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검색결과 760건 처리시간 0.034초

순창산 참두릅과 도라지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ralia elata Seem and Platycodon grandiflorum of Cultivated in Sunchang-gun)

  • 이세원;신미나;이성현;이정호;정경옥;유여진;신하영;태현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3-83
    • /
    • 2020
  • 염증은 물리화학적 자극이나 세균 감염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응하기 위한 생체조직의 방어 반응의 하 나이며 조직이나 장기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기전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반응이 과도해 질 경우 궤양성 대장염, 기관지염, 천식, 대장암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염증반응을 조 절하는 항염증제 개발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국내 염증개선 관련 시장은 현재 약 3조원 규모이며 지속 적인 성장세에 있지만 천연소재의 기능성 중심으로 출시된 제품 중 다수의 제품에서 주로 수입 원료를 사용하고 있어 국내 자생 및 재배하는 천연 소재들의 효능에 대한 검증을 통해 수입 원료 의존도를 낮추 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창에서 재배되는 참두릅 (Aralia elata Seem)과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를 이용하여 천연 염증개선 소재화를 목적으로 기능성 증진을 위한 추 출조건 선정과정과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여 천연소재를 이용한 염증개선 소재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북 순창에서 재배되는 참두릅과 도라지의 추출조건을 선정하기 위해 용매, 온도 및 시간별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함량 평가를 통하여 최적 추출조건 선정을 진행하 였으며, 선정된 추출조건에서 추출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total flavonoids 함량을 확인하여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대식세포인 Raw 264.7을 사용하여 MTT assay,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여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 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Total polyphenol 함량 분석을 통해 최적 추출조건이 선정된 두릅 (주정 40%, 25℃, 3 h), 도라지 (주정 60%, 25℃, 1 h)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DPPH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total flavonoids 함량을 분석한 결과, 도라지보다 두릅에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를 활용한 두릅과 도라지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100 ug/mL 이내의 농도에서 독성활성이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되었으며, 항염증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 ug/mL에서 두릅 추출물이 도라지 추출 물보다 약 33% 이상 NO 생성억제 활성이 높게 나타내었다.

  • PDF

HepG2 Cell에서 녹차씨박 에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Ethanol Extract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HepG2 Cells)

  • 노경희;민관희;서보영;김혜옥;김소희;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67-774
    • /
    • 2011
  • 본 연구는 간암세포주인 HepG2 cell line에서 녹차씨박 추출물을 에탄올,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의 순으로 분획 및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능을 확인한 후 에탄올 추출물을 선정하여 항종양 및 항염증효과를 생화학적, 분자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녹차씨박 에탄올 추출물(DGTSE)의 polyphenol 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EGC($1039.1{\pm}15.26\;{\mu}g/g$)> tannic acid($683.5{\pm}17.61\;{\mu}g/g$)> EC($62.4{\pm}5.00\;{\mu}g/g$)> ECG($24.4{\pm}7.81\;{\mu}g/g$)> EGCG($20.9{\pm}0.96\;{\mu}g/g$)> gallic acid($2.4{\pm}0.68\;{\mu}g/g$)의 순이었으나 caffe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DGTSE의 농도가 $10\;{\mu}g$/mL 이상에서는 84.13%의 세포 증식 억제능($IC_{50}$: $6.58\;{\mu}g$/mL)을 보여 간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제1상효소계인 CYP1A1와 CYP1A2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QR 활성은 DGTSE을 $20\;{\mu}g$/mL 농도로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해 2.6배 증가하였으며 reporter gene activity로 측정한 ARE 활성은 1.94배로 각각 증가하였다. DGTSE의 처리는 염증생성 인자인 PGE2의 생성과 TNF-${\alpha}$의 단백질 발현은 유의적으로 저해하였으며 cytokine 반응, 염증, 세포성장조절과 같은 다양한 단계에 참여하는 전사인자인 NF${\kappa}$B의 핵으로의 translocation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DGTSE은 간암세포인 HepG2 세포계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능을 가지며 해독효소인 QR, ARE의 활성을 증진시키고 NF${\kappa}$B의 translocation을 방해하고 TNF-${\alpha}$의 단백질 발현과 $PGE_2$의 생성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녹차씨박 추출물에 함유된 암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뽕잎 당단백질의 항산화능과 Raw 264.7 세포에 있어서 bisphenol A에 유도된 신호전달인자의 억제 (Glycoprotein Isolated from Morus indica Linne Has an Antioxidative Activity and Inhibits Signal Factors Induced by Bisphenol A in Raw 264.7 Cells)

