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fat/oil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9초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Growing/Finishing Pigs Fed Barley-Based Diets Supplemented with an Extruded or Unextruded Blend of Peas and Canola Seed or Meal

  • Thacker, P.A.;Qiao, Shiy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102-105
    • /
    • 2002
  • Seventy-two crossbred pigs weighing an average of 41.5 kg were assigned on the basis of sex, weight and litter to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in a factorial (4 treatments${\times}$2 sexes) arrangement. The control diet was based on barley and soybean meal while the experimental treatments consisted of diets in which a portion of the dietary protein was supplied by 20% of a 50:50 blend of extruded ($130^{\circ}C$ for 20 to 25 sec) peas and full-fat canola seed, 20% of a 50:50 blend of unextruded peas and full-fat canola seed or a diet containing 10% peas, 6% canola meal and 4% canola oil (to equal the level of canola oil provided by 10% whole canola seed).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gross energy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the control diet than for the other three diets. Extrusion produced no beneficial effects (p>0.05)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igestibility between the diet based on intact canola seed compared with the diet containing canola meal and oil. Choice of protein supple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gain, feed intake or feed conversion during the grower or finisher phases and ove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Extrusion of the pea-canola blend produced no beneficial effects on pig performance as the performance of pigs fed either the extruded or unextruded blend of peas and canola seed was similar.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pigs fed diets containing intact canola seed was similar to that of pigs fed canola meal and oil. Castrates gained faster and consumed more feed than gilts (p<0.05). However, their feed conversion was poorer than that of the gilts during the finisher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cass traits between pigs fed the control and any of the experimental treatments. Extrusion had no effect on carcass traits and the carcasses of pigs fed canola meal and oil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pigs fed whole canola seed. Castrates had a significantly lower dressing percentage, lower estimated lean yield but greater loin fat depth than gilts (p<0.05).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peas in combination with canola seed or canola meal are an acceptable alternative to soybean meal as a protein supplement for use in growing-finishing swine diets. Extrusion did not appear to have any beneficial effects on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canola seed-pea blend as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were similar for pigs fed the unextruded blend of peas and canola seed compared with the extruded product. Since the process adds to the cost of the raw products, its use is unlikely to be economical.

개량유채 목포 단교 19호유가 흰쥐의 성장 및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peseed [Recommendable cultivars(Mokpo Dangy 19)] oil an Growth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 전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2권6호
    • /
    • pp.447-456
    • /
    • 198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nutritional effect and the utilization possibility of rapeseed oil which could replace the imported edible oils and oil crops.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a recommendable cultivar(Mokpo Dangyo 19) and a native kind(Asahi)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rapeseed oils were analyzed. The animal experiment of these rapeseed oils was carried out during 8 weeks of growing periods after weanling. Forty male weanling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diet groups of Dangyo 19 oil, Asahi oil and commercial Soybean oil. Mokpo Dangyo 19 variety contained more lipids than Asahi variety by 8%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Dangyo 19 oil and Asahi oil except that erucic acid was contained little in Dangyo 19 oil but 50% in Asahi oil. Body weight gain, FER(Feed efficiency ratio) and PER(Protein efficiency ratio) of rats fed Dangyo 19 oil were higher than those of rats fed Asahi oil and organ weights such as liver, kidney and epididymal fat pads weights of rats fed Dangyo 19 oil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those of rats fed Asahi oil. the apparent digistibility of total diet and total lipid were higher in rats fed the diets containing Dangyo 19 oil than Asahi oil. The content of total lipid in heart in hear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ietary oil kinds. The content of total lipid in liver increased with age in all rapeseed oil groups.

