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meat

검색결과 3,101건 처리시간 0.039초

우리 나라 시판 식품을 통한 다이옥신 섭취량 평가 (Estimation of Dietary Daily Intake of PCDDs/PCDFs from Korean Retail Food)

  • 김경심;김종국;김만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345-1355
    • /
    • 2000
  • 인간은 주로 식품을 통해 다이옥신에 폭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다이옥신의 섭취량에 대한 조사뿐만 아니라 일반 환경시료 중 다이옥신 잔류 농도에 대한 실태파악조차도 매우 적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식품 중 다이옥신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식품을 통한 1일 다이옥신 섭취량을 평가하였다. 10종의 식물성 식품과 9종의 동물성 식품을 대상으로 다이옥신 잔류 농도를 분석한 결과 다이옥신 농도는 0.02(우유)~5.39(멸치) pg/g의 범위였으며 TEQ농도는 0.0008~0.3153 pgTEQ/g의 범위로 개별 식품별 농도는 어패류, 육류, 채소류, 곡류, 과일류, 우유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우리 나라 국민의 1일 다이옥신 섭취량은 37.7 pgTEQ/day로서 우리 나라 성인의 평균체중 50kg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0.75 pgTEQ/kg/day의 다이옥신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수치는 외국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었고 어패류의 섭취가 다이옥신 폭로의 주요한 경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등학생(高等學生)의 영양섭취실태(營養攝取實態)와 성장발육(成長發育)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Every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Daily Food Intake and Growth Rate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 이현옥;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6권3호
    • /
    • pp.27-36
    • /
    • 1973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study the nutrition intake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Further, it made an attempt to find and define nutritional problems and assist i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proper nutritional management. One hundred students in both sexes, first year grade in senior high school were provided with questionnaires. For six days the respondent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They were asked to keep record of what they ate each meal. Their nutritional intake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what they ate. Findings, conducted on percentage, CR test, t test, and F test, were as follows: 1. For the living circumstance a) Average numbers of brother and sister in sampled family were four. b) Seventy to eighty percent of the students were brought up by mother's milk at their infants and approximately 40% of students were weaned at the age of 7 to 18 months. c) Fif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vealed irregulity in their meal time. d) Monthly average expenditure for daily food reached $20{\sim}40%$ out of total income. e) The most favorite foods reflect as follows: The most favorite main dish is boiled rice and side dish beaf. Fruits. juice, milk, ice cream are more popular snack among whole students. 2. Nutrition survey a) Calory sad nutrients were found to be below the recommended level, especially in calcium, vitamins A, $B_2$ and C. b) The total calory intake were composed of 73% from carbohydrate, 14% from protein and 13% from fat in the case of boys. The girls were 65%, 14%, 21% respectively. c) Both boys and girls in their animal protein intake averaged about 33% out of total protein intake. d) Meat consumption of the majority respondents were proportionate in $10{\sim}20%$ in their total food consumption. 3.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lory intake and physical growth index were observed at the level of p<0.05. b)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ein intake and physical growth index were observed at the level of p<0.05. c)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l time and physical growth index were observed at the level of 0.02<0.05. d)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calory, protein intake and school records as well as intelligence were found. The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and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whereas There seems to be an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and intelligence.

  • PDF

축산식품(畜産食品)의 잔류농약(殘留農藥)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3 보(報) 우유(牛乳) 및 식육중(食肉中) 유기염소제(有機鹽素劑)의 잔류량조사(殘留量調査) (Studies on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Livestock Products 3.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Milk and Meat)

