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alpha}$-glucosidase activity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4초

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 이보배;박순례;한창석;한동열;박은주;박해룡;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05-409
    • /
    • 2008
  • 민간요법에서 화농성 피부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제비꽃(Viola mandshurica)의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제비꽃 10 g에 200 m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이 34.49 mg/g 갈산 당량으로 가장 높았고,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 추출물이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21.13%와 43.53%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에는 물 추출물이 $1,000{\mu}g/mL$ 농도에서 0.454의 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당뇨 활성은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으로 측정하였는데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1,000{\mu}g$/mL 농도에서 모든 효소 활성들을 저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비꽃 추출물은 항산화능과, 당뇨 관련 효소에 대한 저해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각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tings of Gleditsia sinensis Extracts)

  • 이정민;박재희;추원미;윤이묵;박은주;박해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2-67
    • /
    • 2011
  •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 및 항당뇨 효과가 있는 조각자 추출물인 GSM (methanol 추출물)과 GSE (ethanol 추출물)에 대한 연구이다. 추출 용매에 대한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100 g 당 GSM에서는 1.12 g이며, GSE에서는 0.6 g으로 GSM에서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최대 농도 1,000 ${\mu}g$/ml에서 확인한 결과 GSM에서는 68.8% 그리고 GSE에서는 70.4%로 두 종류 추출물에서 높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DNA 손상 정도를 확인한 comet assay에서도 200 ${\mu}M$ $H_2O_2$에 의해 나타나는 DNA 손상에 대하여 GSM과 GSE는 DNA를 보호하는 활성이 있었다. 항당뇨 효과를 알아보는 $\alpha$-glucosidase 억제 실험에서 GSM은 17.9%, GSE는 10.3%이었으며, 처리시간을 증가하였을 경우에는 그 억제 정도가 GSM의 경우 25%이며, GSE의 경우 20%로 증가하여 항당뇨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당뇨병 치료에 대한 새로운 소재로써 조각자 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구기자 추출물 함유 음료의 산화방지활성, 항당뇨효과, 유리아미노산과 무기질 함량 (Antioxidative and Anti-Diabetes Activity, and Free Amino Acid and Mineral Contents of Beverage with Gugija (Lycii fructus) Extracts)

  • 이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7-213
    • /
    • 2015
  • 구기자의 물추출물 및 50%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한 음료의 유리아미노산, 무기질, 산화방지효과,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두 음료에는 6종의 필수 아미노산(isoleucine, leucine, lysine, methionine, threonine, valine)을 포함한 15종의 유리아미노산과 6종의 유도체 등 21종의 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가 분석되었다. 물추출물 이용음료와 에탄올추출물 이용음료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asparagine(115.23, 51.95 mg%), methionine(20.02, 22.07 mg%), aspartic acid (19.65, 13.72 mg%), taurine (18.64, 22.44 mg%)이었으며 무기질은 K(438.80, 426.40 mg%)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Mg>Na>Ca>Zn>Fe 순이었다. 산화방지효과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탈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에탄올추출물 이용음료는 물추출물 이용음료에 비해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으나 두 음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에탄올추출물 이용음료는 대조군인 acabose에 비해 높은 ${\alpha}$-glucosidase activity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혈당저하 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50% 에탄올 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음료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말채나무 추출물의 ${\alpha}-amylase$ 저해 활성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alpha}-amylase$)