  • PDF

이유자돈에 있어 대두유, 우지 및 코코넛 오일의 첨가가 생산성, 혈청 지질변화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ybean Oil, Tallow and Coconut Oi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Serum Lipid Changes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Weaned Pigs)

  • 조진호;김해진;진영걸;유종상;민병준;김진동[;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33-40
    • /
    • 2007
  • 본 연구는 이유자돈에 있어 대두유, 대두유와 우지의 혼합 급여 및 대두유와 코코넛유의 혼합급여가 생산성, 혈청 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 등지방 두께, 정육율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개시시 체중 6.92±0.01kg 인 3원 교잡종 [(Yorkshire×Landrace)×Duroc] 자돈 120두를 공시하여 35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일반대두유 5%를 함유한 처리구(CON), 일반대두유 4.5%와 우지 0.5%를 함유한 처리구 (T0.5), 일반대두유 4.5%와 코코넛유 0.5%를 함유한 처리구(C0.5) 및 일반대두유 4%와 코코넛유 1.0%를 함유한 처리구(C1.0)의 4 처리를 하여 처리당 6반복, 반복당 5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이유자돈의 생산성에 있어서는 14~35일과 전체 시험기간 동안 일당증체량 및 일당사료섭취량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대두유와 코코넛유를 혼합급여한 처리구가 대두유와 우지를 혼합급여한 T0.5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개시시, 14일 후, 35일 후(종료시)에 측정한 등지방 두께 및 정육율의 변화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 개시 14일 후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C1.0구가 C0.5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동맥경화지수에 있어서는 C0.5구가 T0.5 및 C1.0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시험 종료시(35일) 지방소화율에서는 C1.0구가 T0.5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이유자돈 사료 내 대두유와 코코넛 오일의 혼합급여는 대두유와 우지의 혼합급여와 비교하였을 때 사료효율 및 지방소화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Caffeine과 지방급여가 생쥐의 유선발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affeine and Dietary Fat on Mouse Mammary Development)

  • Lee, Seung-Yop;Yuh, In-Suh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9-357
    • /
    • 2001
  • 본 연구는 caffeine과 다불포화 지방산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대두유(soybean oil) 급여 가 생쥐의 유선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생쥐를 0, 5, 20%의 3개 지방급여 구로 나누고 각 구의 반은 caffeine처리를 하였으며 나머지는 무처리 하였다. Caffeine처리시 무처리구에 비하여 시험종료시 체중, 일당 증체량 및 유선의 무게(wet weight)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caffeine처리시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여 제 4유선의 유선발달 score및 DNA함량/gland을 증가시켰다(P<0.05). 지방급여 수준효과에 있어서는 caffeine처리구와 무처리구 모두에서 지방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선발달 score 및 DNA함량/gland이 증가하였다(P<0.05). Caffeine 급여와 20% 지방급여구 간에는 유선발달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20% 지방 + caffeine) - (20% 지방 + no cafferine) vs (0% 지방 + caffeine) - (0% 지방 + no caffeine)] (P<0.01). Phosphodiesterase 활성 억제인자인 caffeine을 생쥐에 급여할 시 유선의 발달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급여에 따른 유선발달은 다불포화 지방산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대두유를 0∼20%로 증가함에 따라 유선발달이 증가하였다. Caffeine과 대두유를 병행하여 급여할 시 유선발달에 상승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난황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조성에 관한 서로 다른 지방의 첨가 효과 (Effects of Dietary Fats on the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 강환구;김겸헌;박병성;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7-524
    • /
    • 2006
  • 계란 품질,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에 관한 산란계 사료 내 서로 다른지방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36주령의 Hyline brown 산란계 총 200수(4처리구${\times}$50수/반복)를 공시하여 우지, 옥수수유, 아마인유 및 어유를 각각 5.0% 함유하는 실험사료를 10주간 급여하였다. Haugh unit, 파란 강도, 난각 두께 및 난황색에 대한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첨가지방은 계란 콜레스테롤 함량과 고도 불포화지방산 조성을 현저하게 변화시켰다. 난황의 n-6지방산 함량은 옥수수유 첨가구가 31.61%로써 가장 높았고 우지, 아마인유 및 어유 첨가구순으로 낮았으며, n-3 지방산 함량은 아마인유와 어유 첨가구가 각각 9.74%, 5.16%로써 유의적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p<0.05). 난황지방 산 조성의 n-3지방산 증가는 계란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를 초래하였다. 난황 콜레스테롤(mg/g yolk) 및 계란 콜레스테롤(mg/60g egg) 범위는 각각 $15.98{\sim}18.37mg$$227{\sim}261mg$으로써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어유, 아마인유 및 옥수수유 첨가구 순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난황 콜레스테롤의 감소율은 우지 첨가구와 비교하였을 때 어유 13.01%, 아마인유 11.49% 및 옥수수유 6.91%로써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는 산란계 사료 내 첨가되는 지방급원을 조절해 줌으로써 계란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으며 n-6와 n-3 지방산을 난황으로 축적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해준다.

