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elastase activities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7초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s)

  • 양희정;김은희;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3-244
    • /
    • 2008
  • 본 연구는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tyroinase와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 $(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7.05{\mu}g/mL)$ < ethyl acetate 분획 (3.36)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 (3.24)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구아바 잎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50% 에탄을 추출물$(OSC_{50},\;2.17{\mu}g/mL)$ (ethyl acetate분획(0.64) < aglycone분획(0.39) 순으로, aglycone 분획에서 가장 큰 환성을 나타내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경우 $1{\sim}10{\mu}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은 $1{\mu}g/mL$ 농도에서 ${\tau}_{50}$이 107.5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와 HPLC (360 nm)에서 1개의 피이크로 나타났으며, 그 성분이 quercetin 임을 확인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5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HPLC 크로마토그램도 5개의 피이크를 나타내었다. TLC와 HPLC의 띠와 피이크를 확인한 결과, HPLC의 5개의 피이크는 용리순서로 피이크 1 (10.32 %)은 quercetin 3-O-gentobioside, 피이크 2 (13.30 %)는 quercetin 3-O-${\beta}$-D-glucoside (isoquercitin), 피이크 3 (11.34 %)는 quercetin 3-O-${\beta}$-D-galactoside (hyperin), 피이크 4 (19.70%)는 quercetin 3-O-${\alpha}$-L-arabinoside (guajavarin) 피이크 5 (45.33%)는 quercetin 3-O-${\beta}$-L-rhamnoside (quercitrin)로 확인되었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파 tyrosinase 및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50% 에탄올 추출물 $(149.67{\mu}g/mL)$ (ethyl acetate분획(30.67) < aglycone 분획(17.10) 순으로 나타났으며,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 $(IC_{50})$는 50% 에탄올 추출물$(6.60{\mu}g/mL)$ < aglycone 분획(5.66) < ethyl acetate 분획(3.44)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구아바 잎 추출물리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구아바 잎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 acetate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분획의 elastase 저해활성은 구아바 잎 추출물이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the grains of collected Sorghum bicolor varieties

  • Ji Won Seo;Jae Geun Lee;Bimal Kumar Ghimire;Myong Jo Kim;Chang Yeon Yu;Eun Soo Seo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27-235
    • /
    • 2023
  •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presence and concentration of health-promoting phenolic antioxidants in sorghum seed accessions from seven regions in three different countries (Uzbekistan, Myanmar, and the United State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assay was 13.10±2.37 ㎍/mL in the Uzbekistan sorghum seed extracts, demonstrating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dditionally,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Uzbekistan sorghum seed extracts [157.87±4.04 mg GAE/g (gallic acid equivalents per gram)].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12.69±0.72 mg QE/g (quercetin equivalents per gram) and represents the highest value in the Myanmar collection. The Uzbekistan collection demonstrated the greatest potential for whitening activity, with the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79.20±4.15%. The wrinkle improvement function using elastase also showed the highest anti-aging activity of 55.85±4.78% in the same seed extract. The Uzbekistan seed extract had the highest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144.35±4.55%. We conclude from these results that the Uzbekistan sorghum seed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content of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 자실체 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연구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riolus versicolor Fruit Body Crude Extracts)

  • 최병용;이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15-422
    • /
    • 2016
  • 본 연구는 운지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HE)과 메탄올 추출물(ME)의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과 일부 생리활성을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에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HE의 총 polyphenol 함량(129.60 mg/dl)은 ME함량(43.80 mg/dl)보다 85,8 mg/dl가 더 높았으며, 열수에서 추출이 더 높았다. HE의 총 flavonoid 함량(30.50 mg/dl)은 ME함량(20.90 mg/dl)보다 9.5 mg/dl가 더 높았다. DPPH의소거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41.03%가, M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16.36%로 더 높았으며, Tyrosinase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8.29%, ME 3 mg/ml에서는 10.32%가 더 높았고, Elastase 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3.12%가, ME에서는 21.53%가 더 높았다. Collagenase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5.44%가, ME에서는 4.07%로 더 높았다. 상기 효소활성은 모두 추출액농도증가에 비례하여 활성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상기의 두 종류의 추출물은 항산화 및 생리활성기능을 나타내어 피부의 주름의 완화제로서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추출용매에 따른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0-179
    • /
    • 2015
  • 본 연구는 추출용매에 따른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으로써의 활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였다. 추출수율은 에탄올, 열수, 메탄올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실험에서는 $1,000{\mu}g/mL$이상의 농도에서 추출용매간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으며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이 XO 저해활성능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분석한 결과 $50{\mu}g/mL$에서 $2,000{\mu}g/mL$으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19.96~89.01% 및 19.41~88.21%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용매에 따른 SOD 유사활성능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능은 추출물 농도가 $100{\mu}g/mL$ 이상일 때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의 경우 추출농도가 $500{\mu}g/mL$ 이상의 경우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유의적으로 tyrosinase 저해활성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궁추출물이 미백 및 주름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vitro screening of anti-skin aging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queous/solvent extracts from distinctive stages of silkworm (Bombyx mori L.) pupae