  • 조태행;황대우;이문한;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3-71
    • /
    • 1977
  • During the period of March, 1976 to December, 1976, 48 raw milk samples were taken from dairy cows at 48 different dairy farms in Korea analyzed by gas liquid chromatography to determine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amount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At the same time 80 market milk, 10 beef and 10 pork samples were analyed by the same procedure for checking residual level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Milk samples from 17 dairy farms (36 per cent of tatal) were shown to be contaminated with various organochlorine pesticides. The residua lrate of ${\gamma}-BHC$ in tested samples were 44per cent (14 sam ples) that of aldrine was 28 per cent (9 samples) and those of pp'-DDT,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9.3 percent (3 samples) respectively. 2. In raw milk pp'-DDT, ${\gamma}-BHC$, aldrin,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detected, and aldrin,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detected in the market milk. Any kind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in beef samples but dieldrin and heptachlor were detected in pork samples. Average residual values of aldrin, dieldrin and heptachlor in the market milk were 0.0077 ppm (0.0000~1.1100 ppm), 0.0001ppm (0.0000~0.0500 ppm) and 0.0008 ppm (0.0000~2.0520 ppm), respectively, and those of dieldrin and heptachlor in pork samples were 0.0010 ppm (0.0000~0.0100 ppm) and 0.0033 ppm (0.0000~0.0330 ppm). respectively. 3.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raw milk were extremely variable; in fact pp'-DDT was detected in milk samples from A, B, C and D districts and endrin was not detected from all districts. The ${\gamma}-BHC$ and dieldrin were detected at the district of A, C and D, aldrin at the districts of A and C and heptachlor at the districts of both A and D. 4. Seasonal trends of residual val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in general, noticeable. The residual level was much higher in Spring than in other seasons and showed the tendeney of decrease from spring through summer and autumn generally; in the case of pp'-DDT average residual values were 0.0121 ppm in spring, 0.0022 ppm in summer and not detected in autumn. But in winter ${\gamma}-BHC$ and aldrin residues were increased a little. Residual values in raw milk (when cow are fed on hay and silage) were appeared higher in winter than the other seasons. 5.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raw milk were not related in respect to hygienic conditions of dairy farms pp'-DDT and heptachlor were, in general, detected in all farms and aldrin was more detected in milk from well sanitated farms than poor sanitated ones.

  • PDF

사료내솔잎분말첨가급여가육계의도체특성및혈액콜레스테롤함량에미치는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ine Needle Powder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Cholesterol Contents of Broiler Chicken)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1-57
    • /
    • 2011
  • 본 시험은 육계에 솔잎 분말의 급여량에 따라(0. 0.3%, 0.6% 및 0.9%)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도체특성 및 혈액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솔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솔잎 분말 0.3% 급여구는 T1, 솔잎 분말 0.6% 급여구는 T2 그리고 솔잎 분말 0.9%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육계의 생산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고, 폐사율은 대조구와 T1에 비해 T2와 T3에서 낮아졌으며, T2와 T3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계육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등의 일반성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도체 특성 중 도체중, 도체율 및 비장 무게는 처리구 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간의 무게는 대조구와 T1은 비슷하지만, T2와 T3는 유의하게 가벼웠는데 급여량이 많은 T3에서 다소 가벼운 결과이었다(P<0.05). 복강지방은 솔잎 분말의 급여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T3에서 유의적으로 가벼웠다(P<0.05). 육계의 혈액 성상 중 HDL-cholesterol과 glucose는 솔잎 급여구에서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은 낮아지는 결과로(P<0.05) 솔잎을 0.6% 이상 급여할 경우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TBARS는 솔잎 분말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고, 보수성과 전단력은 유의성이 없는 결과이었다. 결론적으로 솔잎 분말을 0.6% 이상 급여하면(T2) 육계의 폐사율이 낮아지고,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이 감소하며, HDL-cholesterol이 증가함으로 혈액 성상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 중 테트라싸이클린계 항생물질의 분석 (Determin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in food)

  • 최동미;정지윤;장문익;임무혁;박건상;홍무기
    • 분석과학
    • /
    • 제18권3호
    • /
    • pp.250-256
    • /
    • 2005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동물성 식품 중 테트라싸이클린계 항생물질의 동시분석을 시도하였다. 대상물질은 동물의 질병치료.예방, 성장촉진 및 사료효율 개선에 널리 사용되는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독시싸이클린, 옥시테트라싸이클린 및 테트라싸이클린이었으며, 대상식품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우유, 계란, 넙치, 우럭, 참돔, 뱀장어 및 바다가재이었다. 시료를 McIlvaine 완충액 및 20% 삼염화초산으로 추출한 후 $C_18$ 카트리지로 정제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하였다. 이동상으로는 0.01M 수산과 아세토니트릴의 혼합용액을 85:15에서 60:40까지 기울기로 사용하였으며 UV의 검출파장은 365 nm 이었다. 평균 회수율은 71-98% 이었으며, 검출한계는 신호대 잡음비 3 이상에서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은 0.022, 독시싸이클린은 0.012,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은 0.012 및 테트라싸이클린은 0.009 mg/kg이었다. 대부분의 시료에서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독시싸이클린 및 테트라싸이클린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돼지고기, 넙치 및 참돔(2시료)에서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이 각각 0.04, 0.17, 0.05 및 0.08 mg/kg로 모두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암에 대한 butyrate의 효과 (Effects of Butyrate on Colorectal Cancer)