  • 임채성;이춘영;김용무;이위영;이해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103-108
    • /
    • 2005
  • ${\alpha}-Amylase$ 저해제는 소장에서 전분의 소화를 저해하여 포도당의 흡수를 지연시킴으로써 혈당 조절 목적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lpha}-amylase$ 저해제를 탐색할 목적으로 국내 자생 목본류 약 1400여종의 70% ethanol 추출액을 대상으로 ${\alpha}-amylase$ 저해제 분포를 검색하였다. 수종의 목본류에서 ${\alpha}-amylase$ 저해제가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활성이 비교적 높은 말채나무 기원의 저해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원별 효소에 따른 저해 활성도를 살펴보면 salivary와 pancreatic ${\alpha}-amylase$, 미생물 기원의 ${\alpha}-glucosidase$에는 탁월한 저해 활성을 보인 반면 돼지 기원의 ${\alpha}-glucosidase$ 저해제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alpha}-Amylase$${\alpha}-glucosidase$의 kinetic을 분석하면 salivary와 pancreatic 두 효소에 모두 경쟁적 저해제로, 효모의 ${\alpha}-glucosidase$에는 비경쟁적과 반경쟁적의 혼합형 저해제로 나타났다. 또한 열과 산성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추출물의 식이 섭취에 따른 혈당 강하 효과와 체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혈당과 체중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었고, mRNA수준에서 대퇴근 세포에 있어서 GLUT4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K6의 생리적 특성 및 비만억제효과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K6 isolated from Kimchi)

  • 김슬기;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21-231
    • /
    • 2017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비만 억제능력이 있는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와 lipase inhibitory activity가 우수한 균주를 선발한 결과 K6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K6 균주는 ${\alpha}-amylase$ 억제활성 $96.78{\pm}3.29%$,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92.55{\pm}9.62%$, lipase 억제활성 $85.17{\pm}0.79%$, 지방분화 억제활성 $27.4{\pm}1.4%$로 나타났으며, 동정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판명되었고, Lactobacillus plantarum K6으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K6은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고, 효소활성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arylamidase와 ${\beta}-galactosidase$에 대해 비교적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vancomycin, ampicillin, polymyxin B에 내성이 있는 반면 erythromy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 각각 51.8%, 42.4%, 61.6%와 54.9%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민을 생성하지 않으며, 장부착성은 대조구인 L. rhamnosus GG보다 우수하였다.

청미래덩굴잎 추출물 용매분획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연구 (Study on antioxidative, antidiabetic and antiobesit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of smilax china L. leaf extract)

  • 강윤환;이영실;김경곤;김대중;김태우;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5호
    • /
    • pp.401-409
    • /
    • 2013
  • 본 연구에서 SCLE와 그 분획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SCLE/EA에서 가장 많은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like activity, reducing power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도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함량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SCLE/EA에서 높은 활성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SCLE 및 분획의 항당뇨 효능을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능을 측정함으로써 비교한 결과 항산화력과 달리 SCLE/BuOH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 mg/mL 기준으로 acarbose의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능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당뇨와 비만의 강한 관련성이 알려진 상황에서 SCLE 및 그 분획의 3T3-L1 세포 분화 억제능력을 확인한 결과 SCLE와 SCLE/FW에서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SCLE가 다방면에서 당뇨의 개선과 예방을 위해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SCLE가 neutraceuticals 소재로서의 개발가치가 높음을 시사한다.

참두릅 잎의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와 α-Glucosidase 저해 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Aralia elata Leaves on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and α-Glucosidase)

  • 조윤숙;성수희;바크타 히만수 쿠마르;정희진;문경호;최재수
    • 생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9-37
    • /
    • 2016
  • Anti-diabetic potential of the leaves of A. elata through the inhibitory activity on PTP1B and ${\alpha}$-glucosidase has no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the EtOAc fraction of methanolic extract from the leaves of A. elata showed pot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PTP1B and ${\alpha}$-glucosidase with $IC_{50}$ value of $96.29{\pm}0.3$ and $264.71{\pm}14.87{\mu}g/mL$, respectively. Three known triterpenoids, oleanolic acid, oleanolic acid-28-O-${\beta}$-D-glucopyranoside and oleanolic acid-3-O-${\beta}$-D-glucopyranoside were isolated from the most active EtOAc fraction. We determined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se triterpenoids through comparisons of publishe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ic data. Furthermore, we screened these triterpenoids for their ability to inhibit PTP1B and ${\alpha}$-glucosidase over a range of concentrations ($12.5-50{\mu}M$). All three terpenoids significantly inhibited PTP1B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nd oleanolic acid effectively inhibited ${\alpha}$-glucosidase. In addition, these compounds revealed potent inhibitory activity with negative binding energies toward PTP1B, showing high affinity and tight binding capacity in the molecular docking studi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learly demonstrate that A. elata leaves and its triterpenoid constituents might be beneficial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ic disease.

