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swer tre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아동 아토피 피부염을 예측하는 환경적 요인들 - 의사결정 나무분석의 적용 - (Environmental Predictors of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 Using Answer Tree Analysis -)

  • 이주리
    • 아동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195
    • /
    • 2010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predictors of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050 (age 3-5) children taken from data data from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 data mining decision tree model revealed that the factors of medical neglect, breakfast, attachment to mother, and mother's depression influenced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Our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factors considered above, medical neglect had the greatest influence upon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건설업의 산업재해 특성분석을 위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의 상용 최적 알고리즘 선정 (Selection of an Optimal Algorithm among Decision Tree Techniques for Feature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Construction Industries)

  • 임영문;최요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1-8
    • /
    • 2005
  • The consequences of rapid industrial advancement, diversified types of business and unexpected industrial accidents have caused a lot of damage to many unspecified persons both in a human way and a material way Although various previous studies have been analyzed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these studies only provide managerial and educational policies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data from past industrial accident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optimal algorithm for data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and this paper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4 kinds of algorithms including CHAID, CART, C4.5, and QUEST. Decision tree algorithm is utilized to predict results using objective and quantified data as a typical technique of data mining. Enterprise Miner of SAS and AnswerTree of SPSS will be us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f the four algorithms. The sample for this work chosen from 19,574 data related to construction industries during three years ($2002\sim2004$) in Korea.

8체질의학에 대한 환자 인식 조사 (Recognition Surrey of Patients about Eight Constitution Medicine)

  • 박재성;박영재;민재영;신용섭;이상철;박영배;김민용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0-145
    • /
    • 2007
  •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recognition patients in Eight constitution Oriental Medical Clinic. And we compare Eight constitution acupuncture methods with the another acupuncture methods. Method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200 volunteers. In 3 Eight constitution Oriental Medical Clinic participants were chosen through questionnaire. Finishing answer participants put in their lacked name questionnaire to gathering box. DecisionTree (AnswerTree 3.0 Ver.) statistical softwar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gnition to Eight constitution acupuncture methods was influenced to patients health, dietetic therapy is best influenced. Next influenced acupuncture reflex degree, age, job, constitution, cure periods, sex distinction, cure degree, diagnosed participant's Constitution by pulse diagnosis in 8 Constitution Medicine.

  • PDF

역순트리를 이용한 특이데이터 국소적 접근 (Unusual data local access using inverse order tree)

  • 임광철;설정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95-601
    • /
    • 2014
  • 스마트 정보통신시대에 데이터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데이터 발생지역과 발생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신속한 조치를 취하는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본논문에서는 분석자가 원하는 특성 데이터 발생지역의 국소적 판단을 하기 위하여 데이터 발생에 대한 값을 최하위 모듈에서부터 최상위 모듈까지 이어지는 루트를 역순으로 진행하면 데이터 발생과 동시에 분석이 가능하다. 먼저 군집분석에 대해 알아보고 군집원들의 합에 의한 분석법을 트리 구조에 병합하여 최하위 모듈부터 최상위 모듈까지 발생 특성값에 대해 수치로 치환하고 그 합을 도출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특성값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원하는 값의 발생상황을 실시간으로 도출되도록 설계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한 스포츠 레저활동 심정지군과 자발순환 회복군의 비교 (Comparison of cardiac arrests from sport & leisure activities with patients returning of spontaneous circulation using Answer Tree analysis)

  • 박상규;엄태환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7-70
    • /
    • 201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some factors of ROSC & survival for cardiac arrests from sport & leisure activities(CASLs).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1,341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s(OHCAs) treated by EMS in Gyeonggi Provincial Fire and Disaster Headquarters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8 was conducted. The primary end-point was admission to emergency room. To clarify the factors through comparison of CASLs(n=58) with ROSCs & survivals(n=58), Answer Tree analysis for data mining with the CHAID algorithm was performed and alpha was set at .05. Mean, median, and percentile of time intervals, distances, and age on the 58 CASLs, 75 ROSCs, and 27 survivals(patients admitted to emergency room) were analysed. Results : Fourteen CASLs(24.1%), 41 ROSCs(54.7%), 16 survivals(59.3%) were treated with CPR within 5 min., and only 2 CASLs(3.4%), 11 ROSCs(14.7%), 10 survivals(37.0%) were treated with defilbrillation within 10 min. from arrest. If time recording from arrest to defilbrillation,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81.0%($X^2=9.83$, p=.005) into ROSCs & survivals. And the patients with no history, 100.0%($X^2=5.44$, p=.020). The other patients with no intention, 87.5%($X^2=7.00$, p=.024). Whereas the other patients with intention, treated with CPR after 4 min. from arrest were classified 67.2%($X^2=3.99$, p=.046) into CASLs. Conclusion : CPR within 4 minute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discriminates between CASLs and ROSCs & survivals to record cardiac arrests-defilbrillation time. CPR within 4 min. from arrest, no history, and no intention were factors for improved ROSC & survival.