  • 진지영;조광근;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3-156
    • /
    • 2013
  • 현재 우리나라는 높은 암 발생률과 사망률로 인해 암에 대한 관심과 심리적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고, 따라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 발생률 빈도는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발병률이 높은 대장암은 발견 또한 늦어 사망률이 높다. 따라서 대장암의 예방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원인은 아주 다양하면서도 정확하게 규명되진 않았지만, 가장 크게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결과로 여겨진다. 육류 위주의 서구식 식이습관 개선을 위해 식이섬유를 풍부하게 섭취하게 되면 항암제 역할을 하는 단쇄지방산인 butyrate가 위장관 내에서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생된다. 암의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들은 종양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한다는 것이 알려졌고, 종양세포의 apoptosis 기전과 암의 치유기전 사이에는 서로 깊은 연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butyrate가 직접적으로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를 일으킴으로써 대장암을 억제하는 효과를 연구결과들을 통해서 확인하였고, 이는 대장암의 예방 및 치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

Cronobacter Species의 검출에 관한 연구동향: 총설 (Research Trend of Cronobacter Species Detection Methods: A Review)

  • 권희준;김명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28-736
    • /
    • 2015
  • Cronobacter spp.는 Salmonella spp.와 함께 조제분유에서 발견되는 미생물 중 위험도가 가장 높은 category A에 속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다. 1958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유아의 뇌수 막염의 원인균으로 보고되었으며, 감염 후 신생아에게서 괴사성 장염, 패혈증 등을 일으켜 후유증으로 시력과 청력 상실 및 신경마비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Cronobacter spp.의 신속 검출 및 진단은 식중독 예방에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2002년 미국 식품의약품안전국에서는 분유에서의 Cronobacter spp.를 EE broth, VRBG 배지를 이용해 균을 분리 하고, TSA 배지에 순수분리 후 노란색을 발하는 colony를 생화학적 실험을 통해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한, 우리나라 식품공전에서도 배지를 이용하여 Cronobacter spp.를 검출 하는 방법에 대해 등재하였다. 하지만 배지배양법을 기반으로 하는 Cronobacter spp.의 검출방법은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 등이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배지배양법을 보완하고자 PCR, real-time PCR 방법 및 최근에는 PCR기법과 ELISA, CE-LIF 등을 결합하여 검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Cronobacter spp.의 검출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Cronobacter spp.의 검출에 사용되고 있는 분자생물학적 기반의 PCR 및 real-time PCR 기법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좋으며, 배지배양법에 의한 검출방법에 비해 검출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까다로운 실험과정과 조작에 있어서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함은 한계점으로 사료된다. 면역학적 방법에 의한 Cronobacter spp. 검출에 관한 연구를 통해, 분석에 소요되는 상당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으며, 민감하고 특이적인 검출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일부 연구보고에서 면역학적 검출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 없으며, 간단한 지침에 따라 모니터링 업무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면역학적 검출방법에는 ELISA 방법 외에도 immunomagnetic bead, liposome, immunochromatographic strip 등이 개발되고 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영 유아 대상 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자 Cronobacter spp.에 대해서는 '불검출'로 기준을 설정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이에 관한 규정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식품산업체 및 식품 의 제조, 가공, 유통 현장에서 쉽게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신속, 민감하고 특이적인 검출방법의 개발은 지속되어야 한다.

