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icrobial activity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2초

가시상추 유래 생리활성물질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Materials from Prickly Lettuce (Lactuca serriola))

  • 문성일;김성환;허완;김순영;김종식;이건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6-212
    • /
    • 2009
  • 가시상추(Prickly lettuce : Lactuca serriola)로부터 여러 가지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생리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가시상추의 일반성분, vitamin, polyphenol성 물질 그리고 flavonoid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MeOH 조추출물에 의한 아질산염 제거 활성,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MeOH 조추출물의 EtOAc 분획에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제거 활성, 항산화 활성 그리고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polyphenol성 물질과 flavonoid의 함량도 가장 높았다. EtOAc 분획 중 subfraction 2 (EtOAc:MeOH=3:1)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Subfraction 2는 GC-MS에 의해 ${\rho}$-coumaric acid와 caffeic acid로 동정되었다. 가시상추 추출물의 용매 분획별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EtOAc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시상추 유래의 생리활성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제공해 줄 것이다.

오배자(Schlechtendalia chinensis)로부터 수박 과실썩음병 병원균(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한 항균 활성물질 탐색 (Isol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Chinese Gall Nut (Schlechtendalia chinensis) against Watermelon Fruit Rot Pathogens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 김현우;최용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23-334
    • /
    • 2015
  • 본 연구는 수박 과실썩음병의 원인균인 A.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오배자(S. chinensis)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오배자를 MeOH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hexane fraction을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활성이 강한 분획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GC chromatogram 상의 주요 peak에 해당하는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한 결과, 지방산인 myristic acid, palmi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이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 화합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표준품을 사용하여 bioassay한 결과, myris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 화합물이 강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오배자로부터 분리한 myris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 화합물이 항균 활성물질인 것을 구명하였다.

지유(地楡) 부탄올 분획물의 Streptococcus mutans 항균활성 및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n Streptococcus mutans and Anti-oxidant Effect of the Butanol Fractions of Sanguisorbae Radix)

  • 박근혜;이진태;안봉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29
    • /
    • 2012
  • Objective : Sanguisorbae Radix(SO). that belong to Rosaceae is widely distributed in Asia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It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from old times as a treatment for anti-inflammatory drug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BuOH fractions of SO on anti-oxidant effect and anti-microbial effect on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Methods : The anti-microbial effect of $n$-BuOH fractions of SO. was assessed by the paper disk diffusion method and anti-oxidant effect was assessed b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SOD like ability. Results : DPPH radical scavenging of the $n$-BuOH fraction from SO in 50 ug/mL was shown to be Fr-2 (89.9%), Fr-3 (88.7%), Fr-4 (76.3%), Fr-1 (59.4%), Fr-5 (56.2%). Superoxs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n-BuOH fraction from SO. in 50 ug/mL for Fr-3 was shown to be 78%. SOD-like activity of n-BuOH fraction from the SO in 1000 ug/mL for Fr-3 were shown to be 76.1% respectively. The $n$-BuOH fraction from the SO had high anti-microbial effect on $S.$ $mutans$. Conclusion : As a result, the $n$-BuOH fraction from SO. has good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진피로부터 정제한 Syringin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urified Syringin from Cortex Fraxini)

  • 설민경;배은영;조영제;박순기;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95-70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물푸레나무 껍질인 진피로부터 Syringin을 효과적으로 분리, 정제하고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평가하여 기능성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Syringin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평가에서 50 ㎍/ml의 적은 농도로도 BHT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평가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BHT의 활성과 비슷한 정도의 활성을 나타냈다. PF 측정에서는 Syring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다소 높아지는 듯했으나 증가폭이 크지 않았고 모든 농도에서 1.2 PF 이상의 활성이 나타나 항산화력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TBARs 활성 측정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BHT의 활성보다 낮지만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람양성, 그람음성, 진균에 대한 생육 억제 활성 평가에서는 L. monocytogenes KCTC 13064, S. aureus KCTC 1916, E. coli KCTC 2571, H. pylori HPKCTC B0150의 네 균주에 대한 생육억제환의 크기가 Syringin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C. albicans ATCC 10231에 대해서는 생육억제환이 관찰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Syringin의 수용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은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보다 우수하고 진균을 제외한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균주에 대한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Syringin의 항산화 및 항세균 기작에 대한 연구와 다른 생리활성 작용, 인체 적용성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진행한다면 천연 유래의 안전한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REPARATION OF MULTIFUNCTIONAL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AND ITS APPLICATION IN COSMETICS.

  • Ryu, Chang-Suk;Kim, Hyung-Bae;Kim, Jeong-Ha;Jo, Byoung-Kee;Suh, Sang-Bo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9-95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ater-soluble chitosan with a molecular weight of 5,000-200,000. Water-soluble chitosans have demonstrated a regular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tested strians by the paper disk method. In the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CC-01 (MW=5,000) with the lower MW showed the higher MIC value than the higher MW chitosan. The MW of chitosan increase, the MIC decreases. MICs of 4 chitosans(CC-02∼CC-05) against S. aureusTCC 65389, E coli ATCC 8739, p. aeruginosa, ATCC 9027 and C. albicans ,ATCC 10231 were 7.0-39.O$\mu\textrm{m}$, whereas MICs of chitosans against A. niger were over 2.OmM. Formula containing chitosan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the formula made with the chemical preservatives(Methylparaben 0.2% and Imidazolidinyl Urea 0.3%). Among 5 water-soluble chitosans, CC-03(MW=92,163) showed the most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IC$\sub$50/ : 0.2mM). In conclusion, the water-soluble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could be served as natural preservatives and antioxidant in cosmetics.

