 방 확장이 9례, 대동맥박리가 14례, 상행대동맥 법 또: 약가 변형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술사망은 W군에서 패혈증과 심실부정 맥으로 각각 1례가 사망하 o3고 07구에서는 출혈로 1례가 사망하였다. 만기합병증은 W군에서 8례 발생하였으며 Of군에서 2례 발생하다. 마기사망은 W군에서 7례,07군에서 1례 발생하였다. 12개월 event free는 W군과 07군에서 각각 87% 와 85%, 24개월 생존률은 각각 87% 와 95%로 W군이 24개월생존률이 약간 높았으나 두 군 간에 통계학적 이 유의성은 없었다. nan으로 대동맥륜확장을 동반한 상행대동맥류나 대동맥박리에서 composite valve를 이용한 대동맥근 치 화술으 마조할 만한 단기 수술결과를 보여주었으나 inclusionfwrap technique과 ope technique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prothesis와 관련된 만기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술 후 추적관찰에 대한 노력이 장기생존에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관상동맥협착증의 외과적 치험 (A Surgical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A Report of 8 cases))

  • 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6호
    • /
    • pp.1020-1029
    • /
    • 1988
  • The authors evaluated 153 patients who had undergone cardiac valve replacement between October 1979 and July 1988. The results are as follows: l. Out of 153 patients, there were 56 males and 97 females ranging from 15 to 62 years of age with a mean of 37 years. 2. Isolated mitral valve replacement took place in 82 patients, aortic valve replacement[AVR] in 16, double valve replacement[DVR] in 34, AVR combined with open mitral commissurotomy in 19, and tricuspid valve replacement[TVR] was done in 2 patients. 3. 153 patients had 187 prosthetic valves replaced with Ionescu-Shiley valves[16], Carpentier-Edwards[36], Bjork-Shiley[19], St. Jude Medical[108], and Duromedics[8]. 4. Our of 98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64% of a total 153 patients ] during the preoperative period, 22 patients recovered NSR[ 22/98, NSR recovery rate 22.4%] after valvular surgery and remaining 76 patients revealed persisting atrial fibrillation[76/153, 49.7% ]. 5. Preoperative episodes of systemic arterial embolization were attained in 9 patients[9/153, 6% ], and left atrial thrombi were confirmed in 22 patients intraoperatively[ 22/153, 14% ]. Of these, only one patient, however, demonstrated the correspondence of preoperative embolization and intraoperative existence of LA thrombi. 6. With mechanical prostheses, anticoagulant therapy was begun 48 hours after operation with sodium warfarin[2.5-5.0mg/day], maintaining the prothrombin time between 16 and 18 seconds or 30 to 50% of control values and continued for life. With tissue prostheses, sodium warfarin was continued for 3 to 6 months and converted into buffered ASA[ 325 mg/day ] for one year. 7. The mean follow-up for the survivors was 30.1 months, with a range from 3 months to 9 years. All suspected or confirmed thromboembolic episodes counted as events and occurred in 4 patients[ 1.04%/patient-year] with mechanical valve replacement. No persistent paralysis or death was noted. Late complications have not yet occurred in the patients with isolated MVR and AVR. 8. There were remarkable structural failures of tissue valves in 3 patients[ 1.9%/patient-year ], while no instance of failure of a mechanical valve. 9. There were 10 operative early deaths[10/153, 6.5%] and 5 late deaths[5/153, 3.3%]. Consequently, overall mortality was 9.8%[ 15/153] during follow-up period. 10. We currently favor using the St. Jude Medical valve in all patients requiring valve replacement except in those who can not take warfarin anticoagulation.

