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smoking advertisi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금연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관여도와 지식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nti-smoking Advertising : Based upon Interation of Involvement and Knowledge)

  • 이종민;이수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6권
    • /
    • pp.61-9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smoking advertising on attitude toward anti-smoking and behavioral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terms of audience's involvement with anti-smoking and knowledge on smoking. For this, a total of 10 hypothesis were established and statistically t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ll but hypothesis 1-1(attitude toward anti-smoking is more favorable in the high involvement condition than in the low involvement condition) were unfortunately rejected. These results can be justified by theoretical explanations such as Hierarchy Effects Model or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In addition, some methodological reasons were provided as well.

  • PDF

Designing Health Games for Anti-Smoking Advertising Targeting College Students: The Impact of Message Types and Voice-Over

  • Yoo, Seung-Chul;Eastin, Matthew 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3호
    • /
    • pp.17-24
    • /
    • 2017
  • Video games are an alternative channel for public health authorities constantly striving to reach target audiences and make positive chang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ddress effectiveness of health games as a health promotion technology for anti-smoking communication. This study tested the impact of advertising message types and voice-over relative to anti-smoking persuasion. By using commercial-level custom-made first person shooter (FPS) games, two experimental studies demonstrated usefulness of applying health games to change a player's attitude towards smoking. In particular, an interactive in-game message with a persuasive voice over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hange targets' attitude towards smoking. Findings of our research offer meaningful insight on health promotion research and provide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anti-smoking communication using health games.

Optimizing Anti-Smoking Campaigns: The Dynamic Interplay of Self-Construals, Cigarette Types, and Cessation Stages

  • Dong Hoo Kim;SoYoung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3호
    • /
    • pp.358-366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tailored anti-smoking campaigns by examining the interplay between self-construals, cigarette types, and stages of change in smoking cessation efforts. Focusing on both combustible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users, the research explores how messages framed around either independent o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influence attitudes and intentions to quit smok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 the early stages of cessation, combustible cigarette users respond more positively to messages emphasizing independent self-construals, which highlight personal health risks. Conversely, in the later stages, e-cigarette users are more receptive to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messages that stress the broader impacts of smoking.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ligning smoking cessation messages with the psychological profiles and cessation readiness of different smoker groups. We offer theoretical and empirical insight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health campaigns.

울산광역시 시민에서 금연 광고가 금연 의향 및 유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iveness of Anti-Smoking Advertisement o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in Citizens of Ulsan Metropolitan City)

  • 옥종우;표지희;옥민수;김서준;유철인
    • 보건의료기술평가
    • /
    • 제6권2호
    • /
    • pp.114-122
    • /
    • 2018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typical anti-smoking advertisement o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in citizens of Ulsan Metropolitan City. Methods: A total of 700 citizens (600 adults and 100 high school student) participated in face-to-face interviews survey using paper questionnaire. Three anti-smoking advertise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atient video advertisement, tobacco hazard information advertisement, and COPD patient voice advertisement. Each participant randomly evaluated only one of the three non-smoking anti-smoking advertisements. Participants were asked whether they had seen or heard anti-smoking advertisements before and asked whether they understood the advertisement well. They also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non-smokers to maintain smoking cessation and how effective it would be to help smokers quit. Results: Among the three anti-smoking advertisements, 54.8% of participants said that they watched COPD patient video advertisement before. More than 95% of participants said they can understood anti-smoking advertisements. Among the three anti-smoking advertisements, tobacco hazard information advertisement was evaluated to be most effective to maintain non-smokers' smoking cessation (234, 92.5%). Tobacco hazard information advertisement was also evaluated to be most effective to make smokers quit smoking (216, 84.7%). Conclusion: Anti-smoking advertisem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non-smoker's willingness to keep smoking and smokers' willingness to quit smoking. In future studies,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at the long-term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o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ore various anti-smoking advertisements.

