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nt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400건 처리시간 0.023초

화피 추출물 첨가 개성주악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변화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eseong-Juak Prepared with Prunus yedoensis Matsumura Extract during the Storage Period)

  • 주신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86-109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화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개성주악에 대해 합성 항산화제를 첨가한 개성주악과 그 산화안정성을 비교하면서 저장기간($60^{\circ}C$, 4일) 동안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개성주악의 색도 측정 결과 화피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L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조직감 측정결과에서는 화피 추출물의 첨가는 개성주악의 경도와 응집성을 높이고 부착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검사 결과 색,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0.5, 1% 첨가군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장기간 동안 유사하게 나타났다. 화피 추출물 첨가군의 산가, 과산화물가, 아니시단가는 무첨가군과 비교할 때 저장기간 동안 낮게 보여졌으며, 0.02% vitamin C와 0.02% BHT 첨가군의 경우 1, 2% 첨가군과 유사한 산화안정성를 나타내었다. 화피 추출물 첨가 개성주악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장기간 동안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개성주악에 대한 화피 추출물의 첨가는 개성주악의 기호도 및 산화안정성, 항산화활성을 증가시켜 개성주악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개성주악 제조 시 기호도가 높고 산화안정성, 항산화능이 좋았던 0.5~1% 화피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갈색거저리 유충을 급이한 산란계로부터 얻은 계란의 품질특성 (Egg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yer Chickens Reared with Tenebrio molitor Larvae)

  • 김도형;김동현;박현우;김진권;김삼웅;김태완;이병진;손다니엘;김일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60-866
    • /
    • 2020
  • 본 연구는 음식폐기물을 활용하여 갈색거저리를 사육한 후에 산란계에 급이시 나타나는 계란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계란의 두께는 처리군에서 약간 얇아지는 경향성을 보였지만, 신선도를 나타내는 Haugh unit는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5%가 가장 높았다. 난황의 색상은 5% 급이 군에서 명도와 황색도가 낮아지는 반면에 적색도가 증가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5% 급이군은 조지방과 조단백이 대조군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10%와 15% 급이군들은 대조군보다 조지방 및 조단백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탄수화물 함량은 10%와 15% 급이군들에서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처리군들에서 구성아미노산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필수아미노산보다 비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의 증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물질의 지표가 되는 폴리페놀의 함량은 5% 급이군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계란의 저장성 및 항산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고단백 및 고지방 사료인 갈색거저리를 보충 사료원으로 활용할 때 계란의 영양성분 함량에 중용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고 계란의 신선도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제의된다.

인진쑥 첨가사료를 급여한 흑우육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Black Cattle-Fed Mugwort)

  • 문윤희;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87-594
    • /
    • 2012
  • 본 연구는 인진쑥을 첨가한 TMR 사료가 흑우육의 이화학적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고품질의 기능성 흑우육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인진쑥을 첨가하지 않은 비육우 사료를 급여하였고, 급여군(treatment)은 비육우 사료에 인진쑥을 첨가하였다. 총 catechin 함량은 대조군 및 급여군이 각각 0.262 및 0.379 mg/kg, epicatechin은 각각 0.042 및 0.059 mg/kg으로 급여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 <0.05). 적색도($a^*$)는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나($p$ <0.05) 명도($L^*$) 및 황색도($b^*$)는 급여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pH, VBN 함량 및 총균수는 대조군과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TBARS는 대조군이 급여군보다 높았고, EDA는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보수력, 동결감량, 해동감량 및 가열감량은 대조군과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도 및 검성은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탄성은 대조군이 급여군보다 높았다($p$ <0.05). 그러나 응집성, 저작성 및 전단력은 대조군과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육의 색깔 및 향, 가열육의 맛,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군 및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진쑥의 급여로 항산화 물질이 축적되어 흑우육의 색깔이 개선되고, 항산화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기능성 고품질 흑우육 생산을 위한 기능성 사료의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아로니아즙 첨가에 따른 단감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 Persimmon Jams added with Aronia Juice)