고속도로 사고등급별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 및 의사결정나무 개발 (The prediction Models for Clearance Times for the unexpected Incidences According to Traffic Accident Classifications in Highway)

  • 하오근;박동주;원제무;정철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01-110
    • /
    • 2010
  • 본 연구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비반복적 정체 중 교통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돌발상황에 대한 운영관리 부족 및 처리시간에 대한 정보제공 요구증가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개발을 개발하였다.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을 개발하기에 앞서 종속변수인 사고처리시간을 사고등급 A, B, C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교통량, 사고차량수, 사고시간대 등 총 15개 변수를 적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도출결과 돌발상황 처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로는 교통량, 중차량포함여부, 사고시간대가 도출되었다. 또한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에서 영향 변수로 도출된 변수들을 토대로 의사결정나무를 구축하였으며, 이때 CHAID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1차적으로 사고등급 A, B등급과 C등급으로 구분되었으며, 2차적으로는 도로의 교통량으로 분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과 의사결정나무를 통하여 향후 고속도로 돌발상황 발생시 도로이용자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실효성있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New Flash TPR-tree for Indexing Moving Objects with Frequent Updates

  • Lim, Seong-Ch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95-104
    • /
    • 2022
  • A TPR-tree is a well-known indexing structure that is developed to answer queries about the current or future time locations of moving objects. For the purpose of space efficiency, the TPR-tree employs the notion of VBR (velocity bounding rectangle)so that a regionalrectangle presents varying positions of a group of moving objects. Since the rectangle computed from a VBR always encloses the possible maximum range of an indexed object group, a search process only has to follow VBR-based rectangles overlapped with a given query range, while searching toward candidate leaf nodes. Although the TPR-tree index shows up its space efficiency, it easily suffers from the problem of dead space that results from fast and constant expansions of VBR-based rectangles. Against this, the TPR-tree index is enforced to update leaf nodes for reducing dead spaces within them. Such an update-prone feature of the TPR-tree becomes more problematic when the tree is saved in flash storage. This is because flash storage has very expensive update cost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new Bloom filter based caching scheme that is useful for reducing updates in a flash TPR-tree. Since the proposed scheme can efficiently control the frequency of updates on a leaf node, it can offer good performance for indexing moving objects in modern flash storage.

A Simple and Fast Anti-collision Protocol for Large-scale RFID Tags Identification

  • Jia, Xiaolin;Feng, Yuhao;Gu, Yaj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4호
    • /
    • pp.1460-1478
    • /
    • 2020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nti-collision protocol for large-scale RFID tags identification, named Bi-response Collision Tree Protocol (BCT). In BCT, two group of tags answer the reader's same query in two response-cycles respectively an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bi-response pattern. BCT improves the RFID tag identification performance significantly by decreasing the query cycles and the bits transmitted by the reader and tags during the identification. Computation and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BCT improves the RFID tag identification performance effectively, e.g. the tag identification speed is improved more than 13.0%, 16.9%, and 22.9% compared to that of Collision Tree Protocol (CT), M-ary Collision Tree Protocol (MCT), and Dual Prefix Probe Scheme (DPPS) respectively when tags IDs are distributed uniformly.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 분석을 통한 승패결정요인 추정: 2010-2011시즌, 2011-2012시즌 정규리그 기록 적용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victory and defeat through analyzing records of Korean pro-basketball)

  • 김세형;이준우;이미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5호
    • /
    • pp.993-1003
    • /
    • 2012
  •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을 이용하여 승패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2010년 10월부터 2011년 3월까지, 2011년 10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치러진 정규리그 (540경기)의 기록을 분석하여 승패결정요인을 추정하였다. 한국농구연맹은 7개 공격변인과 7개 수비변인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자료 중에 공헌도와 공격력에 적용되는 6개 공격변인 (2점슛 성공률, 3점슛 성공률, 자유투 성공률, 공격리바운드, 어시스트, 턴오버)과 4개 수비변인 (수비리바운드, 스틸, 굿디펜스, 블록슛)이 승패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하였다. 두 분석은 PASW와 Answer Tree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6개 공격변인 중 2점슛 성공률, 3점슛 성공률, 턴오버가 통계적으로 승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4개 수비변인 중 굿디펜스를 제외한 수비리바운드, 스틸, 블록슛이 통계적으로 승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격변인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에서는 2점슛 성공률이 51%-58%이며, 3P%가 31%를 초과하고 TO가 11개 이하일때 승리할 수 있는 확률이 80.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수비변인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 수비리바운드가 24개를 초과하고 스틸이 6개를 초과하며, 블록슛이 2개를 초과할 때 승리할 수 있는 확률이 9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공간 데이타베이스에서 영역 합 질의를 위한 색인 기법 (An Indexing Technique for Range Sum Queries in Spatio - Temporal Databases)

  • 조형주;최용진;민준기;정진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2호
    • /
    • pp.129-141
    • /
    • 2005
  • 시공간 데이타베이스는 최근에 많은 주목을 받았지만, 영역 합 질의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하여 많이 부족하다. 영역 합 질의를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데이타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은 엄청난 계산 비용을 야기하기 때문에, 최근에 기존 색인 기법을 활용한 materialization 방법이 제안되었다. 간단하면서 효과적인 방법은 시공간 조건을 가지는 윈도우 질의를 효율적인 처리하는 MVR-tree에 materialization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MVR-tree는 노드들 사이의 존재하는 원형 경로 때문에, 중간 노드에 미리 계산된 합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른 색인 구조들에 기초한 집합적 구조(aggregate structures)는 만족스러운 질의 성능을 제공하지 못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분할 기법을 사용하는 새로운 색인 기법(Adaptive Partitioned Aggregate R-Tree, APART)과 다양한 환경에서 영역합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는 APART의 성능이 다양한 상황에서 기존의 집합적 색인 기법들보다 2배 이상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