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property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7초

스피루리나 첨가 흑임자다식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능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Sesame Dasik Added Spirulina)

  • 손찬욱;김혜정;이윤진;김미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55-760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black sesame Dasikadded spirulina (0, 10, 20, 30%). Black sesame Dasik with 30% spirulina showed a higher moisture content compared to control. L, a and b values of Hunter color system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spirulina (p<0.05). Hardness and gumminess analyzed by TPA (Texture profile analyzer)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spirulina (p<0.05). The antioxidant property of black sesame Dasik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spirulina: IC50 values of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ntrol was 112.3 g/mL and 56.2 mg/mL,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Dasik with 30% addition of spirulina was 58.2 mg/mL and 45.7 mg/mL, respectively.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p to 20% addition of spirulina,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spirulina to black sesame Dasik was appropriated up to 20% for quality improvement with antioxidant activity.

흑미를 첨가하여 항산화성이 강화된 배추김치의 개발 및 품질 특성 (Properties of Baechu Kimchi treated with Black Rice Water Extract)

  • 모은경;김승미;양선아;제갈성아;최영심;이선영;성창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0-57
    • /
    • 2010
  • 흑미의 이용도를 높이고 항산화능이 있는 새로운 기능성 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흑미색소추출액에 절임배추를 침지하여 흑미색소가 배추에 흡수되도록 한 후 흑미풀을 첨가하여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흑미색소추출액의 항산화능은 양성대조구인 $\alpha$-tocopherol (0.1%)의 $78.75{\pm}1.18%$를 나타내었다. 흑미를 처리한 배추김치를 저온에 저장하면서 김치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흑미 처리에 의해 김치의 가식기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즉, 흑미처리구가 최적의 pH 및 적정산도에 도달하는 기간은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나 pH 감소 또는 적정산도 증가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흑미처리구의 조직감은 발효 중기를 지나면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흑미처리에 의해 젖산균 및 효모의 증가 속도가 감소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흑미처리구의 총페놀화합물 양은 대조구보다 많았으며 이는 흑미처리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김치의 항산화성은 0.1% $\alpha$-tocopherol을 양성대조구로 하였을 때 대조구가 약 57%, 흑미처리구가 83%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고, 김치의 항산화성은 숙성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여 숙성 최적기에 가장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다. 흑미처리구와 대조구의 김치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흑미처리구는 외관 및 수용도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나 맹검법으로 재 실험을 하였을 때는 흑미처리구가 모든 관능검사 항목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흑미를 처리함으로써 대조구보다 약 5일의 가식기간 연장 및 약 30% 정도의 항산화성이 높은 배추김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 새순 에탄올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및 nitrix oxide synthase 활성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ine Buds (Pinus densiflora)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and Nitric Oxide Synthesis)

  • 조은경;송효주;조혜은;김미향;최인순;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29-163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사활성, XO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솔순의 항산화력은 1 mg/ml에서 88.9%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동량의 BHA와 비교했을 때 유사한 항산화력이 측정되었다. 이것은 솔잎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솔순의 항산화력에 관한 높은 이용가치를 의미한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 농도에서 47.9%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1 mg/ml에서 71.9%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저해 효과는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활성은 4 mg/ml의 솔순 에탄올 추출물에서 15.2%로 나타났다. 솔순 추출물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기 위해 식중독균주인 S. aureus, E. coli, V. paraheamolyticus에 대한 성장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E. coli와 V. paraheamolyticus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나타냈다.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시판되는 항고혈압제와 동일한 농도($1{\mu}g/ml$)에서 captopril은 93.0%, 솔순은 50.6%의 저해률을 나타냈으며, $100{\mu}g/ml$에서는 60.8%의 저해률을 나타내어 ACE 저해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200{\mu}g/ml$ 농도의 솔순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서 NO 합성률이 54.0% 정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솔순 에탄올 추출물이 면역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솔순 에탄올 추출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또한 솔잎 추출물에 비해 항산화력, 자유레디칼 소거활성능, 미백효과, 면역활성 및 항고혈압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식품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모1020' 왕겨의 안토시아닌 동정 및 항산화 효과 검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s and Determin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in Rice-hull of a new Cultivar, 'Jungmo1020')