몽골산 Iris bungei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Radical scavenging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Mongolian Iris bungei extract)

  • 정윤희;정경한;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79-884
    • /
    • 2017
  • 몽골산 I. bungei를 80% 메탄올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 n-BuOH의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순차 분획을 실시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총 페놀함량,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EtOAc 가용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148.7{\pm}1.6{\mu}g/mL$으로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역시 I. bungei의 EtOAc 가용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27.8{\pm}0.9{\mu}g/mL$의 매우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확인하였고, 다량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활성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EtOAc 가용 분획물에서 $IC_{50}$값은 $4.6{\pm}0.1{\mu}g/mL$의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인 acarbose의 $IC_{50}$ 값인 $473.2{\pm}5.5{\mu}g/mL$과 비교했을 때 매우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양한 화합물이 함유된 상태의 추출물 시료를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우수한 활성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기대하게 한다. 향후 이들 추출물의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로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천연 기능성 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꽃치자나무 추출물의 HIV-1 효소 억제 활성과 QSAR에 의한 활성인자 예측 (Inhibitory Effects of Gardenia jasminoides var. radicans Makino on HIV-1 Enzymes and Prediction of Inhibitory Factor by QSAR)

  • 유영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28
    • /
    • 2014
  • 꽃치자나무 추출물의 HIV-1 reverse transcriptase, protease 및 alpha-glucosidase에 대한 억제활성실험을 실시하였다. ELOSA 방법으로 실험한 역전사효소 억제활성 실험에서는 꽃치자나무 잎 MeOH 추출물 $100{\mu}g/ml$ 농도에서 13.4%의 약한 억제활성이 관찰되었고, 줄기의 메탄올추출물에서는 32.5%의 높은 HIV-1 protease 억제활성과 줄기의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26.1%의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HIV-1 복제 억제활성은 MT-4 세포에 대한 HIV-1 유도 세포변성억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살펴본 결과 잎과 줄기의 모든 추출물에서 HIV-1 바이러스 증식억제에 억제활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In silico 실험결과 주요성분인 crocetin이 81.8%의 높은 역전사 효소활성이 예측되었으며, genipin이 55.39%, geniposidic acid aglycone이 64.5% 역전사효소 활성이 예측되었다. 주로 aglycone의 활성이 높게 예측되었으며 배당체의 경우 활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릿대 잎 추출물이 탄수화물 급원 식품의 당 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sa Borealis Leaf Extract on the Glucose Tolerance of Major Foods for Carbohydrate)

  • 윤은경;허영란;임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3호
    • /
    • pp.215-223
    • /
    • 2010
  • Sasa borealis leaf has been known to have anti-diabetic properties.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sa borealis leaf extract (SBE) on the inhibition of $\alpha$-glucosidase activity and postprandial glycemic response following ingestion of four carbohydrate-rich foods; cooked rice, ramen (instant noodle), noodle, and bread. Fourteen healthy female adults consumed 50 g of glucose (control) or one of the four foods containing 50 g of available carbohydrate with or without 2,000 mg of SBE. The activity of $\alpha$-glucosidase was inhibited dose-dependently by SBE. With SB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t 15 min and the positive area under the curve (AUC) of postprandial glycemic response at 15 min and 30 min after consuming each of the four foods were reduced significantly. As the result, total positive AUC during 120 min was decreased in case of taking cooked rice or bread.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of the four foods were declined from 13% to 23% with SB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BE may be effective for postprandial glucose control by inhibiting $\alpha$-glucosidase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