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resonance

검색결과 10,656건 처리시간 0.044초

동물복지 사육환경이 두 육계 품종의 가슴육 및 다리육의 대사체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nimal-Welfare Environment on the Metabolomic Properties of Breast and Thigh Meat from Two Broiler Strains)

  • 이동헌;정종현;조철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39-253
    • /
    • 2021
  • 본 연구는 Cobb종 및 Ross 308종 육계가 동물복지 사육환경에 따라 나타내는 대사체학적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일반농장과 동물복지농장(사육면적, 사육밀도, 암모니아 농도, 볏짚 등 제공)에 1일령의 Cobb종 및 Ross종 육계를 35일간 사육하고, 도계 후 가슴육과 다리육을 채취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대사체 분석은 one-dimensional 1H 핵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하였고, 직교부분최소자승판별분석(OPLS-DA)과 대사경로 분석을 함께 수행하였다. OPLS-DA 결과 육계 가슴육은 Ross종에 한하여 사육농장간 뚜렷한 구분이 가능하였다. 동물복지농장 유래 Ross종 육계 가슴육은 acetate, anserine, creatine, inosine monophosphate 함량이 일반농장 닭가슴육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반면 육계 다리육은 OPLS-DA 결과 Cobb종 육계에서만 사육농장에 따른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glucose와 lactate를 포함한 5종의 대사체 함량은 동물복지농장에서 사육된 경우에 높았으나 7종의 유리아미노산을 포함한 9종의 대사체 함량은 낮았다(P<0.05). 대사경로 분석 결과 Ross종 육계 가슴육에서는 4종, Cobb종 육계 다리육에서는 glycolysis/gluconeogenesis를 포함한 20종의 대사경로에서 사육농장 간 유의적인 차이(P<0.05)가 나타났다. 동물복지농장에서 사육된 Ross종 육계 가슴육과 Cobb종 육계 다리육은 일반농장에서 사육된 경우와는 다른 대사체학적 특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풍미 물질에의 뚜렷한 차이를 보여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리플릿 교육 후 MRI 환자의 이해도 및 만족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MRI Patients after Leaflet Training)

  • 박창희;한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23-129
    • /
    • 2022
  • 최근 OECD 가입국 중에 MRI 보급률이 평균보다 높게 보급되고 있고, MRI 검사의 횟수도 증가하고 있다. MRI 검사는 다른 의료장비에 비해 검사시간이 길며, 환자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환자의 불편이 항상 뒤따른다. 이러한 불편한 환경에서 검사 시 정확한 검사가 어려우며 진단적 가치의 영상획득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기존 MRI 검사 시 MRI의 위험성과 협조를 구하기 위해 글로 되어있는 안내문을 제공 하였으나, 전문용어와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들로 구성이 되어있어 이해도가 낮아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MRI 검사의 이해도를 높여 진단적 가치가 있는 영상획득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이해도와 만족도를 평가하여 리플릿 교육의 우수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리플릿 교육 전보다 교육 후의 이해도와 만족도의 점수는 각각 4.44±0.55 점, 4.85±0.37 점으로 높았으며, 학력에 따라 이해도의 차이는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MRI 검사 횟수는 차이가 없었다. 향후 MRI 검사에서 다양하고 이해하기 쉬운 리플릿 교육이 널리 보급되어 환자의 적극적인 검사 협조로 보다 질 좋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ong-Term Outcomes of Stenting on Non-Acute Phase Extracranial Supra-Aortic Dissections