  • Rahul, Kamidi;Kweon, HaeYong;Kim, Hyun-Bok;Lee, Ji H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5권1호
    • /
    • pp.1-11
    • /
    • 2022
  • Silkworm pupae, a by-product of the silk industry are known to be valuable resource of nutrients for humans as well as animals besides encompassing diverse bioactive constituent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knowledge on their role in amelioration of oxidative stress and anti-skin aging propertie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as well as ethanolic (30% and 70%) extracts from distinct stages of male and female silkworm pupae belonging to two silkworm varieties on skin aging-related enzymes. The activities of collagenase, elastase and tyrosinase were effectively inhibited by 70% ethanolic silkworm pupal extracts (SPE), followed by 30% with aqueous extracts exhibiting meager inhibitory potential. SPE were also investigat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in oxidative-stressed murine fibroblasts (L929). The intracellular ROS an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in fibroblasts was better attenuated by pre treatment with ethanolic (30%) and aqueous extracts, respectively. The safety of the extracts was determined by studying their effect on fibroblast cell viability and it was found that none of the extracts were cytotoxic. Our findings indicate the potential utility of SPE as anti-aging components in cosmeceuticals.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Miq.)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aryopteris incana Miq.)

  • 이재은;이은호;김병오;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61-68
    • /
    • 2017
  • 본 연구에서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Miq.)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활성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층꽃나무의 생리활성은 고형분 함량보다 첨가된 tota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후 모든 실험은 층꽃나무로부터 추출한 물과 80 % ethanol 추출물의 total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조절하여 실시하였다. 층꽃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를 측정하였다. $200{\mu}g/mL$의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로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각각 84, 92 %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물과 ethanol 추출물 둘 다 약 99 %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PF를 측정한 결과 물과 ethanol 추출물이 각각 1.56, 1.67 PF 값을 나타내었고, TBARs는 각각 62, 82 %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주름개선 및 피부미백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200{\mu}g/mL$의 농도에서 80 % ethanol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눈에 띄게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름개선과 연관된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활성은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58, 89 %로 측정되었다. 피부미백과 연관된 tyrosinase의 저해활성은 ethanol 추출물에서 13 %로 측정되었고, 수렴효과는 50 %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층꽃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가 우수하므로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새로운 자원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캄보디안 상황버섯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연구 (Anti-wrinkle Effect of Cambodian Phellinus linteus Extracts)

  • 천순주;장민정;장영아;최은영;전동하;김영훈;조우아;정연숙;권혁범;김태훈;최경임;도정룡;이창언;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18-1721
    • /
    • 2008
  • 사람의 피부는 자외선, 오염된 공기, 화학 제품 등 환경에 끊임없이 노출된다. 이들로 인한 자유라디칼과 활성 산소는 피부세포에 큰 손상을 끼치게 된다. 캄보디안 상황버섯 열수,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방 산패 억제능 측정과 주름개선 효과 측정을 하였다. 캄보디안 상황버섯 열수, 에탄올 추출물에 금속이온을 첨가하여 지방산패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캄보디안 상황버섯 열수 추출물 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Fe^{2+}$$Cu^{2+}$chelating 능력이 우수하였다. 캄보디안 상황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0.1 mg/ml, 0.5 mg/ml, 1 m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인 butylated hydroxytoluene (BHT)보다 높은 지방산패 억제를 나타내었다. 캄보디안 상황버섯 열수, 에탄올 추출물은 산화 촉매제인 $Fe^2$를 함유한 지방 산패 억제능이 $Cu^{2+}$를 이용한 지방산패 억제능 보다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캄보디안 상황버섯 에탄올 추출물은 0.01 mg/ml의 농도에서 50.7%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대조군인 urosolic acid보다 높은 elastase 저해활성을 타나내었다. 또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0.1 mg/ml의 농도에서 약 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캄보디안 상황버섯 열수 추출물 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collagenase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캄보디안 상황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산패 억제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주름 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막걸리 부산물의 미용 소재로서의 기능성 분석 (Functional Activities of Makgeolli By-products as Cosmetic Materials)