오메가-3와 -9 지방산의 혼합 급이가 계육내 오메가-3 계열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Omega-3 and -9 Fatty Acid Combination Effects on Broiler Chicks to Produce Chicks with High in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 신대근;최성호;조영무;박재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
    • /
    • 2012
  • 본 연구는 오메가-3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높인 육계의 생산을 위하여 n-3 지방산과 올리브유를 혼합한 사료[CON(5% 일반지방), FXO(2.5% 아마씨유+ 2.5% 올리브유), FEO(2.45% 아마씨유+ 0.05% EPA + 2.5% 올리브유), FDO(2.45% 아마씨유+ 0.05% DHA + 2.5% 올리브유) 그리고 FHO(2.5% 어유+ 2.5% 올리브유)]를 육계에게 4주 간 급이하였다. 4주간의 사양 후 도계를 통하여 닭의 간, 가슴살 그리고 다리살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간은 간 무게/생체중의 비율, 육색 그리고 지방산의 조성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닭 가슴살과 다리살은 지방산 함량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FHO 사료를 급이한 육계의 간은 EPA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DPA와 DHA는 높았다(p<0.05). 가슴 근육은 n-6 지방산인 AA와 DPA 그리고 n-3 지방산에서 FDO 처리구가 이외의 처리구 대비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더욱이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치적으로 EPA와 DHA 함량 역시 높았다. LNA 함량은 FEO와 FDO 사료를 급이한 닭의 다리 근육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AA 함량 또한 FHO와 유사하였다. FHO 사료를 급이한 닭의 다리 근육은 EPA, DHA 그리고 n-3 지방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에 AA의 함량과 n-6/n-3 지방산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따라서 본 실험은, n-3의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n-6/n-3 비율의 향상을 위해서는 근섬유 조성에 따라 그 접근법이 달라야 된다는 사실이 조사되었으며, 가슴과 다리 근육 내 n-3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각각 FDO와 FHO 사료의 급이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Dietar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Antibody Production and Lymphocyte Proliferation of Laying Hens

  • Xia, Z.G.;Guo, Y.M.;Chen, S.Y.;Yuan, J.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9호
    • /
    • pp.1320-1325
    • /
    • 2003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on the immune responses of laying hens. Three hundred and sixty hens at the age of 60 weeks were randomly assigned to ten diets, which contained no oil (CK), 1%, 3%, 5% fish oil (FO); 2%, 4%, 6% linseed oil (LO) and 2%, 4%, 6% corn oil (CO). After 5 weeks of feeding experimental diets,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were assayed. Laying hens were injected with Sheep Red Blood Cell (SRBC) and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antibody titers, which were measured on d6, d10, d14 after primary challenge and on d5, d9, d13 after secondary challenge. Concanavalin (ConA) and lipopolysaccharide (LPS) -stimulated proliferation of peripheral blood and spleen lymphocytes were assessed by [$^3$H] thymidine incorporation at the week age of 5 and 10,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antibody titers in FO-fed and LO-fed laying hens were higher than that in laying hens fed CO. The proliferation response to ConA was lower in laying hens that fed oils rich in n-3 fatty acids than that in laying hens fed CO. Higher level n-3 fatty acids can improve immune functions of laying hens. In conclusion, dietary fat source and leve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mmune responses of laying hens.