  • Jiang, Yeqing;Di, Ruoyu;Lu, Gang;Huang, Lei;Wan, Hailin;Ge, Liang;Zhang, Xiaol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3호
    • /
    • pp.422-429
    • /
    • 2022
  • Objective : Extracranial supra-aortic dissections (ESADs) with severe stenosis, occlusion and/or pseudoaneurysm presents potential risk of stroke. Endovascular stenting to reconstruct non acute phase ESADs (NAP-ESADs) is an alternative to anticoagulant or antiplatelet therapy. However, its feasibility, safety and efficacy of stenting in NAP-ESADs is unclea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ong-term outcomes of the feasibility, safety and efficacy of stenting in NAP-ESADs. Methods : Seventy-four patients with 91 NAP-ESAD vessels with severe stenosis, occlusion and/or pseudoaneurysm presents potential risk of stroke who underwent stent remodeling were enrolled into this respective study from December 2008 to March 2020. Technical success rate, complications, clinical and angiographic results were harvested and analyzed. Results : Success rate of stent deployment was 99% (90/91) with no procedural mortality or morbidity. Transient ischemic attack occurred in three patients during operation (4.1%, 3/74). Asymptomatic embolisms of distal intracranial vessels were found in two patients (2.7%, 2/74). One hundred and forty-two stents deployed at 85 carotid (135 stents) and six vertebral (seven stents) vessels. Six stent types (Wingspan, 28/135, 20.7%; Solitaire, 10/135, 7.4%; Neuroform, 8/135, 5.9%; LVIS, 2/135, 1.5%; Precise, 75/135, 55.6%; Acculink, 12/135, 8.9%) were deployed at carotid arterial dissection while two types (Wingspan, 5/7, 71.4%; Solitaire 2/7, 28.6%) at vertebral arterial dissection. Digital subtracted angiography (56%, 51/91), computational tomography angiography (41.8%, 38/91) and high resolu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2.2%, 2/91) were adopted for follow up, with a mean time of 17.2±15.4 months (5-77). All patient modified Rankin Scale scores showed no increase at discharge or follow-up. Angiographically, dissections in 86 vessels in 69 patients (94.5%, 86/91) were completely reconstructed with only minor remnant dissections in four vessels in four patients (4.4%, 4/91). Severe re-stenosis in the stented segment required re-stenting in one patient (1.1%, 1/91). Conclusion : Stent remodeling technique provides feasible, safe and efficacious treatment of ESADs patients with severe stenosis, occlusion and/or pseudoaneurysm.

항암화학요법에 이은 확대 담낭절제술로 치료한 절제 불가능한 담낭암 (A Case of Unresectable Gallbladder Cancer Treated with Chemotherapy Followed by Extended Cholecystectomy)

  • 정광현;박진명;이재민;이상협;류지곤;김용태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104-107
    • /
    • 2013
  • 담낭암은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었을 경우 예후가 매우 불량한 암으로 전신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를 하게 되나 일반적으로 고식적인 역할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증례는 원위부 림프절 전이가 있어서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담낭암 환자에서 gemcitabine과 cisplatin을 병합한 전신항암화학요법으로 여섯 주기 치료 후 부분 관해를 얻어서 확대 담낭절제술이 가능하였던 증례로 매우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담낭암에서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아직까지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최근 양호한 종양 반응률과 종양 억제율을 보이는 항암화학요법이 개발됨에 따라서 그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다.

  • PDF

Diagnostic Performance of 2018 KLCA-NCC Practice Guidelin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on Gadoxetic Acid-Enhanced MRI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or Cirrhosis: Comparison with LI-RADS Version 2018

  • Sang Min Lee;Jeong Min Lee;Su Joa Ahn;Hyo-Jin Kang;Hyun Kyung Yang;Jeong Hee Y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7호
    • /
    • pp.1066-1076
    • /
    • 2021
  • Objectiv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2018 Korean Liver Cancer Association-National Cancer Center (KLCA-NCC) Practice Guidelines (hereafter, PG) for the diagno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using gadoxetic acid-enhanced MRI, compared to the Liver Imaging-Reporting and Data System (LI-RADS) version 2018 (hereafter, v2018).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3 to October 2015, treatment-naïve hepatic lesions (≥ 1 cm) on gadoxetic acid-enhanced MRI in consecutiv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or cirrhosi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For each lesion, three radiologists independently analyzed the imaging features and classified the lesions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2018 KLCA-NCC PG and LI-RADS v2018. The imaging features and categories were determined by consensus.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models were used to compare the per-lesion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2018 KLCA-NCC PG and LI-RADS v2018 using the consensus data. Results: In total, 422 lesions (234 HCCs, 45 non-HCC malignancies, and 143 benign lesions) from 387 patients (79% male; mean age, 59 years) were included. In all lesions, the definite HCC (2018 KLCA-NCC PG) had a higher sensitivity and lower specificity than LR-5 (LI-RADS v2018) (87.2% [204/234] vs. 80.8% [189/234], p < 0.001; 86.2% [162/188] vs. 91.0% [171/188], p = 0.002). However, in lesions of size ≥ 2 cm, the definite HCC had a higher sensitivity than the LR-5 (86.8% [164/189] vs. 82.0 (155/189), p = 0.002) without a reduction in the specificity (80.0% [48/60] vs. 83.3% [50/60], p = 0.15). In all lesion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definite/probable HCC (2018 KLCA-NCC PG) and LR-5/4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89.7% [210/234] vs. 91.5% [214/234], p = 0.204; 83.5% [157/188] vs. 79.3% [149/188], p = 0.071). Conclusion: For the diagnosis of HCC of size ≥ 2 cm, the definite HCC (2018 KLCA-NCC PG) had a higher sensitivity than LR-5, without a reduction in specificity. The definite/probable HCC (2018 KLCA-NCC PG) had a simila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o that those of the LR-5/4.

