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rowning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9초

마늘가수분해물의 갈변반응에 미치는 항갈색화제의 영향 (Effects of Antibrowning Agents on the Browning Reaction of Enzymatic Garlic Hydrolyzate)

  • 김영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1-206
    • /
    • 1998
  • The antibrowning effcts of cysteine, citric acid and ascorbic acid on the browning reaction of enzymatic garlic hydrolyzate were investigated at 37$^{\circ}C$ for 12 days. Cysteine was the most effective antibrowning agent followed by citric acid. The antibrowning effects of cysteine and citric acid were greater as concentrations increased,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both cysteine and citric acid as antibrowning agents was 0.3%. Ascorbic acid itself contributed to the browning reaction and showed an accelerating effect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ddition of 0.1% ascorbic acid as synergist either to 0.3% cysteine or 0.3% citric acid did not enhance significantly the antibrowning effect of cysteine or citric acid. When stored at 3$0^{\circ}C$, 4$0^{\circ}C$ and 5$0^{\circ}C$, the browning reaction was accelerat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especially at 5$0^{\circ}C$. Even though the effects of citric acid and cysteine as inhibitors on the browning reaction de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cysteine was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browning reaction than citric acid.

  • PDF

갈변억제제가 건조양파의 갈변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browning Agents on the Quality and Browning of Dried Onions)

  • 기해진;박양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979-984
    • /
    • 2000
  • 열풍건조양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갈변억제제를 선발하였고, 갈변억제제가 갈변도, 환원당, pyruvic acid및 vitamin C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절단한 양파는 $70^{\circ}C$에서 5시간 열풍건조 하였고 수분함량은 3% 이내였다. 여러 가지 갈변억제제중 cyclodextrin과 corn starch를 갈변억제제로 선발하여 처리한 결과 4% 전분현탁액에 침지한 양파가 다른 처리구에 비교하여 갈변억제효과가 뛰어났고, 색의 변화와 갈변도는 상관성이 있었다. 갈변억제제를 처리한 건조 양파들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갈변을 약 $24{\sim}32%$ 억제하였다. 대조구에 대한 처리구의 갈변억제율은 물에 침지한 것은 16%, 0.5% cyclodextrin 처리구는 24%, 4% corn starch 처리구는 32%로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처리에 따른 건조양파의 성분중 pyruvic acid는 약 $15{\sim}26%$만이 잔존되어 크게 감소되었으나 환원당 및 vitamin C 함량은 비교적 변화가 적었다.

  • PDF

최소가공채소류에 적합한 갈변방지제의 선발 (Screening of Antibrowning Agents for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 박우포;조성환;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8-282
    • /
    • 1998
  • 편의성과 신선함을 동시에 추구하는 최소가공채소류의 저장 유통중에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중의 하나인 갈변을 억제할 수 있는 적절한 갈변방지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ascorbic acid, citric acid 및 allyl isothiocynate (AITC)의 농도를 달리하여 깐마늘, 콩나물, 절단 양파 및 절단 풋고추에 처리하여 저장하면서 이들의 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깐마늘은 citric acid 1%, 콩나물은 ascorbic acid 1%, 양파는 citric acid 2%, 풋고추는 ascorbic acid 1% 처리시에 색차가 비교적 낮게 나타나 갈변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TC는 마늘에 있어서 저장 10일까지는 갈변 억제의 효과가 있었으나 다른 품목에 있어서는 오히려 갈변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깐마늘은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시료 표면의 갈변 정도와 polyphenol oxidase의 역가가 증가하였으나 절단 풋고추는 갈변 정도가 커짐에 따라 효소의 역가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과농축액에 대한 갈변억제제 처리효과 (The Effect of Antibrowning Agents on Enzymatic Reaction in Apple Concentrate)

  • 김현위;배수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54-458
    • /
    • 2002
  • 과실가공품에서의 갈변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과농축액에 갈변억제제 즉, PVPP (polyvinylpolypyrrolidone), bentonite, gelatin, celite 545, tannic acid, sodium sulfite를 첨가하여 여과한 후 갈변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색도의 변화는 PVPP를 첨가한 농축액에서 L값(lightness)이 8.16으로 대조구와 다른 농축액에 비해 갈변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탁도(660 nm에서의 흡광도)는 대조구 0.05인데 비해, PVPP, gelatin celite 545, tannic acid, sodium sulfite를 함유한 사과농축액은 각각 0.003, 0.038, 0.038, 0.018, 0.022로 다소 낮은 수치를 보여 부유물 등의 제거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PVPP의 효과가 뚜렷하였다. 또한, PVPP 처리된 사과농축액 중의 PPO(polyphenoloxidase)활성과 폴리페놀화합물(catechol, catechin,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등) 함량에서도 현저하게 감소하여 효소적 갈변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VPP가 사과농축액의 색상, 탁도, PPO활성 및 폴리페놀화합물 함량 등 효소적 갈변특성을 개선시키는 우수한 갈변억제제임을 확인하였다.

천연 갈변방지제를 이용한 최소가공 사과 절편 개발 (Natural antibrowning treatments on fresh-cut apple slices)

  • 손석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51-155
    • /
    • 2007
  • 사과 절편에 레몬, 귤, 오렌지, 파인애플 그리고 루바브 주스로 전 처리한 후 $4^{\circ}C$에서 저장하면서 갈변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루바브 주스로 처리한 경우 L값 (0.47) 및 E값의(1.8) 변화가 매우 낮아 처리구 중에 가장 우수한 갈변 억제 효과를 보였다. 루바브 주스의 갈변 억제력은 원액을 2배 희석하더라도 저장 6일 정도까지 효과적으로 갈변이 억제되었다. 투과성 ($4{\mu}m$ LDPE) 및 차단성 포장재($65{\mu}m$ Nylon/PE 복합필름)에 따른 사과 절편의 갈변 억제 효과는 최대 저장 기간 7일 동안 갈변 억제력의 유의성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기체조성을 달리하여 포장한 경우에는 진공감압 (0.1atm) 및 고산소(70% $O_2$) 포장보다는 질소 충진 (100% $N_2$) 포장의 경우가 갈변억제력이 뛰어났다.