금연 TV광고의 내용분석 연구 -한국과 미국의 차이에 기반한 건강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적용- (Content Analysis of Anti-Smoking TV advertisements: Different Adaptation of Health Communication Theories between Korea and the U.S.A.)

  • 홍은희;이철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76-87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텔레비전 금연 광고를 내용분석하여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금연 광고의 메시지 구성에 있어서 모델이 되는 이론들에서 제시하는 요소를 종합하고 이러한 요소가 실제 한국과 미국의 금연광고에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특히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인 차이에 따른 광고 메시지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을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의 금연광고와 같은 기간의 미국 금연광고를 샘플링하여 총 71개의 TV광고를 건강증진재단의 자료를 통해서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연광고는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이론인 건강신념모델, 합리적행동이론, 사회인지이론등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시청자들에게 흡연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만들고 흡연을 하지 않게 하는 행동적인 목적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금연광고는 사회적 규범의 메시지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흡연에 대한 태도 메시지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는 가장 적게 사용한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금연광고에서 사용된 정서는 국가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양국 모두 공포와 유머가 제일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슬픔이나 단순정보전달, 분노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었다. 청소년층만을 대상으로 광고가 제작된 경우는 양국 모두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금연광고에서 자주 사용된 메시지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을 발견함으로써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요소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금연광고의 학문적 이해에 기여하였다.

금연홍보 캠페인의 메시지 효과평가 -영상홍보물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Evaluation of Anti-Smoking Public Relations Message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Using Televised Health Messages-)

  • 이철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4권
    • /
    • pp.223-24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금연홍보 영상물 메시지의 전달방법이 흡연에 대한 신념, 태도, 행동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영상물 제작에서, 정보결손모델, 건강신념모델, 계획된 행동이론, 사회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금연 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를 실험연구를 통해서 각각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금연 메시지의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는 메시지의 측면성, 자아효능감, 규범적 압력이 도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한 메시지의 효과를 흡연자와 금연자 집단으로 나눠 이원변량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금연자가 양면적 메시지로 구성된 실험물에 노출되었을 때, 그리고 규범적 압력의 메시지가 포함된 실험물에 노출되었을 때 금연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여부에 관계없이 규범적 압력이 포함된 실험 영상물이 사회적 흡연 신념을 억제시키는 설득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흡연여부와 관계없이 양면적 메시지와 규범적 압력이 포함된 영상물을 선호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자아존중감의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양면적 메시지와 규범적 압력의 메시지의 주효과가 일부 흡연신념을 통해서 나타난 것에 비해서 흡연여부의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흡연태도가 차이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흡연자가 금연자와 마찬가지로 담배의 신체위해성이나 심리적, 사회적 이유로 흡연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인식한 상태에서 흡연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금연메시지를 구성하는 이론적 토대에 따라 영상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으로 향후 실제 금연 캠페인에 적용할 수 있는 메시지 전략도출에 기여를 하였다는 점이다.

  • PDF

우리나라 중학생의 흡연실태와 관련 요인 분석 (Analysis of Related Factors on Middle School Student Smoking in Korea)

  • 장진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5-88
    • /
    • 2006
  • Purpose : This study are the secondary data of Global Youth Tobacco Survey(GYTS) developed by the WHO and United State Center for Disease Control(CDC) and Prevention to trace tobacco use among youth in youth in countries across the worl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rve for a basis for antismoking campaigns and to prevent adolescents from smoking by analyzing the smoking by analyzing the smoking realities factors. Methods :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chool-based survey, which employed a two-stage cluster sample design to produce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3 to 15 years olds. Seventy-five schools were selected. All schools containing grade 1, 2 and 3 that contained 40 or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ampling frame.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proportion of smoking students in middle school was 6.4% and the rate of smoking in male students(7.4%) was higher than it of in female students(5.5%). 2. 26.5% of all respondent had a experience to try smok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trying smoking in male students was increased by grade more than female students. 3. According to test of significance in regression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sex, school grade, smoking parents, friends distinction, pocket money and other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4.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in proportion to the completing the preventive education for nonsmoking(p=0.0023) and the acquirement of knowledge on smoking(p<.0001). 5. Finally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exposure to anti-smoking campaign(p=0.0053) and tobacco advertisement in the mass media and the smoking(p=0.0036). Conclusion : All things considered, the health education for tobacco control in school need to be develop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 suggest that prevent smoking program in school need to be revitalized and be made more accessible for everyone who wish to quit. And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the regulation on total banning promoting cigarette advertising and smoking scene in the movie for young people.