담도폐쇄증의 영상 진단 (Diagnostic Imaging of Biliary Atresia)

  • 윤혜성;임현지;김지수;이미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991-1002
    • /
    • 2022
  • 담도폐쇄증은 신생아 담즙 정체의 드물지만 중요한 원인이다. 적절한 치료와 예후를 위해서는 정확한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본 종설에서는 초음파 검사, MRI, 간담도 핵의학스캔, 담관조영술 등의 영상 검사에서 담도폐쇄증의 영상 소견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주요 영상의학적 소견들은 담낭의 비정상적인 모양과 크기, 간문맥 주변의 비후를 나타내는 'triangular cord' sign, 총담관이 보이지 않고, 간동맥 혈류가 증가하는 소견 등과 함께 동반된 기형의 유무들을 보이는 것이다. 담도폐쇄증의 진단을 위해 초음파 검사, MRI, 간담도 핵의학 스캔, 담관조영술 등의 여러 영상 검사들을 시행하며, 1차 영상 검사로 초음파 검사가 중요하다. 본 종설에서는 각 영상 검사들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담도폐쇄증의 소견들과 함께 조기 신생아기에서 담도폐쇄증 진단의 어려움, 그리고 간 섬유화를 예측하기 위한 영상의 역할도 검토하였다. 본 종설이 담도폐쇄증 진단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이하선 병변에서 활경근 침윤의 빈도와 조건 (Platysma Infiltration on CT or MRI in Parotid Pathology)

  • 서희붐;김학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152-161
    • /
    • 2021
  • 목적 CT나 MRI에서 이하선의 양성종양, 악성종양 및 염증 질환에서 나타나는 활경근 침윤의 빈도와 어떤 상황에서 잘 일어나는지 그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이하선에서 발생한 양성종양 314명, 악성종양 52명 그리고 염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T나 MRI에서 활경근 침윤의 빈도 및 병변의 위치, 피막침범 유무, 국소성에 따른 활경근 침윤 유무를 후향적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활경근 침윤의 빈도는 양성종양에서 0%, 악성종양에서 19.2% (10/52), 염증 환자에서 50% (11/22)였다. 피막을 침범한 염증 환자 13명 중 10명에서 활경근 침윤을 보였다. 활경근 침윤을 보인 염증 환자 11명 중 10명이 미만성을, 1명은 국소성을 보였다. 활경근 침윤을 보인 악성종양 총 10명 모두에서 피막을 침범하였으며, 그중 미만성 병변이 7명, 국소성이 3명이었다. 결론 이하선 질환에서 활경근 침윤은 악성종양보다 염증 질환에서 더 흔하게 일어났다. 염증 질환에서의 활경근 침윤은 이하선 피막을 침범하거나 미만성 병변일 경우 더 잘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의 MRI에서 발견된 병변의 악성 예측을 위한 점수체계: 진단적 능력과 이차 초음파 결정에 미치는 영향 (Scoring System to Predict Malignancy for MRI-Detected Lesions in Breast Cancer Patients: Diagnostic Performance and Effect on Second-Look Ultrasonography)