  • PDF

천연 갈변저해제로서의 민들레 및 감국 추출물의 항산화 및 갈변억제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browning Effects of Taraxacum platycarpum and Chrysanthemum indicum Extracts as Natural Antibrowning Agents)

  • 장민선;박미지;정문철;김동만;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84-589
    • /
    • 2011
  • 천연 갈변저해제 소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민들레와 감국을 열수 및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에 대하여 PPO 저해활성과 DPPH radical 소거능, 총페놀 함량 등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추출물을 사과슬라이스에 침지하여 외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감국 추출물이 민들레 추출물보다 높은 PPO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그리고 총페놀 함량 등에 대해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에 대하여 사과 슬라이스에 침지하여 처리한 결과 감국 추출물에서 높은 L값과 낮은 ${\Delta}E$값을 보여 색 변화가 적게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국의 경우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 효과 및 PPO 저해활성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본 연구를 통하여 천연 갈변저해제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사용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양파농축액에 대한 일부 항갈색화제의 효과 (Effects of some Antibrowning Agent on Onion Juice Concentrate)

  • 손종연;손흥수;조원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29-534
    • /
    • 1996
  • Using cystine, ascorbic acid and citric acid, retarding and synergistic effect on the browning reaction of onion juice concentrate was evaluated. Cysteine retarded the browning reaction most effectively followed by citric acid ; on the contrary, ascorbic acid accelerated rather than retarded the reaction at the concentration of 0.1%. The retarding effect of cysteine increased abruptly up to concentration of 0.3% and remained unchanged. Citric acid acted more effectively than ascorbic acid in terms of synergism. The browning reaction of onion juice concentrate exhibited activation energies of 62J/mol with cysteine and citric acid as compared to 73J/mol for control. $Q_{10}$ was determined to be 2.52 and 2.38 for control, 2.2 and 2.09 for treatment in the temperature range of 30~4$0^{\circ}C$ and 40~5$0^{\circ}C$, respectively.

  • PDF

녹차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의 항산화 및 갈변억제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browning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and Propolis)

  • 장민선;박미지;정문철;김동만;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9-326
    • /
    • 201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related to browning of hot water and 80% ethanol extract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and propolis. The extracts were assessed for polyphenol oxidase (PPO) inhibitory activity and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addition, apples were cut into 15 mm thick slices and dipped for 1 min in 0.5% of the green tea extracts and the propolis solutions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 The PPO inhibitory activity of the green tea extract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propolis. The high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0.81%), total phenol contents (170.42 mg/mL) and the metal chelating effects (45.93%) were measured in the green tea hot water extracts. The mineral content of the green tea water extracts was 69,328.44 ppm potassium and 2,409.42 ppm magnesium. After 24 h, the ${\Delta}E$ value of the apple slices treated with the green tea water extracts was the lowest (1.35). The antibrowning effects of the green tea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propolis in the apple slices.

천연 갈변저해제를 처리한 신선절단 감자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otatoes with Natural Antibrowning Treatment during Storage)

  • 황태영;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3-187
    • /
    • 2006
  • 감초와 녹차추출액에 신선절단한 감자를 침지하고 각각 LDPE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함에 따라 L value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ascorbic acid를 함께 처리한 경우 하락 폭을 줄여 줄수 있었다. 저장 중 포장내의 이산화탄소 함량은 증가하였고 산소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저장 7일경까지는 녹차와 ascorbic과의 병용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큰 변화 가 없었으나 저장 14일경에는 모든 구에서 급격한 증가 현상을 보였다. Chlorogenic acid의 경우에도 총페놀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띠었다. PRO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고 있었으며 갈변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던 저장 7일경의 감초 및 녹차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후 14일경 갈변의 심화와 함께 효소의 활성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천연물인 감초추출물과 ascorbic acid를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 냉장저장 시 일정기간 동안 천연물을 이용한 갈변저해 및 품질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 처리 키토산과 메일라드 반응액 혼합물에 의한 tyrosinase 억제 활성 및 항균력 분석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by mixtures of ultrasonicated chitosan and Maillard reaction products)

  • 김경자;양용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522-252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 처리 키토산과 메일라드 반응액 혼합물에 의한 tyrosinase 억제 활성과 항균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감자로부터 tyrosinase를 분리하여 SDS-PAGE후 일반 단백질 염색과 tyrosinase 활성 염색을 행하여 tyrosinase를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당 (glucose, fructose, galactose, xylose, arabinose or ribose)과 cystein과의 반응으로 생성된 메일라드 반응 산물의 tyrosinase 억제 활성을 비교한 결과, glucose과 cystein 반응으로 생성된 메일라드 반응 산물의 tyrosinase 억제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0.5% 아세트산에 녹인 1% 키토산을 시간별로 초음파 처리한 후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1 시간 이상 초음파 처리한 경우 E. coli 균주 와 S. aureus 균주에서 억제 활성을 보였다. 갈변 억제 활성과 항균력을 가진 혼합물 제조를 위하여 초음파 처리 키토산과 메일라드 반응액을 혼합비를 달리하여 조사한 결과 부피 비로 1 : 1 로 혼합한 경우가 tyrosinase 억제 활성과 항균력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