  • PDF

중복판막수술후 조기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Factors for Early Major Morbidity and Mortality in Multiple-valve Operations)

  • 한일용;조용길;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233-241
    • /
    • 1998
  •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5년 10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약 10년간 총 124례의 중복판막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성별, 나이, 술전 X-선 심흉곽비, 심도자검사상의 평균폐동맥압, 술전 심장초음파 검사상 좌심실구출률, 술전 NYHA 기능분류등급, 치환한 판막의 수, 대동맥차단시간과 총체외순환시간, 술후 중한 합병증 발생 및 조기사망 유무를 조사하고 수술후 조기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환자중 남자가 53례, 여자가 71례로 성비는 1:1.4 였으며, 술전 임상증상으로 NYHA 기능분류상 등급 I이 3명(2.4%), 등급 II가 41명(33.1%), 등급 III가 60명(48.4%), 등급 IV가 20명(16.1%)이었고 심전도검사상 술전 심방세동이 76명(61.3%), 술전 뇌색전증 병력이 5례(4.0%), 이전에 심장수술을 받은 경우가 7례(5.7%)였다. 술후 조기사망률은 8.1%, 술후 중한 합병증 발생율은 21.8%였다. 판막수술은 승모판막과 대동맥판막을 동시에 치환한 례(57례), 승모판막치환과 삼첨판륜성형술을 한 례(48례), 승모판막과 삼첨판막을 동시 치환한 례(2례), 그리고 승모판막치환과 대동맥판막성형술을 한 례(3례)등이 있었다. 수술후 조기 임상경과에 따라 사망례를 포함한 중한 합병증을 동반한 군(A군, 27례)과 특별한 문제가 없었던 군(B군, 97례)으로 분류하고, 또 조기사망군(10례)과 생존군(114례)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분류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들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A군에서 발생한 중한 합병증은 저심박출증, 종격동염, 심장파열, 심실부정맥, 패혈증 등이었다. A군과 B군의 비교에서는 대동맥차단시간(A군:153.4$\pm$42.4분, B군:134.0$\pm$43.7, p=0.042), 총체외순환시간(A군:187.4$\pm$65.5분, B군:158.1$\pm$50.6분, p=0.038), 그리고 NYHA 기능분류등급(I등급:33.3%, II등급:9.7%, III등급:20.0%, IV등급:50.0%, p=0.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술후 조기사망군(10례)과 생존군(114례)의 비교에서는 연령(사망군:45.2$\pm$8.7세, 생존군:37.2$\pm$11.6세, p=0.036), 성별(여자:12.7%, 남자:1.9%, p=0.043), 대동맥차단시간(사망군:167.1$\pm$38.4분, 생존군:135.7$\pm$43.7분 p=0.030), 그리고 술전 NYHA 기능분류등급(I등급:0%, II등급:4.9%, III등급:1.7%, IV등급:35.0%, 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으로 볼 때 NYHA 기능분류에서 술전의 임상상태가 중할수록 조기성적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조기수술이 요망되며, 개선된 수술수기나 심근보호방법등으로 대동맥차단시간과 총체외순환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수 있다면 중복판막수술후 조기성적을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감염성 승모판 심내막염의 중단기 수술 성적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Operation for Infective Endocarditis on Mitral Valve)

