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hyperlipidemic effect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7초

고지방과 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에서 노루궁뎅이버섯의 항고지혈증 효과 (The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Lion's Mane Mushroom (Hericium erinaceus) i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

  • 장형석;윤기남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3-270
    • /
    • 2017
  • 노루궁뎅이버섯의 자실체가 고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급여한 Sprague 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5주령의 흰쥐에 표준 식이를 급여한 정상군(NC군), 표준 식이에 15%의 돈지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 콜레스테롤군(HFC군), 고지방 콜레스테롤 식이에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첨가한 군(HFC+HE군) 등 총 3개의 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와 식이효율은 HFC군에 비해 HFC+HE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NC군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식이섭취량은 NC군과 HFC군에 비해 HFC+HE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HFC+HE군의 혈청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NC군과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동맥경화지수(AI)도 NC군과 HFC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았다. 그러나 혈청의 중성지방 농도는 NC군에 비해 유의성은 없었으나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HFC+HE의 혈청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는 NC군의 수준을 나타냈다. 혈청의 AST, ALT 및 ALP 활성은 NC군과 유사하였으나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실험 5~6주에 배출된 변을 채취하여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의 양을 분석한 결과 NC군과 HFC군에 비해 변의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 변으로 배출된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의 양이 많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지방 콜레스테롤식이에 5%의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중은 정상군의 수준을 유지하였고, 혈청의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농도도 정상군과 유사하게 낮았으며, 동맥경화지수도 낮아 노루궁뎅이버섯이 흰쥐의 지질대사를 정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생물전환법으로 만들어진 대두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을 섭취한 고지방 식이 쥐의 항고지혈 효과 및 결과에 의한 외삽적용 농도 결정 (An Extrapolation Concentration Decision Effect Antihyperlipidemic of Aglycone Isoflavone from Biotransformation Soybean on the Fed High-Fat Diet Rats)

  • 임애경;정미정;김동우;홍주헌;정희경;김길수;김용해;김대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67-1173
    • /
    • 2009
  • 상황버섯균주를 이용한 생물전환법으로 만들어진 바이오플라본의 항고지혈 활성에 따른 인체 외삽 적용을 위한 최소량을 살펴보고자 실험동물을 정상식이군(NO), 고지방 식이군(CO) 및 바이오플라본 식이첨가군(BFP-0.35, 0.7, 3.0)으로 나눈 후 8주간 사육하였다. 바이오플라본 첨가 식이는 실험동물에 식이섭취량을 감소시키고 체중의 증가를 억제 시켰으며, 장기 무게에 있어서도 간장과 복부지방에 있어서도 CO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또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AI는 감소시키는데 반해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간 조직 손상정도를 나타내는 ALT 및 AST 효소에 있어서도 10% 이상의 효소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바이오플라본에는 고지혈로 야기되는 성인병 및 동맥경화지수를 감소시키는 생리활성 성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모든 실험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바이오플라본 0.35%, 0.7%, 3.0% 농도 중 3% 바이오플라본 첨가군에서 가장 큰 고지혈 감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서 동물 실험 결과를 이용한 사람에게로의 외삽은 3% 농도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또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바이오플라본이 항고지혈과 관련한 식품소재로서의 사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고지혈증 흰쥐에서 발기부전에 대한 생약제제 KH-305의 효과 (The Effect of Herbal Formula KH-305 on Erectile Dysfunction in Hyperlipidemic Rat)

  • 이은정;김희석;김병철;황성완;황성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48-553
    • /
    • 2007
  • 저자들은 일반 흰쥐를 1.5% cholesterol과 0.25% cholic acid, 우지 25% 첨가한 식이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KH-305를 8주간 경구투여하여 혈중 cholesterol과 HDL-C, LDL-C 등을 측정,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최대해면체 내압과 내피 관련 NOS 발현정도를 측정하여 음경발기 촉진 및 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KH-305를 투여한 모든 그룹에서 고지방식이 그룹보다 총 cholesterol 수치와 LDL-C를 낮추었으며 HDL-C의 수치를 높였다. 최대해면체 내압에서는 KH-305 투여 그룹이 고지방식이 그룹보다 최대해면체 내압에 이르는 시간이 짧았고 최대해면체 내압의 수치가 높았으며 이 중 300mg/kg일 경우 가장 효과가 좋았다. 또한, KH-305 모든 투여 그룹은 고지방식이 그룹과 비교해 볼 때 모든 그룹에서 eNOS와 nNOS의 발현이 뚜렷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혈중 cholesterol을 낮추면서 NOS의 발현을 증가, 최대해면체 내압이 큰 KH-305는 고지혈증으로 유발된 발기부전에 효능이 있는 약물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식이성 고지혈 및 비만에 대한 산마늘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eaves on Triton WR-1339-Induced and Poloxamer-407-Induced Hyperlipidemic Rats and on Diet-Induced Obesity Rats)

  • 최종원;이경태;김원배;박광균;정원윤;이진하;임상철;정현주;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36권2호통권141호
    • /
    • pp.109-115
    • /
    • 2005
  • The herb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liaceae) has been used as an edible wild herb and to treat heart failure and gastritis. We have already reported antihyperlipidemic anti-tumor effects of this plant. To enlarge the commercial availability of this foo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extracts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reduce hyperlipidemia and obesity or not. The plants tested in this experiment were collected from two eco-types of Is. Ullung and Mt. Odae cultivated at Pyongchang. Extracts were prepared by extracting the fresh leaves and those dried at $36^{\circ}C$ and $90^{\circ}C$, respectively. Pretreatment with the ethanolic extracts for two weeks(p.o.) reduce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tents in rats induced by Triton WR-1339, respectively. Furthermore, oral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s also inhibited the hyperlipidemia induced with oral diet of 30% corn oil. In the other attempt to find to alleviate the obesity, the model rats with obesity were induced by the high fat-diet for six weeks. Post-treatment with the extracts for two weeks significantly reduced the hyperlipidemia. Retroperitoneal-, epidymal- and total abdominal fat pad weights were considerably reduced at 100 mg/kg oral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s. Increased feces lipid contents were also found in the rat treated with the extracts. The extract may lead to the higher activity in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obesity than of the dried one.

제2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서 ginsenoside Rg1의 항당뇨 효과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Ginsenoside Rg1 in Type 2 Diabetic Mice)

  • 박재홍;이지연;여지영;남정수;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32-938
    • /
    • 2011
  • Ginsenoside Rg1은 인삼에서 분리한 약물학적인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본 연구는 Rg1이 제2형 당뇨병 모델 동물에서 혈당과 지질대사에 유익한 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0주령의 db/db 마우스에 Rg1을 10 mg/kg 농도로 15일간 경구투여한 결과 공복혈당이 감소하였고, 포도당 내성이 개선되었다. 특히 혈중 중성지방과 유리지방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중 HDL-콜레스테롤이 증가되었다. 또한 chimeric GAL4-PPAR${\alpha}$ receptor 활성 프로모터를 활성화시켰고 PPAR${\alpha}$ gene인 CPT-1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과 ACO (acyl-CoA oxidase)의 발현을 증가시켰는데 이것으로 Rg1의 지질대사 개선이 PPAR${\alpha}$ 활성에 의한 지방산 산화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Rg1은 제2형 당뇨병과 관련된 고혈당증과 고지혈증에 유용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