  • PDF

Isola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Aurodox Group Antibiotics

  • Kim, Si-Kwan;Yeo, Woon-Hyung;Kim, Sang-Seo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65-269
    • /
    • 1996
  • An isolate of Streptomyces rochei synonym was found to produce antibiotics with narrow anti-microbial spectrum against Streptococcus and Xanthomonas sp. Among the antibiotic complex produced by the strain, the main active compound was isolated,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und was determined to be ${[M+H]}^+$ 797 (FAB-MS). UV, $^1H \;and\;^{13}C$ NMR, and IR spectra suggested that the compound is a kirromycin-like aurodox group antibiotic. However, the anti-microbial spectrum of the main compound wa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kirromycin. In addition, it was newly found that kirromycin showed a selectiv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pyogenes and phytopathogenic Xanthomonas sp.

  • PDF

천연방부제로서 항균오일의 항균력 비교 (Comparision of Anti-microbial Oils as Natural Preservatives)

  • 김미진;정택규;홍인기;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9-103
    • /
    • 2006
  • 티트리오일 2종과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천연오일을 합성방부제인 methylparaben과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대상 균주로 그람양성균인 S. aureus (KCTC 1916)와 그람음성균인 E. coli (KCTC 2571)와 P. aeruginosa (KCTC 2513)를 사용하였으며, 진균류인 C. albicans (KCTC 7965)와 A. niger (KCTC 6911), 그리고 여드름균인 P. acnes (KCTC 3314)를 사용하였다. 그람양성균의 항균력실험에서 천연오일은 합성방부제보다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람음성균에서는 유사한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진균과 여드름균에 대해서는 합성물질에 비해 천연오일에서 월등한 활성을 볼 수 있었다. 실험군에서 항균력은 티트리오일 > methylparaben > 편백정유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 법에 의한 항산화실험과 lipoxygenase를 이용한 항염증실험을 통해 천연오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실험결과, 천연오일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인 방부제나 항산화제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수박 과실썩음병 병원균(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한 식물유래 항균 활성물질 탐색 (Search for Plant-originated Antibacterial Compounds Against Pathogen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of Watermelon Bacterial Fruit Blotch)

  • 노진택;최용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7-89
    • /
    • 2015
  • 본 연구는 수박 과실썩음병의 원인균인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균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약용식물 133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들 133종 약용식물의 MeOH 추출물에 대한 bioassay를 통해 항균 활성을 검정한 결과 청피(Citrus unshiu Markovich) 추출물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청피(Citrus unshiu Markovich)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구명하고자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hexane fraction이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Hexane fraction을 GC-MS로 분석하여 chromatogram상의 각각의 peak에 해당하는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 한 결과, essential oil인 d-limonene, ${\gamma}$-terpinene, ${\beta}$-linalool, terpineol과 지방산인 palmitic acid, 9,12-octadecadienoic acid, linolenic acid 그리고 steroid 화합물인 stigmasterol이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화합물 중에서 항균 활성물질로 추정되는 d-limonene, ${\gamma}$-terpinene, ${\beta}$-linalool, terpineol의 항균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표준품을 사용하여 bioassay한 결과 두 화합물 d-limonene, ${\gamma}$-terpinene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청피로부터 분리한 d-limonene과 ${\gamma}$-terpinene 화합물이 항균 활성물질인 것을 구명하였다. 항균력이 강한 청피 추출물 또는 d-limonene과 ${\gamma}$-terpin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추출물을 수박 과실썩음병에 대한 친환경 방제용 자제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of Korean propolis against ginseng disease

  • Kim, Sung-Kuk;Woo, Soon Ok;Han, Sang Mi;Bang, Kyeong Won;Kim, Se Gun;Choi, Hong Min;Moon, Hyo Jung;Lee, Su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9권2호
    • /
    • pp.82-85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polis against the 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on ginseng. We selected six microbials that caused postharvest root rots in ginseng. Propolis extracts were prepared by using the ethanol extraction method. We seeded the bacteria and fungi related to ginseng disease on a specific culture medium, and treated it with propolis extracts by using the paper disc method. Propolis extracts indic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enibacillus polymyxa, Fusarium solani, Rhizoctonia solani AG-1 and Pythium ultimum. However, the anti-fungal activity of propolis is weak on Pseudomonas fluorescens subsp. Cellulosa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s a result,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propolis against microbial that prevent ginseng growth were confirmed. The antimicrobial effects are show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ropolis against root rot. The fungi also showed antibacterial effects in a dose-dependent manner.

식물유래 천연항균제를 이용한 화장품에서의 방부시스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reservative System in Cosmetics using Botanical Antimicrobial)

  • 심승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44-1348
    • /
    • 2008
  • 본 연구는 고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스킨케어화장품의 기본제형인 화장수, 로션에 적용, 관찰하여 식물유래의 천연항균제로써의 화장품에서의 방부시스템을 연구하였다. Test group에 고삼추출물 1%와 황금 추출물 1%, 0.5%씩의 고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을 함유시켜 parabens와 imidazolidinyl urea가 함유된 positive control을 Escherichia coil,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s, Candida albicans의 4가지 균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고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이 함유된 group은 control과 비교하여 4가지 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고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의 항균활성은 positive control과 비슷하게 나타나므로써 탁월한 항균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