  • 나지은;박지영;서우덕;송유천;조준현;이종희;심은영;남민희;정일민;한상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91-397
    • /
    • 2014
  • 새로 개발된 유색미 품종인 중모1020의 왕겨를 이용한 색소의 조성과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을 검정한 결과, 중모1020의 왕겨로부터 최초로 페튜니딘 색소를 다량함유하고 있음을 Mass와 UPLC등의 기기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중모1020의 색소 조성 중 C-3-G 함량은 29.6%인데 비해 Pt-3-G의 함량이 68.3%를 차지하여 C-3-G 함량이 82.3%인 기존의 벼 색소의 조성과는 완전히 다름을 보였다. 추출용매 조건에 따른 분석 결과, 조추출물 수율은 100% 메탄올에 1.0% HCl을 이용하였을 경우 수율이 11.4%로서 가장 높음을 보였고, 다음이 80% 메탄올에 1.0% HCl용매로 추출한 경우였다. 안토시아닌 색소 추출량 역시 1.0% HCl을 함유한 100% 메탄올과 80% 메탄올에서 각각 $275.0{\pm}4.1$, $258.0{\pm}1.8mg/100g$으로 가장 많았다. 항산화 활성 비교에서는 전체 안토시아닌 색소함량이 많고 폴리페놀 추출율이 높은 1.0% HCl을 함유한 80% 메탄올 용매 추출물에서 가장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보였다.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during Storage)

  • 김경희;황혜림;윤미향;조지은;김미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26-934
    • /
    • 2009
  • 버찌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0, 5, 10, 15%)를 $25^{\circ}C$에 저장하면서 10일간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반죽의 pH는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파운드케이크의 굽기 손실률은 1$11.47{\sim}12.67%$로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높이와 비용적은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는 crumb의 적색도를 제외하고,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crust와 crumb 모두 명도, 적색도,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직감은 버찌분말 첨가에 따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부착성 및 탄력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노화도는 무첨가구에 비해 버찌분말 첨가구에서 노화도가 높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항산화 활성은 10% 및 15% 버찌분말 첨가구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선호도를 제외하고 10% 및 15% 첨가구에서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저장 동안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을 고려한 버찌분말 첨가량은 10% 첨가구가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볶음처리에 따른 치커리의 기능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ory Roots Induced by Roasting Processes)

  • 홍미정;이기동;김현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13-418
    • /
    • 1998
  • 한국산 치커리 뿌리의 식품학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볶음온도$(120{\sim}180^{\circ}C)$와 볶음시간($10{\sim}40$분)을 달리하면서 치커리차의 품질에 관련된 관능적 및 기능적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갈색도는 볶음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볶음조건별 치커리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볶음처리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면서, 무처리 대조구보다 각각 2배와 3.6배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치커리의 볶음처리에 따른 페놀성 성분의 함량과 과산화물가 측정에 의한 항산화성의 변화는 볶음온도 $160^{\circ}C$, 볶음시간 30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치커리차의 관능적 기호도는 볶음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고온에서 장시간 볶음시에는 기호도가 떨어져 볶음온도 $170^{\circ}C$, 볶음시간 30분 이상의 조건에서는 기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볶음조건에 따른 치커리차 물추출물의 기능적 특성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전자공여작용은 갈색도 및 페놀성 성분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치커리추출물의 항산화성과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갈색도 및 전자공여작용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명태 수리미 부산물 유래 젤라틴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시판 간장의 항산화성 및 ACE 저해활성의 개선 (Improvement of the Antioxidative and ACE-inhibiting Activities of Commercial Soy Sauce using Gelatin Hydrolysates from the By-products of Alaska Pollock)

  • 허민수;박찬호;김정균;김형준;윤민석;박권현;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79-187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ways to improv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ommercial soy sauce using gelatin hydrolysates from the refiner discharge of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The total nitrogen content and pH of gelatin sauce prepared by dissolving the second-step gelatin hydrolysates (15 g), salt (20 g), sugar (5 g), glucose (2.5 g), inosine monophosphate (IMP) (0.5 g), black pepper (0.1 g), caramel powder (0.1 g), ginger powder (0.05 g), garlic powder (0.05 g), vinegar (3 mL), and fructose (3 mL) in water(100 mL) were 1.71% and 5.3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when preparing blended soy sauce, the optimal blending ratio of gelatin sauce to commercial soy sauce was 20:80 (v/v). Because the total nitrogen content and pH of the blended soy sauce were 1.52% and 5.31, respectively, the blended soy sauce could be sold as a soy sauce. The oxidative property of the blended soy sauce was similar to that of 20 mM ascorbic acid, and it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ng activity was 1.5 mg/m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oxidative and ACE-inhibiting activities of commercial soy sauce can be improved by blending gelatin sauce (20) with commercial soy sauce (80).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blended soy sauce was 9,107.3 mg/mL, which was higher than that (8,992.4 mg/100 mL) of commercial soy sauce. However, the taste value of the blended soy sauce was 415.8, which was lower than that (431.2) of commercial soy sauce.

