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nt phenolics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31초

원적외선 조사에 따른 가래나무 잎의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y in Juglans mandshrica Maxim. Leaves by Far Infrared Ray Irradiation)

  • 엄석현;박형재;김성무;박승문;김명조;유창연;조동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66-270
    • /
    • 2007
  • 가래나무 잎을 원적외선 30, 40 및 50 v에서 각각 10, 20 및 30분을 처리하였다. 원적외선을 조사한 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잎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등을 분석한 결과, 원적외선 30 v에서 20분간 조사한 처리구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25.43 mg/g로 ,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9.38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반면에, 원적외선 50 v에서 30분간 조사한 처리구에서 총폴리페놀 함량은 16.93 mg/g으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3.78 mg/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원적외선 처리에 의해 잎에 함유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의 증가는 물론, 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원적외선 처리가 가래나무에 함유한 어떠한 특정적인 물질들의 증가에 관하여서는 추후에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추(Zyziphus jujuba) 품종별 성숙정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총페놀 함량, 비타민 C 함량 및 당함량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Vitamin C and Sugar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of Five Different Jujube Cultivars)

  • 박영기;김재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9-546
    • /
    • 2016
  • 대추 품종별 미숙과와 성숙과의 항산화 활성, 총페놀 함량, 비타민 C 함량 및 당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항산화 활성과 총페놀 함량 및 비타민 C 함량과 당도와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였다. 즉, 대추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과실의 무게와 크기는 증가하였으나,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그리고 환원력은 감소하였다. 일반적으로 항산화 활성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총페놀 함량 역시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대추 품종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미숙과 복조품종의 항산화 활성(71.20%)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환원력은 미숙과 무등 품종이 가장 뛰어났다. 총페놀 함량과 비타민 C의 최대 함량은 각각 62.50 ㎍/g(무등, 미숙과) 그리고 2540.0 ㎎/ 100 g(보은, 성숙과)이었다. 항산화 활성과 유용성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과의 상관관계 r = 0.956으로 고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대추를 식용으로 이용함에 있어 성숙과를 이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나타낸 결과를 보면 대추 미숙과의 항산화 활성과 총페놀 함량 등이 성숙과보다 우수하여 약리적인 측면에서는 유용할 수 있으며, 크기나 무게 그리고 당도 등을 고려하면 성숙과는 식용으로 유용하여 용도별에 따른 수확시기의 결정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두와인 내 폴리페놀 화합물의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 (Antioxidant and Antiviral Activities of Polyphenolics in Plum Wine)

  • 강병태;권두한;최화정;김순희;박동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91-896
    • /
    • 2008
  • 피자두와 후무사로 만든 자두와인 내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총 페놀화합물은 피자두 와인 ($478.4{\pm}5.6\;mg/L$)이 후무사 와인 ($200.6{\pm}7.5\;mg/L$)보다 2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피자두 와인 ($202.4{\pm}7.5\;mg/L$)이 후무사 와인 ($64.4{\pm}6.8\;mg/L$)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자두와인 자체의 항산화 효과를 DPPH 전자공여능으로 비교분석하였을 때 정제된 페놀화합물보다 그 활성이 크게 낮았으나, ethyl acetate로 추출한 중성 페놀화합물과 산성 페놀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은 mg/mL의 농도에서 정제된 페놀화합물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특히, 중성페놀화합물의 경우, $100{\mu}g/mL$의 농도에서 64.5%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동일 농도의 정제된 페놀화합물(chlorogenic acid 15.5%, quercetin 24.6%)의 활성보다 3배 이상 높은 값이었다. vero cell에 돼지설사바이러스(PEDV)를 감염시켜 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분석한 결과 중성 페놀화합물이 저농도 ($10\;{\mu}g/mL$이하)에서 상용 항바이러스제인 ribavirin보다 세포독성효과 (CPE)를 더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류의 페놀화합물간에는 중성 페놀화합물이 산성 페놀화합물에 비해 최대 1.5배 정도 더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고농도 ($100\;{\mu}g/mL$)에서는 ribavirin이 페놀화합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나타나지 않아 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이 바이러스 특이적인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추출용매별 canola meal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Canola Meal)