  • 심재웅;이세중;오필선;임계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09-21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뽕잎 당단백질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뽕잎 당단백질의 안정성 및 특성을 알아보고, hydroxyl 라디칼, superoxide anion 라디칼, DPPH 라디칼 등의 활성 산소종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Raw 264.7 세포에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BPA와 뽕잎 당단백질(32 kDa)을 함께 처리 하여, 뽕잎 당단백질의 활성산소종과 NO의 소거 능력뿐만 아니라 염증 매개성 단백질들 [$NF-{\kappa}B(p50)$와 iNOS]의 활성 억제능력 대하여 평가하였다. 뽕이 당단백질은 금속이온에는 다소 약하지만 온도와 pH에는 안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었으며, 탁월한 hydroxyl 라디칼, superoxide anion 라디칼, DPPH 라디칼 소거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항산화 능력을 지닌 뽕잎 당단백질을 BPA와 함께 Raw 264.7 세포에 처리한 결과, BPA만 처리된 Raw 264.7 세포의 활성 산소종 양은 8시간째에, 그리고 NO 양은 24시간째에 현저히 증가한데 반해, BPA와 함께 뽕잎 당단백질을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는 같은 시간 동안에 농도에 비례하여 활성 산소종 및 NO양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8시간 동안 BPA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의 $NF-{\kappa}B(p50)$와 iNOS 단백질들은 함께 처리한 뽕잎 당단백질의 농도에 비례하여 현저히 억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뽕잎 당단백질은 높은 안정성과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항산화 효과가 환경 호르몬(BPA)에 의한 활성산소종 및 NO 생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NF-{\kappa}B(p50)$와 iNOS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Raw 264.7 세포의 염증 신호전달을 막는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 된다.

지구성 운동시 옻나무 추출액의 지질과산화 및 염증성사이토카인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Rhus Verniciflua Extract on Lipid Peroxida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s during Endurance Exercise Training)

  • 이윤경;권오선;송영주;김세현;김판기;류승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102-110
    • /
    • 2010
  • 옻나무 추출액을 섭취하며 운동훈련을 부하하였을 때 항산화기능 및 염증성사이토카인의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prague-Dawley(SD)계 수컷 쥐를 대상으로 SED(안정군), TRA(운동훈련군), RVE(옻나무 추출액 섭취군), 그리고 RVE-TRA(옻나무 추출액 섭취와 운동 병행군)으로 구분하였다. TRA와 RVE-TRA는 점증적부하법을 이용한 트레드밀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RVE와 RVE-TRA에게는 10 mL/kg의 옻나무 추출액을 경구투여 하였다. 항산화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혈중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malondialdehyde(MDA)를 분석하였으며, 염증성사이토카인의 변화분석을 위하여 interleukin-6(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C-reactive protein(CRP), nitric oxide(NO)를 분석하였다. SOD는 RVE-TRA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가장 높았으며, TRA가 SED와 RVE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GSH-Px는 SED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MDA는 SED에 비하여 다른 집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IL-6와 TNF-${\alpha}$는 RVE와 RVE-TRA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낮았다. 또한 CRP는 SED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가장 낮았다. NO는 SED와 TRA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운동시옻나무 추출액의 섭취는 지질과산화를 억제시키고 항염증성 반응을 유발하여 운동시 발생가능한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이점을 고려하여 옻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한다면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생하고 있는 옻나무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Ursolic acid의 악성 흑색종 세포주 A375SM과 A375P에서의 항암효능 (Anti-Cancer Effect of Ursolic Acid in Melanoma Cell A375SM and A375P)