  • 권영걸;박아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379-394
    • /
    • 2020
  • 목적 유방암 환자의 MRI에서 발견된 추가적 병변의 악성 예측을 위한 점수체계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68명 유방암 환자의 86개 MRI 발견 병변(64 양성, 22 악성)이 후향적으로 연구되었다. 스튜던트 t 검정, Fisher 정확검정, 로짓 회귀분석을 이용해 영상적 소견과 조직학적 결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의미 있는 악성 시사 소견을 기반으로 한 점수체계를 설계하고 그 것의 진단적 능력을 Breast Imaging-Reporting and Data System (이하 BI-RADS) category와 비교하였다. 결과 병변 크기 ≥ 8 mm (p < 0.001), 주 병소와 동일한 사분면에 위치(p = 0.005), 지연기의 고원형 조영 증강(p = 0.010), T2 등신호(p = 0.034) 혹은 저신호 강도(p = 0.024), 불규칙한 종괴 모양(p = 0.028)이 악성과 관련 있었다. 이 소견들과 의심스러운 비종괴 내부 조영 양상을 바탕으로 한 점수체계는 BI-RADS의 진단적 능력을 향상시켰고(area under the curve, 0.918 vs. 0.727), 3개의 위음성 케이스를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22개의 불필요한 2차 초음파 검사(22/66, 33.3%)를 줄일 수 있었다. 결론 병변 크기, 주 병소와의 상대적 위치, 지연기의 조영 증강 양상, T2 신호강도, 종괴의 모양 및 비종괴 내부 조영 양상을 기반으로 한 점수체계는 유방암 환자의 MRI 발견 병소를 평가하는데 있어 정확도를 높여 줄 수 있다.

방광 요로상피세포암: 영상의학적 관점 (Urothelial Carcinoma of the Bladder: Radiologic Perspective)

  • 김동원;윤성국;김상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033-1052
    • /
    • 2021
  • 방광암은 비교적 흔히 진단되는 암이며 재발이 흔해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흔히 만날 수 있다. 방광암의 정확한 진단과 병기 평가는 어떤 치료를 할 것인지를 정하고 예후를 평가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방광암의 임상적 병기 평가는 요도경유방광종양절제술로 진단과 치료를 겸해서 이루어졌지만, 저평가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수술 전 방광암의 위치, 크기, 근육층 침범 유무, 림프절전이, 원격전이, 상부요로 암 유무 등을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정확히 진단 및 평가할 수 있다면 더욱 적절히 처치 및 관리를 할 수 있다. 이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을 판독하는 영상의학과 의사는 먼저 방광암의 임상적인 특징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영상 검사들의 종류와 특징, 한계를 알고 있어야 한다. 최근 자기공명영상의 발달로 방광 영상의 질 및 방광암의 진단과 평가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방광 이미징 보고 및 데이터 시스템이 발표되어 객관적으로 방광암의 근육층 침범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방광암 치료 종류를 알고 그에 따른 치료 후 변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어떻게 평가하는지도 알아야 하겠다. 이 종설에서는 방광 요로상피세포암의 특징과 다양한 영상의학 검사와 소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 인구에서 NeuroQuant와 DeepBrain에서 측정된 뇌 용적의 정상규준 백분위수 비교: 두개골 형태와의 연관성 (Comparison of Normative Percentiles of Brain Volume Obtained from NeuroQuant vs. DeepBrain in the Korean Population: Correlation with Cranial Shape)

  • 양미현;김은희;최은선;고홍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080-1090
    • /
    • 2023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인구에서 NeuroQuant (이하 NQ)와 DeepBrain (이하 DB)에서 측정된 뇌 용적과 정상규준 백분위수를 비교하고, 두개골 형태와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이 연구는 구조적 뇌 이상이 없는 163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NQ와 DB에서 측정된 뇌 용적과 정상규준 백분위수를 비교하고, 두개골 형태와의 연관성을 확인한 후향적 연구이다. 급내상관계수분석과 선형분석의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정상규준 백분위수는 시상(90.8 vs. 63.3 percentile), 피각(90.0 vs. 60.0 percentile), 그리고 두정엽(80.1 vs. 74.1 percentile)에서 NQ가 DB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후두엽(18.4 vs. 68.5 percentile)은 DB가 NQ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후두엽의 경우 두개골 형태와의 비교 연구에서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고, 두개골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비례하고 상하방향의 길이와는 반비례했다. 결론 NQ와 DB에서 얻은 정상규준 백분위는 각 뇌 영역마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그 차이는 한국 인구의 두개골 형태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