  • 전현일;;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9-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용매별(methanol, ethanol, acetone 및 water)로 추출한 canola meal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canola meal 용매 추출물들은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추출물 중에서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낮은 $EC_{50}$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0.9 mg/mL,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3.5 mg/mL, reducing power; 1.3 mg/mL and chelating ability; 8.5 mg/mL)과 가장 많은 항산화 물질 (total phenolics; $63.3\;{\mu}g$/mg, total flavonoids; $21.3\;{\mu}g$/mg)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정확한 canola meal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이 높은 methanol 추출물을 sephadex LH-20 column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MF 1, MF 2 및 MF 3의 3개의 분획물을 얻었으며, 동일한 농도(1.5 mg/mL)에서 측정한 항산화 활성에서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는 MF 2(75.56%)에서,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와 reducing power는 MF 3(31.17% and 1.60)에서, chelating ability는 MF 1(77.7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류원류 식물류의 에탄올 추출물이 대두유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lant Ethanolic Extracts on Oxidation of Soybean Oil)

  • 김미혜;김명철;박종석;박은지;김종욱;송경희;신동우;목진민;이종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8호
    • /
    • pp.1355-1364
    • /
    • 1998
  •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40 plant ethanolic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in vitro. The total phenolics, $\beta$-carotene, $\alpha$-tocopherol and selenium contents were also determined . Antioxidant activities fo the ethanolic extracts(0.02%, w/w) in the soybean oil were measured both by determining the peroxide value (POV) during 35 days of storage at 4$0^{\circ}C$ in a forced draft air-incubator and by determining changes in conductivity at 11$0^{\circ}C$(Rancimat method.). Soybean oil without any additives was used as a control and that treated with 0.02% BHT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Based on the POV determination, green tea extrac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stabilizing soybean oil, then followed by long tea, which both of them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compared to the BHT treatmen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m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compared to the BHT treatmen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ffee, cinnamomi cortex, acanthopanacis cortex, black tea, orange peel , instant coffee, peony and crni fructus extracts were stronger compared to the control .By the Rancimat method, green tea leaf and oolong tea leaf, foxglove, acanthopanacis cortex and peony extracts. Compared to other extracts, green tea leaf, black tea leaf, foxglove, acanthopanacis cortex and peony extracts had stronger antioxidative effects in both the POV and Rancimat methods used in this study. ethanolic extracts which showed the stronger antioxidative effect also has the higher contents of total phenolics, $\beta$-carotene, and/or $\alpha$-tocopherol. The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was found to be due to the combined effect of various antioxidants.

  • PDF

국내 자생 민들레의 종류별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 연구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Different Taraxacum Species in Korea)

  • 천상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51-59
    • /
    • 2012
  • 민들레의 종류별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분석하였다. 민들레 종류별 $1000mg\;kg^{-1}$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지상부 추출물이 $50.2{\sim}76.8mg\;kg^{-1}$범위로 지하부 추출물 $24.9{\sim}40.0mg\;kg^{-1}$범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종별로는 민들레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순으로 나타났다. 민들레의 지상부 및 지하부 추출물에서 각각 76.8과 $40.0mg\;kg^{-1}$를 보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p$ < 0.05).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페놀 함량보다 낮은 함량 범위($6.5{\sim}36.4mg\;kg^{-1}$)를 보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민들레의 지상부와 뿌리 추출물 $1,000mg\;kg^{-1}$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각각 89.6와 83.4%의 소거능을 보여 다른 두 종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MTT법에 의한 세포독성 시험에서 민들레 종류별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폐암세포주(Calu-6)에 대한 세포 생존율은 민들레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고($IC_{50}$값 = 83.4과 $66.4mg\;kg^{-1}$), 그 다음으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순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여 민들레가 다른 두 종에 비해 높은 세포독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한편, 위암세포주(SNU-601)에 대한 세포 생존율은 폐암세포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으로 이는 추출물이 더 낮은 항암활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냈다. 각 성분과 생리활성 항목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 또는 세포독성 항목간의 상관관계($r^2$=0.0097~0.6213)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또는 세포독성 항목간 상관관계($r^2$=0.0027~0.4627)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 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며, 그 함량과 활성은 민들레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Phenolic Profiles of Hardy Kiwifruits and Their Neuroprotective Effects on PC-12 and SH-SY5Y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 Jeong, Ha-Ram;Kim, Kwan Joong;Lee, Sang Gil;Cho, Hye Sung;Cho, Youn-Sup;Kim, Da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912-919
    • /
    • 2020
  • Hardy kiwifruits (Actinidia arguta Planch.) have high amounts of antioxidants, including ascorbic acid (vitamin C) and phenolics. The anti-cholinesterase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ree different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cv. Mansu (A. arguta × A. deliciosa), cv. Haeyeon (A. arguta), and cv. Chiak (A. arguta), on PC-12 and SH-SY5Y cells were evaluated. Extraction of phenolics and vitamin C was carried out using 80% (v/v) aqueous ethanol and metaphosphoric acid assisted with homogenization, respectively. Hardy kiwifruit of cv. Mansu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and vitamin C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compared to the other two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cv. Haeyeon and cv. Chiak. Analysis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procyanidin B2, (-)-epicatechin, neochloroge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 rutin, hyperoside, isoquercitrin, and astragalin in hardy kiwifruits. The three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had a wide range of vitamin C content of 55.2-130.0 mg/100 g fresh weight. All three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had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PC-12 and SH-SY5Y cells exposed to hydrogen peroxide by increasing cell viability and reducing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Furthermore, the hardy kiwifruits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rdy kiwifruits rich in antioxidants like phenolics and vitamin C have good potential as functional materials in neuroprotective applications.

