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diction Models for Clearance Times for the unexpected Incidences According to Traffic Accident Classifications in Highway

고속도로 사고등급별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 및 의사결정나무 개발

  • Received : 2009.08.24
  • Accepted : 2009.11.10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In this study, a prediction model for incident reaction time was developed so that we can cope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cident reaction time. For this, the time for dealing with accident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incident grade, A, B, and C. Then, fifteen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traffic volume, number of accident-related vehicles and the accidents time zone were utilized. As a result, traffic volume, possibility of including heavy vehicles, and an accident time zone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has some degree of explanatory power. In addition, when the CHAID Technique was applied, the Answer Tre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prediction model for incident reaction time. Using the developed Answer Tree model, accidents firstly were classified into grades A, B, and C. In the secondary classification, they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traffic volume.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provide expressway users with quicker and more effective traffic information through the prediction model for incident reaction time and the Answer Tree, when incidents happen on expressway

본 연구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비반복적 정체 중 교통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돌발상황에 대한 운영관리 부족 및 처리시간에 대한 정보제공 요구증가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개발을 개발하였다.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을 개발하기에 앞서 종속변수인 사고처리시간을 사고등급 A, B, C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교통량, 사고차량수, 사고시간대 등 총 15개 변수를 적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도출결과 돌발상황 처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로는 교통량, 중차량포함여부, 사고시간대가 도출되었다. 또한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에서 영향 변수로 도출된 변수들을 토대로 의사결정나무를 구축하였으며, 이때 CHAID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1차적으로 사고등급 A, B등급과 C등급으로 구분되었으며, 2차적으로는 도로의 교통량으로 분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과 의사결정나무를 통하여 향후 고속도로 돌발상황 발생시 도로이용자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실효성있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우, 도시고속도로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의 개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8.
  2. 김정훈, 고속도로 돌발상황 지속시간 예측모형 개발, 경기대학교 도시.교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2.
  3. 한웅구, 유고지속시간 추정 모형식의 개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
  4. 건설교통부,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알고리즘의 개발, 2001.
  5. 신치현, 김정훈, "고속도로 돌발상황 지속시간 예측 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2호, pp. 17-30, 2002. 6.
  6. 허순영, Hazard함수를 이용한 고속도로 돌발상황 단계별 지속시간 추정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
  7. FHWA, Freeway Incident Management Handbook, Report No. FHWA-SA-91-056,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USA, July 1991.
  8. Vaneet, duration and Travel Time Impacts if Incident, ADVANCE Project Technical Report TRF-ID-202, November 1994.
  9. Garib, A. E. Radwan and H. Al-Deek, "Estimating Magnitude and Duration of incident Delay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23, Issue. 6, pp. 459-466, November/December 1997. https://doi.org/10.1061/(ASCE)0733-947X(1997)123:6(459)
  10. Kevin Smith and Brian L. Smith, Forecasting the Clearance Time of Freeway Accidents, Virginia CTS, Research Report No. UVACTS-15-0-35, September 2001.
  11. 한국도로공사 내부자료, 2007.
  12. 최종후, 한상태, 강현철, 김은석, 김미경, 이성건, Answer Tree 3.0을 이용한 데이터마이닝 예측 및 활용, 데이터솔류션,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