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pigmentation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1초

B16/F10 흑색종양세포에서 삼내자 메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윤정원;한정민;윤화정;고우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8
    • /
    • 2013
  • Objective: Recently the demands for the effective and safe depigmentative and anti-aging agents of the skin have increased due to the medical, pharmaceutical and cosmetic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KG(Methanol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and their dermal bioactivity properties related to cosmeceuticals such as depigmentation. Methods: We assessed inhibitory effects of MKG on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effects of MKG on the expression tyrosinase, TRP-1, TRP-2, GSK-$3{\beta}$, CREB, MITF in B16/F10 melanoma cells without cytotoxicity rang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tyrosinase activity was assessed using by DOPA staining, western-blot analysis. We measured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by down-regulation of melanogenic enzyme expressions in ${\alpha}$-MSH induced melanogenesis B16/F10 melanoma cells. Results: MKG inhibited tyrosinase-activity, total melanin contents and dendrite out-growth. MKG inhibited melanogenesis by down-regulation of tyorsinase, TRP-1, TRP-2, CREB, and MITF in B16/F10 cells. The treatment with MKG at the 12.5, $25{\mu}g/ml$ leve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melanin synthesis induced ${\alpha}$-MSH in B16/F10 melanoma cells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KG inhibit melanin biosynthesis which is involved in hyper-pigmentation. So MKG is considered to be used as a whitening components reducing cytotoxicity.

Dietary addition of a standardized extract of turmeric (TurmaFEEDTM) improves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broilers

  • Johannah, NM;Ashil, Joseph;Balu, Maliakel;Krishnakumar, 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5호
    • /
    • pp.8.1-8.9
    • /
    • 2018
  • Background: Indiscriminate use of antibiotics in livestock and poultry farming has caused emergence of new pathogenic strains. The situation has warrented the development of safe and alternative growth promoters and immunity enhancers in livestock. Herbal additives in animal and bird feed is a centuries-old practice. Thu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a standardized formulation of lipophilic turmeric extract containing curcumin and turmerones, (TF-36), as a natural growth promoter poultry feed additive.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on 180 one-day old chicks, assign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T_0$) kept on basal diet and supplemented groups $T_{0.5}$ and $T_1$ fed with 0.5% and 1% TF-36 fortified basal diet for 42 days. Each dietary group consisted of six replicates of ten birds. Body weight, food intake, food conversion ratio, skin colour, blood bi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nt status of serum were investigated. Results: Body weight improved significantly in $T_1$ with a 10% decrease in FCR as compared to the control. TF-36 supplementation in $T_1$ enhanced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y significantly (p < 0.05) with a decrease (p < 0.05) in lipid peroxidation. It also caused a slight yellow skin pigmentation without any change in meat color, indicating the bioavailability of curcumin from TF-36.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serum creatinine, total protein and liver enzyme activities were observed, indicating the safety. Conclusion: In summary, we concluded that TF-36 can be a natural feed additive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in poultry, probably due to the better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effects contributed by the better bioavailability of curcuminoids and turmerones. Besides, curcuminoids and turmerones were also known to be gastr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agents.

천궁으로부터 멜라닌 생성억제 물질 분리 (Isolation of Melanogenesis Inhibitors from Cnidii Rhizoma)

  • 이윤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1-84
    • /
    • 2004
  • 천연물로부터 치은에 생성되는 멜라닌의 양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치은 미백을 목표로 하는 물질을 분리하고자 문헌에 소개되고 있는 미백 효과를 가진 전통한약을 비롯하여, 민간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 100여 종의 고등식물을 대상으로 B-16 mouse melanoma cell lines에서 melanin 생성 억제 효과를 screening하였다. 그 결과 천궁의 methylene chloride 분획에서 활성을 나타내어 실험재료로 선택하여 2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각종 spectral data를 검토하여 linoleic acid methyl ester(1), 1,3-dilinoleoyl-2-stearoyl glycerol(2)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B-16 mouse melanoma cell lines에서의 melanin 생성억제 활성을 Kojic acid를 비교 물질로하여 측정하였다. 2종의 화합물 중 1,3-dilinoleoyl-2-stearoyl glycerol은 높은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linoleic acid methyl ester는 Kojic acid에 비하여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Synthesis of Novel Kojic Acid Derivative and Its Anti-pigmentation Effect