동물성 오일의 전처리 반응 메탄올 재활용 연구 (Excess Methanol Recovery and Reuse in Biodiesel Production from Animal Fat & Oil)

  • 김성민;김덕근;이준표;박순철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6.1-176.1
    • /
    • 2011
  • 바이오디젤 대체 원료로서 폐돈지, 폐우지를 이용한 오일 추출 및 바이오디젤 생산 반응을 진행하고 이때 사용되는 과잉 메탄올의 회수 및 재사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추출된 오일의 상태에 따라 전처리를 위한 에스테르화 반응여부를 판단하게 되지만 에스테르화 반응과 전이에스테르화 반응 모두에서 상당량의 과잉 메탄올을 투입하게 된다. 에스테르화 반응에서는 이론량보다 20~50배 가량을 투입하고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서는 오일:메탄올 이론 몰비인 3:1 보다 2~4배 가량을 이용하게 된다. 에스테르화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는 균질계 액체 산 촉매와 불균질계 고체 산 촉매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황산을 이용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하였으며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서는 KOH를 촉매로 이용하였다. 각각의 공정에 사용된 과잉 메탄올의 재이용 방안을 조사하였으며 메탄올을 단증류를 통해 회수하는 방법과 회수된 메탄올을 이용한 에스테르화 반응 및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해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미반응 과잉메탄올의 회수 정제시 메탄올의 최대 수분함량(%) 허용치를 결정할 수 있었다. 회수된 메탄올을 재이용함에 따라 바이오디젤 생산비 중의 원료(메탄올) 및 설비비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ackfat Characteristics of Barrows and Gilts Fed on Tuna Oil Supplemented Diets during the Growing-finishing Periods

  • Jaturasitha, S.;Srikanchai, T.;Chakeredza, S.;ter Meulen, U.;Wicke,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8호
    • /
    • pp.1214-1219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plementing tuna oil to diets of growing-finishing pigs (barrows and gilts) on backfat characteristics when slaughtered at different weights. Four hundred and eighty crossbred (Large White$\times$Landrace$\times$Duroc) pigs averaging 30 kg were allotted to 12 treatment combinations (40 pigs/treatment combination)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a $2{\times}2{\times}3$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The treatments were: dietary tuna oil supplementation (0 and 2%); sex (barrows and gilts); and slaughter weight (90, 100 and 110 kg). As pigs reached their slaughter weight, they were randomly selected (8 pigs/treatment combination; 96 pigs in total) and slaughtered. Backfat colour, hardness and fatty acid profile were assessed. There were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colour (L* and a* values) among treatments. Backfat of the control group was harder than on the tuna oil (p<0.001) and that of barrows was harder than of gilts (p<0.05). In addition,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of fat from the tuna oil group stored for 3 days were higher (p<0.001) than the control group. The TBARS values of gilts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barrows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slaughter weight in the tuna oil group. Th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not affected by diet and sex but the triglyceride level increased with increasing slaughter weight (p<0.01). The tuna oil group had higher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content, ratio of PUFA: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total n-3 fatty acids but lower mono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and n-6:n-3 fatty acids than the control group (p<0.01). Gilts had higher PUFA and n-6 fatty acids in backfat than barrows (p<0.05). The backfat from both 90 and 100 kg slaughter-weight groups had a lower ratio of n6:n3 fatty acid than the 110 kg slaughter-weight group (p<0.05). However, this was more pronounced in the tuna oil group. The PUFA: SFA was also increased while the n-6:n-3 ratio tended to reach the recommended levels for healthy eating in human beings of <5. However, due to oxidative susceptibility, barrows should not be slaughtered at more than 100 kg for the meat to be acceptable to consumers.

팜유의 급여가 한우의 도체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alm Oil Supplementation on the Quality of Carcass and Meat of Hanwoo (Korean Cattle))

  • 강선문;김영종;무흘리신;송영한;김거유;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48-755
    • /
    • 2011
  • 팜유의 급여가 한우의 도체성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30개월령 거세 한우를 팜유의 급여(100 g/head/d) 유무에 따라 3개월 동안 공시하였으며, 시료는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4^{\circ}C$에 9일 동안 저장하였다. 도체성적, 총육색소 함량, pH, 총환원력 및 근소편화지수는 팜유의 급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일반성분 함량은 팜유 급여구의 조지방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p<0.05), 이로 인해 보수력과 연도는 팜유 급여구가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은 팜유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palmitic acid(C16:0) 함량과 낮은 다가 불포화지방산(PUFA) 함량 을 보였다 (p<0.05). 저장 중 품질은 팜유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지방산화 안정성, 육색소산화 안정성 및 육색 안정성을 보였다. 따라서 한우에게 팜유를 급여했을 때 쇠고기의 마블링 및 저장성은 증가되었으나, 다가불포화지방산은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