  • 안병희;전준경;유웅;류상완;최용선;김병표;홍성범;범민선;나국주;박종춘;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27-34
    • /
    • 2004
  • 배경: 감염성 심내막염은 다른 심장질환에 비해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고, 대부분의 임상연구가 대동맥판에 발생한 심내막염에 편중되어 있어, 승모판 심내막염에 대한 보고는 상대적으로 드문데 이에 대한 임상양상 및 수술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감염성 승모판 심내막염으로 단일 술자에 의해서 외과적 치료를 받았던 23 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2예는 인공판막 심내막염이었고 나머지 21예는 자가판막 심내막염이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44.8$\pm$15.7 (11∼66)세였고 연령분포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17예에서는 혈역학적 불안정이나 거대 우종으로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12예에서 울혈성 심부전, 4예에서 신부전, 2예에서 비장 및 신장경색, 2예에서 일시적 뇌손상, 1예에서 뇌농양 소견을 보였다. NYHA 기능 분류상 Grade II가 7예, Grade III가 9예, Grade IV가 6예이었다. 술 전 심초음파상 승모판 역류우세가 19예, 협착우세가 4예이었으며, 우종은 20예(86.9%)에서 관찰되었다. 혈액배양 검사상 10예(43.4%)에서 원인균이 동종되었는데 Streptococcus viridans 5예,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2예, 그리고 Corynebacterium, Haemophillis, Gernella 각각 1예씩 이었다. 수술 적응증은 ACC/AHA 지침에 근거하였으며, 평균 외래 추적관찰기간은 27.6$\pm$23.3 (1∼97)개월이었다. 결과: 13예에서 승모판치환술을 시행하였는데 9예에서 기계판막을 사용하였고 4예에서 조직판막을 사용하였다. 10예에서 다양한 수기의 승모판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동반수기로는 6예에서 대동맥판 치환술, 2예에서 삼첨판 성형술, 1예에서 변형된 미로수술, 1예에서 심실중격결손 낙합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합병증으로는 출혈에 의한 재수술 2예, 종격동염 1예, 저심박출증 1예, 페렴 1예가 있었다. 술 후 30일 이내의 조기사망이나 병원 내 사망 및 판막 연관성 합병증은 없었다. 1예의 환자가 수술 3개월 후 다시 판막성형술을 받았고, 술 전 우종 전색에 의한 뇌경색을 보인 1예의 환자가 술 후 31개월에 뇌출혈로 사망하여 만기 전 체판막 연관성 사망률은 4.3%, 판막연관성 합병증은 8.6%였다. 1, 3, 5년 valve-related event free rate는 90.8%, 79.5%, 79.5%이었고 1, 3, 5년 생존율은 100%, 88.8%, 88.8% 이었다. 결론: 승모판 심내막염의 외과적 치료 시에는 감염된 조직의 완전 절제가 중요하며, 감염된 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면 대체물이나 수술 기법상의 차이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고, 술 전에 감염이나 우종 전색에 의한 뇌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술 후 추적관찰 중에도 뇌혈관 손상 가능성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면성 심초음파도로 구한 대동맥판륜부 크기와 실제 치환된 판막크기와의 비교연구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ic Preoperative Prediction of Prosthetic Valve Size)

  • 정태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6호
    • /
    • pp.979-983
    • /
    • 1988
  • Calcium channel blockers may prevent myocardial injury during cardioplegia and reperfusion.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ltiazem cardioplegia on myocardial protection during ischemic arrest and recovery of myocardial function after reperfusion. Four formulations of crystalloid cardioplegic solutions, GIK solution[group I, n=12], diltiazem[lug/ml GIK] in GIK solution[group II, n=7], ],diltiazem[2ug/ml GIK] in GIK solution[group III, n=6] and diltiazem[4ug/ml GIK] in GIK solution[group IV, n=6] were compared in isolated working rat heart subjected to a long period [2 hours] of hypothermic arrest with multi-dose infusion. Diltiazem cardioplegia[group II, III and IV]was found to be superior in nearly all aspects. Diltiazem cardioplegia showed faster recovery of regular rhythm and lower incidence of ventricular fibrillation than group I did. In comparing mechanical function in all experimental hearts, the mean postischemic recoveries of aortic flow, cardiac output, peak aortic pressure, stroke volume and stroke work[expressed as a percentage of its preischemic control]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II, III and IV[diltiazem cardioplegia] than in group I. The infused amount of cardioplegic solution was more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diltiazem to GI K solution. [p < 0.01] Creatine kinase leakage tended to be lower in hearts receiving diltiazem cardioplegia, especially in group III and IV[p<0.05] than in those receiving GIK solution only[group I]. Diltiazem cardioplegia results in the increased flow of cardioplegic solution and the decreased ischemic injury of myocardium during ischemic arrest and the improved recovery of myocardial function after reperfusion, and a dose-response relation must be established before clinical use.

  • PDF

선천성 좌심실유출로협착증의 수술요법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 이상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7호
    • /
    • pp.576-580
    • /
    • 1994
  • For 26 months since August 1991, 10 consecutive patients with congenital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underwent corrective surgery in Pusan Paik Hospital. Their ages ranged from 2 to 18 years. There were 6 male and 4 female patients. According to stenotic site, obstruction were classified into supravalvular [n = 5], subvalvular [n = 4], valvular stenosis [n = 1]. We have performed patch enlargement of ascending aorta [n = 2], supravalvular membrane resection and patch enlargement of ascending aorta [n = 3], subvalvular membrane resection [n = 2], subvalvular membrane resection and left ventricular myectomy [n = 2] and aortic annuloplasty with Dacron patch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n = 1]. Preoperative mean value of systolic pressure gradient were 85.0 $\pm$29.2mmHg[supravalvular], 70.0mmHg[valvular], 72.5 $\pm$ 22.5mmHg[subvalvular], and 78.5 $\pm$ 24.3mmHg[total]. Postoperative mean value of systolic pressure gradient were 31.0 $\pm$ 8.9mmHg[supravalvular], 0mmHg[valvular], 15.0 $\pm$ 10.8mmHg[subvalvular], and 21.5 $\pm$ 13.9mmHg[total]. Postoperative systolic pressure gradi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p = 0.001]. Postoperative course and short-term follow up results were good except one case of transient heart failure.