  • Kim, K. H.;Kim, K. S.;Kim, J. G.;Park, S. H.;E. K. Yang;Park, S. 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719-732
    • /
    • 2003
  • A kojic acid derivative, kojic acid 7-O-$\beta$-D-tetraacetylglucopyranoside(KTG) was synthesized. Regio-and stereo-selective glycosylation at 7-postion in kojic acid with $\beta$-D-pentaacetylglucose was achieved with high yield(80%) by the use of Lewis acid and organic base in nonpolar solvent. KTG was hydrolyzed in methanol by the aid of sodium methoxide to give kojic acid 7-O-$\beta$-D-glucopyranoside(KGP). KGP is freely soluble in water and soluble in methanol and ethanol. Its structure was comfirmed by $^1$H-NMR and $^{13}$ C-NMR.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of KGP was measured with mushroom tyrosinase compared with ascorbic acid, kojic acid and arbutin. KGP showed higher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IC_{50}$/=33.3 $\mu\textrm{g}$/ml) than ascorbic acid(63.2 $\mu\textrm{g}$/ml) and arbutin(91.8 $\mu\textrm{g}$/ml) but lower inhibition activity than kojic acid(8.3 $\mu\textrm{g}$/ml). To test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 used 1, 1-diphenyl-2-picrylhydrazyl(DPPH) as a free-radical source.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KGP was very low($SC_{50}$/>1000 $\mu\textrm{g}$/ml) compared with ascorbic acid($SC_{50}$/=2.68 $\mu\textrm{g}$/ml) and arbutin($SC_{50}$/=180$\mu\textrm{g}$/ml). Melanin formation inhibition of KGP was measured in B16 melanoma, compared with kojic acid, arbutin and Vitamin C. Inhibition activity of KGP for melanin formation was not found within test concentrations.

  • PDF

Antimelano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rimethoxybenzene derivatives: methyl 3,4,5-trimethoxybenzoate, ethyl 3,4,5-trimethoxybenzoate, methyl 3,4,5-trimethoxycinnamate, and ethyl 3,4,5-trimethoxycinnamate

  • Jaewon Shin;Harim Lee;Seunghyun Ahn;Won Seok Jeong;CheongTaek Kim;Seyeon Par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299-306
    • /
    • 2022
  • In this study, derivatives of trimethoxybenzene were investigated as inhibitors of melanogenesis. We examined the effects of methyl 3,4,5-trimethoxybenzoate (MTB), ethyl 3,4,5-trimethoxybenzoate (ETB), methyl 3,4,5-trimethoxycinnamate (MTC), and ethyl 3,4,5-trimethoxycinnamate (ETC). First,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se agents on melanin production were evaluated using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We found that all derivatives decreased α-MSH-induced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ETC showed a strong inhibitory effect at half of the concentration of the other derivatives. As tyrosinase is considered a key enzyme of melanogenesis,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derivatives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MTC and ETC reduc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d expression levels of α-MSH-induced B16F10 cellular tyrosinase protein. Inhibitory effects of all derivatives on α-MSH-induced B16F10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were shown in a dose-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the derivatives were exposed to diphenylpicrylhydrazyl free radical to examine their antioxidant characteristics. All derivatives showed considerable antioxidant activity, which was 2-fold higher than that of arbutin. In conclusion, the trimethoxybenzene derivatives, including MTB, ETB, MTC, and ETC exerted anti-melano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on α-MSH-stimulated melanogenesis, demonstrating their potential for use as novel hypopigmenting agents and antioxidants.

UVB로 손상이 유도된 피부세포에 해양소재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Anti-aging Effects of Marine Natural Extracts against UVB-induced Damages in Human Skin Cells)

  • 이찬;장정희;김보애;박찬익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5-261
    • /
    • 2012
  • 피부는 끊임없이 외부환경에 노출되며 가장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는 자외선방사이다. 자외선 방사로 인하여 피부에 염증, 착색, 광노화 및 피부암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천연소재 (김, 다시마, 모려, 모자반, 미역, 석결명, 우뭇가사리, 청각, 톳, 파래)로부터 피부보호 항산화제를 조사하기 위해 자외선으로부터 기인된 세포보호 효과를 증명하였으며 세포독성, 산화에 의한 세포사멸, 항노화 효과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자반, 한천, 석결명, 청각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군이 자외선으로 유도된 세포독성 및 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실험에서 자외선에서 인한 세포사멸은 세포내 축적이나 ROS로부터 매개되지만 해양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해양추출물의 보호효과 증가는 Type I collagen과 Type I procollagen에 의해 매개하는 것과 연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들의 결과는 해양추출물이 노화예방 및 항산화제로서의 우수한 특성으로 피부손상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프로 비타민 D 의 피부색 조절 및 면역 효능 (Effects of Provitamin D on Skin Pigmentation and Immunity)