  • 이지현;박재호;정정순;송달님;김영호;엄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3-439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안토시아닌 등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지면서 재배면적이 급증가하고 있는 아로니아와 충북남부의 대표작물인 감의 소비촉진을 위하여 아로니아 즙을 혼합하여 단감잼을 제조한 후,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100% 단감만 넣은 잼이 가장 높은 pH를 나타냈고, 아로니아즙을 첨가할수록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산은 반대로 증가하였다. 색도 중 명도는 아로니아 즙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계속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생리활성 중 총 폴리페놀과 전자공여능은 아로니아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마지막으로 기호도 평가에서 아로니아 즙을 60~80% 첨가한 실험구가 색상, 향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생리활성, 관능적인 면 및 가격을 골고루 고려했을 때 60~80% 아로니아 즙을 첨가한 것이 아로니아와 단감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천마의 열수 추출조건 설정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 of Gastrodia elata Blum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성호;김인호;강복희;이상한;김종현;이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1-137
    • /
    • 2006
  • 천마를 건강기능식품가공소재로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공 중 일어날 수 있는 유효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과정중 추출조건별로 천마의 유효성분 함량 및 항산화적 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천마 열수 추출물의 vanillyl alcohol 함량은 추출온도 $91.07^{\circ}C$, 추출시간 2.64 hr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15.16 mL/g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vanillin 함량은 $93.73^{\circ}C$, 2.58 ,21.56 mL/g에서 coumarin 함량은 $96.30^{\circ}C$, 3.84 hr, 19.88 mL/g에서 각각 최고의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추출온도 $98.14^{\circ}C$, 추출시간 3.20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18.63 mL/g, 전자공여능에 대한 최적 조건은 $98.62^{\circ}C$, 3.82 hr, 16.46 mL/g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공정 인자별 천마의 유효성분 및 항산화적 특성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을 superimposing한 결과 추출온도 $90{\sim}100^{\circ}C$, 추출시간 $3{\sim}4hr$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15{\sim}20mL/g$의 범위로 각각 예측되었다.

파프리카 첨가 형태 및 첨가량에 따른 양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Different Forms and Concentrations of Fresh Paprika)

  • 박나영;우다인;이성원;강혜민;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29-734
    • /
    • 2014
  • 파프리카 생과의 활용성 증대와 즉석 처리된 파프리카를 이용한 양갱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적색 파프리카의 즙과 페이스트(PJ: paprika juice, PP: paprika paste)를 물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물과 주스 또는 페이스트의 배합비는 각각 10:0, 8:2, 6:4, 4:6, 2:8, 0:10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양갱의 pH는 PJ와 PP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낮았으며(P<0.05), 산도의 변화는 첨가 형태 및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J와 PP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갱의 수분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파프리카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양갱의 lightness는 감소하였으며 redness와 yellowness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Redness와 yellowness는 PJ 형태로 첨가한 것보다 PP 형태로 첨가한 것이 높았다. 파프리카 첨가 양갱의 탄력성과 경도는 PP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파프리카를 첨가한 양갱은 대조구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PP로 제조한 양갱이 PJ를 첨가한 양갱보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맛, 풍미, 색, 조직감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 첨가 형태나 첨가 농도에 관계없이 파프리카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양호하였다. 양갱제조 시 파프리카 주스(PJ)와 물의 배합비 8:2, 파프리카 페이스트(PP)와 물의 배합비 2:8의 혼합액을 사용한 양갱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밀싹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Wheat Sprout Powder)

  • 박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84-789
    • /
    • 2015
  • 본 실험은 풍부한 영양성분과 다양한 약리학적 기능을 가진 밀싹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밀싹 분말을 밀가루 대체 첨가물로 사용하여 제조한 머핀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무게는 63.37~63.86 g의 범위로 밀싹 분말 첨가량 차이에 따른 무게 변화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WSP-1과 WSP-3의 부피는 대조구에 비해서 다소 증가하였으며, 용적비도 부피의 증가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시료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머핀의 높이는 WSP-7이 가장 낮았고 WSP-3이 가장 높았으나 실제로 밀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른 가시적인 부피 및 높이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밀싹 분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pH를 나타내었고 머핀의 수분 함량은 대조구가 28.48%로 가장 낮았으며, 밀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밀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였고 b값은 증가하였다. 머핀의 경도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밀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였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대조구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52{\mu}g/mL$를 나타내었으며 WSP-1은 $18.09{\mu}g/mL$를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다. 머핀의 DPPH 라디칼 소거능도 대조구가 11.02%, WSP-1이 20.44%로 대조구에 비해 약 2배 정도 증가하여 밀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머핀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증가하였다. 밀싹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 색 및 풍미에 대한 기호도는 밀싹 분말 첨가 머핀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맛은 WSP-3이 3.40으로 가장 높았고 조직감은 WSP-7이 가장 낮았으나 처리구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종합적 기호도는 WSP-3이 3.54, WSP-5가 3.42로 시료들 중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20년 이상 장기저장된 홍삼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및 품질안정성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Stability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Stored over 20 Years)