중국 공익광고에 나타난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 -중국 황하상(黃河奬) 공익포스터를 중심으로- (Visual Representation of Fear Appeals in Chinese Public Service Advertising -Focused on HuangHe Award-winning Public Service Posters-)

  • 타오진;양종훈;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79-392
    • /
    • 2019
  • 공익광고는 공중의 이익 증대를 목적으로 집행되는 설득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한 형태이다. 공익광고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중의 긍정적인 태도나 적극적인 행동 변화를 실질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광고전략이 구체화 되어야 한다. 중국은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공익광고를 적극적으로 집행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창작에 대한 정부의 통제가 효과 제고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공익광고에 나타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써의 소구방식을 살펴보고 설득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2016년 황하상 수상작 공익광고 포스터 중 공포소구를 활용한 33편을 대상으로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표현 전략을 구체화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안전운전과 금연캠페인에서 공포소구가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정과 흰색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메인비주얼 표현방법은 '사실적' 형식, '사실적 구상' 형태, '사진' 유형, '암시연상' 및 '과장된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공익광고의 제고를 위한 이론적, 실증적 정보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흡연위험요인관리를 위한 부문간 협력: WHO FCTC를 중심으로 (Intersectoral Collaboration for Tobacco Policy: Focusing on WHO FCTC)

  • 최은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16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was to review Intersectoral Collaboration policies for Tobacco Control. Methods: The author selected the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and adopted guidelines, and reviewed intersectoral and multisectoral collaboration policy recommendations. Results: There are 11 chapters and 38 articles in the Convention. In the Demand reduction policies included price and non price measures. The author selected a few non price measures for cross sectoral collaboration examples. They are protection from exposure to tobacco emissio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banning advertising, promotion and sponsorship of tobacco products, and offering treatment to tobacco use cessation. Inter sectoral and multi sectoral approaches could increase effectiveness, and better outcome of the tobacco control policy for implementation of many different articles of FCTC.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give a specific role in structures of different government sectors and infrastructure for intersectoral collaboration. In addition, the role of civil society is very important for implementation of tobacco control policy effectively, and governments have to support the civil society for anti-smoking activities and campaigns.

대사증후군의 인지와 신체활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데이터 마이닝 접근 (Factors influencing metabolic syndrome perception and exercising behaviors in Korean adults: Data mining approach)

  • 이수경;문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81-588
    • /
    • 2017
  • 본 연구는 기계 학습법 중 하나인 XGBoost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을 인지하고 신체활동을 수행하는 집단을 예측하고자 2014년 7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시도되었다. 이에 2009-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고 370,430명의 성인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대사증후군의 인지 및 신체활동 실천정도에 따른 단계로 3단계로 구분하였다:Stage 1(무인지, 무 신체활동), Stage 2(인지, 무 신체활동), and Stage 3(인지, 신체활동). 예측변수로는 5년간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중 공통으로 수집된 문항으로부터 161개의 특성을 선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R program을 이용하여 XGBoos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확도는 0.735 이었으며, 가장 영향을 미치는 10개의 특성은 나이, 교육수준, 체중조절시도 경험, EQ-5D 운동능력, 영양표시 확인, 개인 건강보험가입 유무, EQ-5D 일상활동, 금연광고경험 여부, 통증유무, 당뇨에 대한 보건기관의 교육 경험 순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XGBoost가 보건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의 예방과 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에 취약한 계층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