  • 최현정;민대진;최은정;박승한;김형준;박원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3-161
    • /
    • 2024
  • 비타민 D는 주로 자외선에 의해 피부에서 만들어지는 지용성 비타민이다. 멜라토닌과 함께 대표적인 '크로노바이오틱(chronobiotic)' 물질로써 피부가 낮과 밤을 구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비타민 D는 조효소 역할을 하는 비타민이자 여러 종류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호르몬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장품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비타민 D 전구체인 프로 비타민 D (7-dehydrocholesterol)의 피부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프로 비타민 D는 멜라닌 생성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피부톤 케어 효과는 인공 피부에서도 검증되었다. 또한 프로 비타민 D는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TNFa의 발현을 억제하고, 자외선에 의해 비타민 D로 전환되면 항균 펩타이드인 CAMP (LL-37)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프로 비타민 D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은 멜라닌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프로 비타민 D가 비타민 D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화장품 제형에 프로 비타민 D를 활용한다면 피부톤을 조절하고 피부 면역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일상 생활 속에서 자외선에 의해 비타민 D 전환되면 다른 피부 효능, 즉 피부 항노화, 장벽 기능 향상 등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청정해역 곰피추출물의 세포생리활성 연구 (In vitro Effect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Extract on the Cell Growth in CCD-986sk Human Fibroblast and Melanin Formation Inhibition in Clone M-3 Mouse Melanocyte Cell Line)

  • 황은경;조명환;박찬선;김명희;박갑주
    • 환경생물
    • /
    • 제26권1호
    • /
    • pp.30-35
    • /
    • 2008
  • 곰피추출물의 CCD-986sk cell line monolayer (human fibroblast, KCBL-21947)에 대한 피부세포 생리활성효과를 측정하고, 또한 곰피추출물의 Clone M-3 mouse melano-cyte cell line에 대한 melanin formation 저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in vitro레벨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곰피는 다년생 갈조류의 일종으로 이 종은 한국 연안해역에서 중요한 1차생산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종이며 연안 생태계에 있어서 생태학적으로나 수산업상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대형 갈조류에 관한 연구는 주로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으며(Notoya and Aruga 1990), 유주자의 발아와 핵분열(Yabu and Notoya 1985) 등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일본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보고된 바 있고, 국내에서는 Park et al. (1994)이 부산만 인근해역 곰피의 생장과 연령 조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순간접착제를 이용한 곰피의 이식 등에 관한 연구(최 등 2002)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곰피의 식품 또는 약품제제로서의 기능성을 밝히는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곰피추출물에 풍부하게 함유된 fucoidan, L-Ascorbic 산 및 collagen 등에 주목하여 곰피의 피부노화방지제로서의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일환으로 우선 곰피추출물이 피부재생, 주름살제거 및 피부미백작용에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CCD-986sk cell line 및 Clone M-3 mouse melanocyte cell line을 이용하여 in vitro 수준에서 피부세포 생리활성 효과와 melanin formation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CCD-986sk cell line에 대한 세포생리활성 효과 실험에서 시험군인 곰피추출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강한 세포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어 유의성 있는 실험결과를 보여주었고, Clone M-3 mouse melanocyte cell에 대한 melanin pigment 저해활성 효과 실험에서도 곰피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melanin pigment 생합성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는 실험결과를 나타내어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여러 가지 보고에 의하면 그동안 미국, 영국, 일본 등 구미 선진국의 과학자들은 intrinsic problems (피부구조 및 생리기능의 노쇠)과 extrinsic problems (자외선노출 및 스트레스)을 skin aging의 근본원인으로 규정짓고 피부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재생시켜 피부 horny layer의 주름을 제거시키는 수 많은 종류의 chemical drugs를 개발하였고 현재도 개발 중에 있다 (Lavker et al. 1987; Choi and Oh 1997; Han et al. 1998). 그러나 이런 chemical에 비해 생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세포독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anti-skin aging drug을 개발하는 연구는 그 동안 부족했던 것이 현실이다. 한국은 오랜 역사를 통하여 화학물질이 아닌 다수의 천연물들을 임상에 적용하여온 역사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본 연구팀은 우리 남해안의 청정해역에서 자라는 곰피의 항피부 노화방지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에 주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곰피추출물은 피부노화 및 skindarkness에 대한 대체치료물질 (alternative therapeutic agent)로서의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호염 미생물(Haloarcula vallismortis) 용해물의 자외선유발 피부변화에 대한 효과 (Effect of Halophilic Bacterium, Haloarcula vallismortis, Extract on UV-induced Skin Change)