  • 곽이성;한민우;배봉석;안남근;유혜영;박철수;백인호;조병구
    • 생약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29-338
    • /
    • 201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of quality stabi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ed ginsengs stored for a long times over 20 years. The Korean red ginsengs were stored for 4 to 22 years in canned packaging with polypropylene film and wooden box at room temperatures. The unusal phenomena such as discoloration and pin hole in packaging were not observed. General bacteria showed the vlaues of below 100 CFU/g, coliform groups and molds were not found in any samples stored for 22 year. Any samples also were not detected in mycotoxins. The contents of moisture, ash and crude saponin were the levels of 10.6~11.1%, 3.8~4.2% and 4.1~4.7% during the whole storage periods,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maltol, which has been known as characteristic flavour and antioxidant of Korean red ginseng, showed remarkably increasing tendency from 0.10 mg/g for 4 years to 2.53 mg/g for 22 years during the storage. The contents of AFG (arginyl-fructosyl-glucose), arginine and free sugar were slightly decreased. Acidic polysaccharide and ginsenoside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storage periods. The contents of acidic polysaccharide and total ginsenosides were the 75.1~76.3 mg/g and 15.1~16.6 mg/g, respectively. The sums of ginsenoside-Rg1,-Rb1 and -Rg3s were the ranges of 9.3~9.9 mg/g and PD (ginsenoside-Rb1, -Rb2,-Rc,-Rd,-Rg3s,-Rg3r)/PT (ginsenoside-Rg1,-Rg2,-Re,-Rf,-Rh1) saponin ratios were the levels of 1.4~1.5.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red ginsengs stored for long periods show relatively stable quaility stabilities and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 contents of ginsenoside and polysaccharide during the storage up to 22 years.

Coffee-like green tea의 인체암세포 및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 (Effect of Coffee-like Green Tea Preparation on Cytotoxicity of Human Cancer and Normal Cells)

  • 문연규;권애경;김종철;박한민;조용운;정관주;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4-94
    • /
    • 2013
  • 커피와 유사한 향미기를 갖는 녹차(Coffee-like green tea: CLGT)를 제조하고 이의 인체 유방암세포 주 MCF-7, 인체 전립선암세포 주 PC-3, 인체 신경모세포 주 SK-N-SH 및 쥐 심근세포 주 H9c2에 대한 세포독성을 연구하였다. 녹차엽(GTL)을 $240^{\circ}C$에서 1시간 roasting한 녹차가 커피와 가장 유사한 향미를 나타내었다. CLGT는 GTL과 비교하여 인체 암세포 및 정상세포와 쥐 심근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차이가 없었다. GTL의 roasting은 ECG 등의 catechin 성분과 total protein은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지만, total phenol 및 total sugar는 유의성 있는 감소시키지 않아, 이와 같은 화합물 조성의 변화가 GTL에 커피유사 향미를 제공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CLGT이 인체에 안전하여 커피 대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발아현미 추출물 첨가 배추김치와 시판배추김치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Cabbage Kimchi Add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and Korean Cabbage Kimchi on the Market)

  • 우승미;우상철;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89-79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강화된 배추김치 개발을 위하여 발아현미 농축액(A)과 발아현미 추출물 분말(B)이 첨가된 김치와 시판김치 4종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pH와 총산은 시료들 간에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A)와 (B)의 배추김치 총당은 각각 29.86과 40.99 mg/g, 환원당은 각각 21.45와 22.88 mg/g으로 시판배추김치 4종의 총당과 환원당 함량에 비해 상당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L 및 b값은 시료들 간에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고, a값은 (A)와 (B)의 배추김치가시판배추김치보다 조금 낮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A)와 (B)의 배추김치가 시판배추김치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발아현미의 주요 기능성분으로 알려진 GABA는 (A)와 (B)의 배추김치가 시판배추김치와 비교했을 때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과 기타활성은 (A)와 (B)의 배추김치가 시판배추김치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발아현미 농축액과 추출물 분말이 첨가된 김치는 시판김치와 발효가 비슷하게 진행되었으며 항산화능 및 혈전용해능 등의 기능적인 면에서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품질이 향상된 배추김치의 제조가 가능 할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