  • 우중석;김나원;이진규;김재혁;임다영;강신우;김성현;유은선;이재한;한소희;박영석;김병수;김상기;박병권;정지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3-190
    • /
    • 2019
  • 우르솔릭산은 항암, 항산화, 항염증 작용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르솔릭산이 인간 흑색종 암세포인 A375SM과 A375P 세포에 항암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두 세포의 생존율은 MTT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증식률은 Wound healing assay로 확인하였다. 두 세포의 apoptotic body와 apoptosis 비율의 확인을 위한 DAPI 염색과 유세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웨스턴 블로팅을 통하여 흑색종 세포의 우르솔릭산의 농도에 따른 apoptosis 단백질의 유도를 조사하였다. 우르솔릭산의 처리 농도에 따라 흑색종 세포의 생존율 감소와 증식률 감소를 확인하였다. DAPI 염색을 통하여 우르솔릭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흑색종 세포의 염색체 응축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유세포 분석을 통하여 우르솔릭산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흑색종 세포의 apoptosis 비율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웨스턴 블로팅을 통해 흑색종 세포 A375SM과 A375P의 우르솔릭산 $12{\mu}M$ 농도에서 cleaved-PARP와 Bax의 증가와 Bcl-2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우르솔릭산의 농도를 0 에서 $20{\mu}M$ 수준의 저농도에서 진행하였으며, 물질 처리 후 24 시간 뒤 결과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우르솔릭산은 흑색종 세포 A375SM과 A375P에서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의 조절을 통해 항암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송라 추출물의 세포 수준에서 항노화 및 모유두세포 활성화 효과 (In Vitro Anti-aging and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Activation Effects of Usnea diffracta Vain Extract)

  • 김민정;최원영;심현우;신은진;이정노;박성민;유화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7-48
    • /
    • 2024
  • 송라(Usnea diffracta Vain.)는 송라속(Usnea)에 속하는 지의류 중 하나이며, 이전 연구에서 항산화, 항균, 항염, 항종양 및 심혈관 보호 등의 약리학적 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나 피부 및 모발에서의 효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포 수준에서 송라 추출물(UDE)의 항노화 및 모유두세포 증식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송라 추출물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 및 상위기전인 MAPKs (ERK, p38, JNK)와 AP-1 (c-Fos, c-Jun)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송라 추출물은 인간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모발 성장인자인 VEGF 및 KGF의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로 인하여, 모발 증식 및 성장인자의 발현에 관여하는 ERK/CREB의 인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송라 추출물의 주성분 확인을 위해 송라 추출물을 농축 후 Prep-LC를 이용하여 main peak로 나타난 분획을 분리 정제하였고, NMR 및 Mess 분석을 통해 diffractaic acid로 동정하였다. Diffractaic acid는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인간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를 통해 송라 추출물은 항노화 및 모유두세포 활성 증가 효능을 갖는 화장품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천궁 에탄올 추출물의 AMPK 활성화를 통한 U937 인체 혈구암세포의 apoptosis 유발 (Induction of Apoptosis by Ethanol Extract of Cnidium officinale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through Activation of AMPK)

  • 정진우;최영현;박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255-1264
    • /
    • 2015
  • 천궁(C. officinale)은 예로부터 민간처방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항염증, 항산화, 항암 및 신생혈관억제 등의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혈구암세포에서 apoptosis 유발과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혈구암세포인 U937 세포에서 천궁의 열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WECO, EECO 및 MECO)이 유발하는 항암효과 및 항암기전을 조사하였다. 먼저 WECO, EECO 및 MECO가 유발하는 증식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EECO가 가장 뛰어난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apoptosis 유발에 의한 것임을 annexin-V 염색, apoptotic body 형성, DNA 단편화 및 MMP 소실 등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EECO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는 DR4의 발현 증가와 함께 cIAP-1, Bcl-2 및 total Bid의 발현감소가 관여하였으며, caspases-3, -8 및 -9의 활성화와 함께 caspases-3의 기질 단백질인 PARP, β-catenin 및 PLC γ1의 단편화도 관찰되었다. 또한 EECO는 AMPK signaling pathway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이용하여 AMPK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경우 EECO에 의하여 유발되었던 apoptosis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인체 혈구암세포인 U937 세포에서 EECO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는 AMPK가 중요한 조절자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흰쥐에서 흑마늘 추출물과 그 성분들에 의한 혈소판 응집억제 효과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mponents Inhibit Platelet Aggregation in Rat)