녹용의 무기질 조성, 항산화능 및 PC-12 신경 세포 보호능에 대한 급여 사료의 영향 (Effect of Feedstuffs on Mineral Composi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Protection of Neuronal PC-12 Cells of Deer Antlers)

  • 조치흥;이봉한;김해영;김영채;김대옥
    • KSBB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243-250
    • /
    • 2012
  • The ash content, mineral composition, total phenolics, antioxidant capac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the antlers of deer fed with herb-incorporated feedstuff (HFS) or normal feedstuff (NFS) were comparatively evaluated. The contents of ash and mineral of the antler of deer fed with HF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ts counterpart. The ash and mineral contents of deer antlers decreased generally from the upper section toward the tip section. The ratios of Ca/ash, Ca/P, and Ca/Fe of antler of deer fed with HFS were lower than those of antler of deer fed with NFS. Antlers of deer fed with HFS had higher total phenolics, nitrite scavenging capacity, and antioxidant capacity than those of deer fed with NFS. Antlers of deer fed with HFS or NFS showed in vitro neuronal protection of PC-12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re antler of deer fed with HFS generally had higher cellular viability than NFS. These results above suggest that the incorporation of the medicinal herbal complex into feedstuff may improve the biological effects of deer antlers.

Phenolic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leaf extracts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 Plectranthus amboinicus Benth (Lamiaceae)

  • Gupta, Sandeep Kumar;Bhatt, Praveena;Joseph, Gilbert Stanley;Negi, Pradeep Singh;Varadaraj, Mandyam Chakravarthy
    • 셀메드
    • /
    • 제3권4호
    • /
    • pp.32.1-32.6
    • /
    • 2013
  • Plectranthus amboinicus Benth (Lamiaceae) is a medicinal plant native to India, and its leaves are widely used in several traditional medicinal prepa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and quantify phenolics present in ethyl acetate and acetone extracts of P. amboinicus leaves, and evaluate their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activities. The HPLC chromatograms of crude leaf extracts indicated the presence of phenolics like caffeic acid, coumaric acid, rutin, quercetin and gallic acid, which were present in the range of 0.01 - 1.41 mg/g in ethyl acetate and 0.03 - 1.93 mg/g in the acetone extract. The acetone extract showed statistically (p < 0.05)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C_{50}$, 99.59 ${\mu}g/ml$) than ethyl acetate extract ($IC_{50}$, 149.96 ${\mu}g/ml$). Statistically (p < 0.05) higher antimutagenicity was shown by acetone extract (46.16%) as compare to ethyl acetate extract (12.16%) at 500 ${\mu}g/plate$ concentration. The acetone extract showe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than ethyl acetate extract, and both the extracts showed highest activity against B. cereus (375 and 625 ${\mu}g/ml$, respectively) and lowest activity against Y. enterocolitica (1000 and 1125 ${\mu}g/ml$, respectively). Both the extracts also showed inhibitory effect on cancer cell lines HCT-15 and MCF-7.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aves of P. amboinicus posses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and validate the traditional use of the leaves of P. amboinicus against cold, infection and ulc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