포도 송이가지에서 레스베라트롤의 분리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Resveratrol from a Grape Twig)

  • 신현재;강병선;안준배;김복희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351-355
    • /
    • 2007
  • 포도즙 착즙 후 폐기되는 포도송이가지를 재활용하여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resveratrol을 80% 에탄올로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60분 동안 추출한 후 실리카겔 컬럼을 적용시켜 99% 이상의 순도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resveratrol의 안정성은 4$^{\circ}C$에서는 반감기가 90일이었으며, 25$^{\circ}C$에서는 60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고순도 resveratrol 추출물을 적용하여 기존의 식품에 포함된 양의 2$\sim$10배 정도 강화시킨 포도즙의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며, 색, 향 및 당도는 일반 포도즙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앞으로 포도착즙의 부산물인 포도송이가지에서 추출된 resveratrol은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향장품 소재 등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죽염의 알칼리성 및 항산화 효과 (Alkaline and Antioxidant Effects of Bamboo Salt)

  • 조흔;정옥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301-1304
    • /
    • 2012
  • 국내산 정제염, 천일염과 죽염(9회)의 pH, 무기질 성분, OH기 함량, 환원력과 DPPH 활성산소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pH 측정에서 정제염은 약간 산성이고 천일염은 알칼리성을 나타내었고 죽염은 천일염보다 더 높은 알칼리성을 나타내었다. 미네랄 함량은 죽염의 Ca, Fe, Mn, P, S, K 함량이 정제염과 천일염보다 더 많았다. 특히 Fe은 죽염만 함유하고 K의 함량도 다른 소금보다 많이 함유하였다. FT-IR을 이용한 실험에서 OH기 함량도 죽염은 정제염과 천일염보다더 많았고 peak에 따라 정제염은 6.5배, 천일염과는 2.3배의차이가 있었다. Bioanalytical system을 이용한 소금 수용액에서 죽염의 전위 환원력은 정제염과 천일염보다 더 크게 높았다. 1~25% 농도에서 소금의 DPPH 항산화실험에서 죽염의 활성산소 소거 능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정제염과 천일염은 농도 증가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큰 차이가 없었다. 25% 고농도에서 정제염과 천일염의 산소 소거 기능이죽염과 16배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죽염은 알칼리성을 띄는 소금이고 OH기 함량과 전위 환원력도 일반소금보다 현저히 높았다. 또한 이들의 화학적인 특성을 가진 죽염은 항산화 효능도 일반소금보다 크게 높았다.

황금 및 생강 복합 수용성겔 제제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염 치료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rapeutic Effect of the Hydrogel Preparations of Scutellariae Radix and Zingiberis Rhizoma on Dermatitis)

  • 양재헌;김대근;윤미영;안재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4호
    • /
    • pp.253-262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tment for dermatitis using the herbal gel preparations. Scutellariae Radix(SR) and Zingiberis Rhizoma(ZR)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herbal preparations. Baicalin, baicalein are the ingredients of SR, having biological effects like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ti-bacterial and antiallergic action. 6-Gingerol is one of the ingredients of ZR having biologicai effects like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on. The three types of hydrogels(SRE, SRH, SZH) were formulated with Carbopol 940, Labrasol, Triethanolamine etc. Baicalin was hydrolysed to baicalein by $\beta$-glucuronidase for the purpose to increase rate of skin permeation. Content of ingredients by HPLC determination, rate of skin permeation using Franz type diffusion cell, anti-oxidative activity for the free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ti-inflammatory by using carrageenan injection, efficacy on the dermatitis induced by 2,4-dinitro-chlorobenzene(DNCB) were experimented. Baicalein showed higher permeability than baicalin, so it is considered that baicalein was more suitable form than baicalin for transdermal absorption by its lipophilic property. In the anti-oxidative experiments, SZH gel was the most effective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other gels in all experiments. In anti-inflammatory test, SRM and SZH gel more decreased edma rapidly than SRE gel. In case of using SZH gel, treatment period for the dermatitis was more declined than that of other ge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SZH hydrogel could be suitable preparations for the treatment of derma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