  • 최유희;정형민;경규항;류병호;이광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355-1363
    • /
    • 2011
  • 많은 임상 실험을 통해 마늘(Allium sativum)이 심혈관 질환에 유효한 효과가 알려져 있다. 흑마늘(AGE)은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 등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흑마늘의 심혈관계 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흑마늘과 그 유래 성분이 혈소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백서의 혈액을 얻어, 흑마늘과 그 유래 성분의 thrombin에 의해 유도되는 혈소판 응집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흑마늘과 diallyl sulphides는 농도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in vivo 실험에서도 마늘 오일과 S-Allylmercapto-cystein (SAMC)는 thrombin과 ADP에 의해 유도되는 혈소판 응집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흑마늘 유래 SAMC와 diallyl sulphides가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흑마늘이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으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계작지모양가미방(桂芍知母湯加味方)이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yejakjimo-tangkami (Guishaozhimu-tangjiawei) on Osteoarthritis)

  • 홍성민;오민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57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of Kyejakjimotangkami(KMK) on osteoarthritis. Methods We checked antioxidant activity and measured production of $IL-1{\beta}$, IL-6, TNF-${\alpha}$ in RAW 264.7 cell after treat by KMK. Then we measured hind paw weight of Wister Rat with arthritis induced by MIA after KMK oral administration, checked Prostaglandin E2, IL-$1{\beta}$, IL-6, TNF-${\alpha}$, Osteocalcin, TIMP-1, MMP-9, LTB-4 in serum, ran histopathological test and ${\mu}CT$-arthrography. Results 1. DPPH radical Scavenging was increased depend on concentration of KMK ethanol extract in RAW 264.7 cell. 2. Production of N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KMK ethanol extract on concentration of $200{\mu}g/ml$ in RAW 264.7 cell. 3. Production of IL-$1{\bet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KMK ethanol extract on concentration of $200{\mu}g/ml$. And Production of IL-6, TNF-${\alph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KMK ethanol extract of every concentration in RAW 264.7 cell. 4. Result of checking hind paw weight when administered KMK ethanol extract to Wister Rat with arthritis induced by MI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and similar to normal group. 5. Production of Prostaglandin E2, IL-$1{\beta}$, Osteocalcin, TIMP-1, MMP-9 and LTB-4 in ser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KMK ethanol extract after administerd to Wister Rat with arthritis induced by MIA. 6. In Hematoxylin & Eosin staining and Safranin-O staining, we could find inflammation of synovial cell, infiltration of macrophage and granulocyte and degeneration of cartilage and bone were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7. When checked cartilage volume to examine degree of cartilage degeneration using ${\mu}CT$-arthrography, volume of cartilage was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s Comparison of the results for this study showed that KMK ethanol extract have anti-inflammatory effectiveness and can protect cartilage and bone. So we expect that KMK can be used as a effective drugs for osteoarthritis.

Cordycepin에 의한 LNCap 인체 전립선 암세포의 apoptosis 및 G2/M arrest 유발 (Induction of Apoptosis and G2/M Cell Cycle Arrest by Cordycepin in Human Prostate Carcinoma LNCap Cells)

  • 이혜현;황원덕;정진우;박철;한민호;홍수현;정영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2-97
    • /
    • 2014
  • Cordycepin은 Cordyceps militaris에서 처음 유래된 nucleoside adenosine 유도체의 일종으로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약리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LNCap 인체 전립선 암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cordycepin에 의한 항암활성 기전을 연구하였다. Cordycepin 처리에 따라 LNCap 세포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음을 poly ADP-ribose polymerase의 단편화 현상과 Annexin V 염색에 의한 정량적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Cordycepin 처리에 따른 flow cytometric analysis 결과로서 cordycepin이 세포주기 G2/M기 정체 현상을 유발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cyclin B1 및 cyclin A의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cordycepin이 처리된 LNCap 세포에서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p21Waf1/Cip1의 발현이 증가되었지만, CDK2, CDC2 및 Cdc25C의 발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ordycepin에 의하여 증가된 p21 단백질은 CDK2 및 CDC2와의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LNCap 전립선 암세포에서 cordycepin에 의한 G2/M 및 apoptosis 유발은 p53 비존적인 CDK inhibitor p21의 발현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