  • PDF

Marfan 증후군 환자에서 개심수술 및 누두흉의 교정 (Combined Repair of Pectus Excavatum and Open Heart Surgery in Marfan's Syndrome)

  • 신제균;정종필;이용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56-559
    • /
    • 2002
  • Marfan 증후군에 심한 누두흉이 동반된 경우 정중흉골절개시 개흉기를 걸기도 힘들고 대혈관과 심장의 노출이 어려울 수 있다. 저자들은 대동맥근확장의 직경이 52 mm, 중등도의 대동맥판 폐쇄부전증,고도의 승모판 폐쇄증, 누두흉을 가진 33세의 남자환자에서 대동맥근부의 근치술과 승모판 치환술을 시행하면서 누두흉을 성공적으로 치유했기에 보고한다. 정중절개에 의해 심장 및 대동맥에 접근했고 개심술 후 프로타민 투여 직후 시행된 변형된 늑연골의 절제와 흉골거상으로 수술후 안정된 흉벽을 형성할 수 있었다.

Takayasu 동맥염의 외과적 경험 (Surgical Experience of Takayasu` Arteritis)

  • 김욱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2호
    • /
    • pp.926-933
    • /
    • 1993
  • We experienced 20 patients with Takayasu`s disease who required 22 surgical procedures for critical arterial stenoses, aneurym of descending thoracic aorta, and aortic regurgitation from 1986 to 1993.Five patients had type I arteritis, seven patients had type II , seven patients had type III, and one patients had type IV.15 patients were female and 5 patients were male.Patients` ages ranged from 17 to 47 years and mean age was 29.1 years. The surgical procedures were as follows;autotransplantations of kidney[3], aortic valve replacements[2], ascending aorta-bilateral internal carotid artery bypasses[2], unilateral renal artery bypasses[2], bilateral renal artery bypasses[3], replacement of descending thoracic aorta[1], ascending aorta-abdominal aorta bypass[1], ascending aorta-right internal carotid artery bypass[1], ascending aorta-right internal carotid artery and left subclavian artery bypass[1], left common carotid artery-left-subclavian artery bypass[1], pulmonary artery angioplasty[1], left femoro-bilateral axillary bypass[1] and others[2]. There was no hospital death.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42.7 months[ranged from 3 to 96 months].There was one late death and late mortality rate is 5.9%.Two patients was underwent second vascular procedures, one after 5 years and the other after 5 months.The other patients have done well after surgery.

  • PDF

대동맥 판막 치환술 후 만기에 발생한 상행 대동맥 박리증 (Ascending Aortic Dissection Late After Aortic Valve Replacement)

  • 오정훈;이동협;이정철;정태은;이장훈;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30-633
    • /
    • 2001
  • 선천성 다발성 판막질환(Congenital Polyvalvular Disease)은 결체조직의 이상으로 인해 한 개 이상의 심장판막에 비정상적 기형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그 원인은 아직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질환은 제 18번 또는 13∼15번 삼염색체 증후군에서 자주 관찰되며, 심실중격결손증, 동맥과 개존증 등의 심장기형을 동반하기도 한다. 환아는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우심방내의 종괴가 발견되고, 출생 후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삼첨판위의 혈종 또는 점액종이 의심되어 수술을 시행하였다. 종괴는 삼첨판막의 전판막첨과 중격판막첨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었고 병리학적 검사에서 불규clr하게 두꺼워지고 결절화되어 있었으며, 석회화와 골화의 소견을 보였다. 태아의 산전 심초음파 검사에서 판막에 석회화 소견이 관찰될 때 선천성 다발성 판막질환도 염두에 두어야 할 의미 있는 소견이라고 생각된다. 저자들은 선천성 다발성 판막질환 1예를 경험하여 임상 및 조직소견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