  • 김지형;신재영;황승진;김윤선;김유미;길소연;진무현;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41-350
    • /
    • 2015
  • 피부는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는 장벽기능을 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중금속, 각종 산화 물질들과 같은 외부의 위협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손상을 받기 쉽다. 특히 자외선 B (UVB)는 진피의 상부까지 도달하여 화상이나 홍반과 같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며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색소 침착을 유발한다. 지나친 자외선 B의 피부세포로의 유입은 각질세포 및 진피 섬유아세포의 DNA손상을 야기하고,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방해하여 피부탄력감소, 주름생성, 진피 결합조직의 손상과 함께 피부장벽을 붕괴시켜 노화를 일으키며, 장기간 노출 시 심각한 피부 병변으로 이어져 피부세포 사멸 및 종양의 발생으로까지 이어진다. Haloarcula vallismortis는 사해로부터 분리 동정한 미생물로 호염성 고생물의 생장적 특징은 아직 자세히 연구된 바는 없다. 대게 10% 이상의 염도에서 자라는데 실제 생장염도는 평균 20 ~ 25% 염도에서 자란다. 염도가 높은 호수나 염전에서 주로 발견되기 때문에 강한 햇빛에 대한 방어기작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로 다른 ATP를 생성하기 위한 bacteriorhodopsin외에 halorhodopsin이라는 색소를 이용, 광자(photon)를 흡수하고 염화이온 채널을 개방시켜 생기는 전위차를 이용해 추가로 에너지를 생산한다. 또 carotenoid 색소로 인해 농도가 높을시 분홍색 또는 빨간색을 띄는 특징이 있는데 이것이 강한 자외선에 대한 방어기작을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호염성 고세균이 자외선을 에너지 소스로 이용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방어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이들의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항염 효과 및 DNA 손상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천연 자외선 차단제의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elanogenesis 양성적 조절 에 관여하는 최근 천연물의 동향 (Recent Natural Products Involved in the Positive Modulation of Melanogenesis)

  • 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45-752
    • /
    • 2018
  • 멜라닌 생성은 생체 내에서 모발, 눈 및 피부의 색소 침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자외선 뿐만아니라 ${\alpha}-MSH$, SCF/c-Kit, $Wnt/{\beta}-catenin$ 및 산화 질소 신호 전달 경로와 같은 다양한 외부 인자가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여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에 의하여 발현되는 tyrosinase, tyrosinase 관련 단백질 (TRP)-1 및 TRP-2에 의하여 멜라닌이 생성된다. 그러나 멜라닌 생성의 비정상적인 조절은 모발 백발화와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활성제는 모발 백발화의 예방 및 저 색소증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많은 멜라닌 생성 자극제가 합성 화합물 및 천연물질로부터 유래한 신규 약물의 개발을 위해 연구되어 왔다. 여기서는, 새로운 항 백발화제의 개발을 위한 백발화 및 백반증 과정의 melanogenesis에 공통적인 신호 경로에 대한 기술 뿐만 아니라 백반증의 치료를 위한 약제로 멜라닌합성을 촉진하는 천연 약초와 그 활성 성분에 대하여 기술한다. 특히, 약물의 부작용으로 melanogenesis에 자극 효과가 있는 Imatinib 및 Sugen와 같은 화합물에 대하여 소개한다. 뿐만 아니라, 민간의 전통약제로 널리 알려진 적하수오, 흑임자, 흑미, 서목태, 현미와 같은 천연 식물추출물에 대한 최근 연구에 대하여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