몽골 유목민의 겔(gel)과 음식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ngolia's Ger and Food in Pastoral Nomadic Way of Life)

  • 장보웅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55-163
    • /
    • 1997
  • 몽골의 건조한 자연환경에서 몽골인들은 유목이라고 하는 문화를 만들어냈다. 또한 유목민들은 초원에서 유목 생활에 필요한 가옥으로 이동식의 겔을 창조해 냈다. 겔의 주요 재료는 버드나무 줄기와 휄트인데, 전자는 하천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겔의 골조로 사용되고, 후자는 양모를 원료로 만들어졌는데 지붕을 덮고 벽을 두르는데 사용한다. 겔은 건축하기 쉽고, 해체하기 쉬우며, 운반하기에 가벼운 특성을 갖는 이동식 가옥이다. 겔의 형태는 원형 평면에 낮은 원추형의 지붕으로 되어 있어서 바람에 대한 저항이 적고, 휄트는 단열의 효과가 좋은 재료이다. 즉 겔은 바람이 강하고 혹한의 겨울을 대비한 유목민의 가옥이다. 유목민의 음식은 가축예서 얻을 수 있는 젖과 고기로 만들어진다. 그들은 우유 양유 야크유 등을 많이 마시며, 가공하여 치즈 버터 마유주 등을 만들고, 육류는 삶아서 먹고, 일부는 건조시켜 장기간 저장해 놓고 먹는다. 내장은 순대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유목민들이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아도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것은, 풀을 사료로 하는 양에서 짠 젖에 필요한 식물성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 PDF

감압추출마유(horse fat) 및 시판 돈지와 우지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orse fat, lard, and beef-tallow)

  • 박윤형;조만재;김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제주말과 한라말로부터 추출한 마유와 시중에서 판매되는 동물성 유지인 돈지와 우지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색도 차이를 나타내는 ${\Delta}E$값은 동물성 유지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며, 물리적 성상 차이로 인해 $25^{\circ}C$에서 측정된 L값이 $60^{\circ}C$에 비해 감소되었다. 제주마유와 한라마유의 산가는 돈지와 우지에 비하여 높게 측정되었지만, 과산화물가, p-아니시딘가 및 총 산화가는 낮게 측정되었다. 모든 시료에서 미량의 ${\gamma}-tocopherol$이 검출되었으나, 오직 제주마유와 한라마유에서 14.7와 21.4 mg/kg의 ${\alpha}-tocopherol$이 검출되었다. 마유의 주요 지방산으로 palmitic acid ($C_{16:0}$), oleic acid ($C_{18:1}$), linoleic acid ($C_{18:2}$)가 분석되었고, palmitoleic acid ($C_{16:1}$)의 함량은 7.36과 5.22%로 돈지와 우지에 비하여 2-3배 높게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마유와 한라마유는 흡열곡선 및 발열곡선에서 두 개의 피크가 발견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돈지와 우지의 피크보다 낮은 온도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우지보다 높은 함량의 불포화지방산의 조성 비율, 돈지보다 적은 함량의 stearic acid ($C_{18:0}$)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최근 산업적으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제주마유와 한라마유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어 향후 연구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양계 일반농장과 동물복지농장에서의 환경 샘플링을 통한 살모넬라 검출율 비교 (Comparison of Detection Rate of Salmonella spp. in Environment Sampling of Conventional and Welfare Chicken Farms)

  • 김덕환;김규직;최윤정;이희수;현지연;송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81-286
    • /
    • 2022
  • 최근 산업동물에서도 동물복지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복지 사육방식을 채택한 농가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복지농장과 일반농장 간의 살모넬라 검출율을 확인하였다. 각 농가에서 얻어진 샘플들을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산란계와 육계농장 모두 복지농장이 일반농장에 비해 높은 검출율을 나타냈다. 산란계 농장의 경우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으나(P value, 1.00), 일반 농장 5개 농가에서는 살모넬라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복지 농장 5개 농가에서 채취된 130개 샘플 중에서 1개 샘플에서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tidis(SE)가 검출되었다. 육계 농장의 경우, 일반농장 10개 농가의 200개 샘플 중에 5개 농가의 7개 샘플에서 살모넬라가 검출되었으며, 복지농장 5개 농가의 200개 샘플 중 4개 농가의 21개 샘플에서 검출되었으며, 일반농장과 복지농장의 살모넬라 검출율간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 value, 0.0057). 일반농장의 2개 분리주는 Salmonella enterica subsp. Senftenberg, SE로 혈청형이 확인되었고 복지농장의 2개 분리주는 Salmonella enterica subsp. Grampian, Salmonella enterica subsp. Virchow로 혈청형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국내에서 사육방식의 차이에 따른 지속적인 연구와 복지농장에서의 미생물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계사내 적절한 방역대책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