  • 서고운;최소연;김태완;류성기;박중협;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05-511
    • /
    • 2013
  • 막걸리 제조 시에 발생하는 부산물의 화장품 소재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산화능, 페놀 함량, 코지산 함량, 미백, 주름 개선 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누룩박, 미박, 원주, 시판제품을 5가지 다른 용매(0, 25, 50, 75, 100% 에탄올)로 $20^{\circ}C$$50^{\circ}C$에서 각각 추출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20^{\circ}C$에서 추출하였을 때 누룩박의 에탄올 75% 추출물에서 13.26 mg GAE/g으로 가장 높았으며, $50^{\circ}C$에서는 시판 제품의 에탄올 75% 추출물에서 16.66 mg GAE/g으로 가장 높았다. 가장 높은 코지산 함량은 $20^{\circ}C$에서 누룩박의 0% 에탄올 추출물에서 관찰되었고, $50^{\circ}C$에서 추출한 모든 시료에서 코지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20^{\circ}C$에서 제조한 누룩박, 미박 추출물에서 상당한 항산화능(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이 확인되었다. Tyrosinase 저해능으로 분석한 미백 효과는 $50^{\circ}C$에서 누룩박의 7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누룩박과 미박은 elastase 저해능도 발견되어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20^{\circ}C$에서의 미박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막걸리 제조 부산물이 항산화, 미백, 주름 개선의 기능을 가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밤나무 잎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 및 화장품에의 응용( I )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Leaf Extract/Fractions and Application on Cosmetics)

  • 김진영;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59-26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밤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주름과 미백에 관련된 tyrosinase와 elastase의 활성에 대한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밤나무 잎 추출물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항산화 활성측정 결과로,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50% ethanol 추출물($13.6{\mu}g/mL$ < ethyl acetate 분획(6.2) < aglycone 분획(2.1)으로 나타났고, lumion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OS)의 소거활성은 aglycone 분획(0.8) < 50% ethanol 추출물(0.5) < ethyl acetate 분획(0.3) 순으로 나타났다. NET법을 이용한 xanthine과 xanthine oxidase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O_2}^{{\cdot}\;-}$의 소거활성은 aglycone 분획(65.5)이 ethyl acetate 분획(145.5)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rose-bengal과 빛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용혈에 대한 세포보호 활성은 $10{\mu}/mL$에서 aglycone 분획이 가장 높은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활성은 aglycone 분획이 oleanolic acid ($13.7{\mu}/mL$)에 비해 훨씬 좋은 $9.1{\mu}g/mL$로 나타나 뛰어난 주름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aglycone 분획이 미백 관련 화장품 고시 원료인 arbutin ($226.2{\mu}g/mL$)에 비해 훨씬 좋은 $21.6{\mu}g/mL$로 나타나 뛰어난 미백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에 앞서 세포 독성 실험에서는 ethyl acetate 및 aglycone 분획이 $25{\mu}g/mL$ 이하에서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25{\mu}g/mL$ 이하에서의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 및 aglycone 분획이 arbutin보다 훨씬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 밤나무 잎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TLC와 HPLC를 통해 분석한 결과 kaempferol, quercetin, quercitrin, isoquercitrin, hyperin, rutin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중에서도 quercitrin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밤나무 잎 추출물이 free radical, ROS를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자외선으로 인한 기미, 주근깨 과형성 및 주름 생성에 있어 상당한 저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vitro Screening of Jeju Medicinal Plants for Cosmeceutical Materials

  • Kim, Sang-Suk;Hyun, Chang-Gu;Lee, Jong-Sung;Lim, Ji-Hee;Kim, Ji-Young;Park, Deok-Ho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15-220
    • /
    • 2007
  •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skin is protection from harmful environments. Many studies have explored how to prevent skin from wrinkling and the occurrence of pigmentation changes. Skin wrinkling and pigmentation changes could be caused by unusual disruption of connective tissue, the formation of free radicals and ultraviolet radiation. In this study, extracts obtained from 254 different kinds of Jeju medicinal plants were screened for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nd elastase, and for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Four herbs, Phormium tenax, Morus bombycis,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were potent inhibitors of tyrosinase ($IC_{50}$ values 4.62, 5.46, 8.17, and 64.17 ${\mu}g$/mL, respectively). Aleurites fordii [$IC_{50}$: 5.29 ${\mu}g$/m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Distylium racemosum ($IC_{50}$: 6.14 ${\mu}g$/mL), Acer palmatum ($IC_{50}$: 5.44 ${\mu}g$/mL), and Spiraea salicifolia ($IC_{50}$: 5.25 ${\mu}g$/mL) showed good antioxidative effects. Furthermore, Distylium racemosum ($IC_{50}$: 7.51 ${\mu}g$/mL), Diospyros kaki ($IC_{50}$: 15.1 ${\mu}g$/mL), Cornus macrophylla ($IC_{50}:$ 16.59 ${\mu}g$/mL), and Psidium guajava ($IC_{50}$: 40.25 ${\mu}g$/mL) exhibited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dicinal plants possessing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may be potent inhibitors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pigmentation increases and aging. Further investigations will focus on in vivo assays and on the chemical identification of the major active components responsible for whitening and anti-aging activity in the screened efficacious ex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