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caffeine

검색결과 643건 처리시간 0.027초

Anticancer Potential of Cratoxylum formosum Subsp. Pruniflorum (Kurz.) Gogel Extracts Against Cervical Cancer Cell Lines

  • Promraksa, Bundit;Daduang, Jureerut;Khampitak, Tueanjit;Tavichakorntrakool, Ratree;Koraneekit, Amonrat;Palasap, Adisak;Tangrassameeprasert, Roongpet;Boonsiri, Patchare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117-6121
    • /
    • 2015
  • Background: Most northeast Thai vegetables may play roles in human health by acting as antioxidant and anticancer agents. Recent study showed that Cratoxylum formosum subsp. pruniflorum (Kurz.) Gogel. (Teawdang) could inhibit growth of liver cancer cell lines. Cervical cancer, which has human papilloma virus as its main cause, is found at high incidence in Thailand. Due to increasing drug resistance, searches for potential anticancer compounds from natural source are required. Therefore, our purpose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Teawdang extracts in cervical cancer cell lines. Materials and Methods: Teawdang edible parts, purchased from Khon Kaen market during July-October 2013 was extracted with organic solvent. Phenolic profiles of crude hexane (CHE), ethyl acetate (CEE), methanol (CME) and water (CWE) extracts were perform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HPLC) techniques. Their cytotoxic effects on cervical cancer cells were investigated with HPV-non infected (C-33A) and HPV-infected (HeLa and SiHa) cell lines. Results: HPLC profiles showed that all crude extracts contained caffeine, ferulic acid and resveratrol. CME and CEE had high contents of gallic acid and quercetin. Catechin was found only in CWE. Cytotoxicity test showed that CEE had the lowest IC50 on HeLa ($143.18{\pm}13.35 {\mu}g/mL$) and SiHa cells ($106.45{\pm}15.73{\mu}g/mL$). C-33A cells were inhibited by CWE ($IC50=130.95{\pm}3.83{\mu}g/mL$). Conclusions: There were several phenolic compounds in Teawdang extracts which may have cytotoxic effects on cervical cancer cell lines. Investigation of these bioactive compounds as new sources of anticancer agents is recommended.

커피음용행동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개념도 분석 (Concept Mapping Analysis on the Meaning of Coffee-Drinking Behavior)

  • 오보영;이상희
    • 감성과학
    • /
    • 제19권4호
    • /
    • pp.55-70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를 마시는 대학생들이 커피음용 행동의 의미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15명을 연구 참가자로 선정하여 커피음용 행동의 의미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69개의 진술문을 도출해냈다. 이후 다차원 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개념도분석을 실시하여 참가자들의 개념적 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커피 음용 행동의 의미에 대한 구성 요인으로 7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각 군집은 '개인이 원하는 신체적 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 '사교 활동의 수단', '심리적 위안을 얻기 위한 방법', '공간 활용 및 사적인 시간을 보내기 위한 음용', '습관적 음용 및 카페인의 효과 이용', '커피만의 다양한 특성과 매력을 즐김', '커피의 도시적이고 고급스러운 이미지 선호'로 나타났다. 또한 각 군집을 분류하는 두 가지 차원을 알아본 결과, 커피 내적고려-커피 외적고려 차원과 정서적 요인-물리적 요인의 두 차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군집별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이 커피음용의 행동의 의미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공간 활용 및 사적인 시간을 보내기 위한 음용'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Mono sodium glutamate (MSG) 발효 GABA의 수면유도 효과 (Sleep-Inductive Effect of GABA on the Fermentation of Mono Sodium Glutamate (MSG))

  • 김승섭;오성호;정명훈;조석철;국무창;이석호;변유량;이현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2-146
    • /
    • 2010
  • 미배아 발효로부터 얻은 GABA 시료를 이용하여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우유와 doxylamine succinate, 음성대조군으로 사용된 caffeine, 일반대조군으로 사용된 증류수와 함께 실험군인 GABA 시료를 농도별로 투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멜라토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2.607{\pm}0.410\;pg/mL$에 비해 GABA 60 mg/mL 투여군은 $3.243{\pm}0.154\;pg/mL$, GABA 120 mg/mL 투여군은 $3.425{\pm}0.182\;pg/mL$, 우유에 녹인 GABA 120 mg/mL 투여군은 $3.464{\pm}0.205\;pg/mL$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GABA 시료의 섭취 기간에 따른 멜라토닌 호르몬의 누적효과는 유의성이 없었다. 세로토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4.73{\pm}0.67\;ng/mL$에 비해 GABA 60 mg/mL 투여군은 $4.71{\pm}1.22\;ng/mL$, GABA 120 mg/mL 투여군은 $5.37{\pm}0.96\;ng/mL$, 우유에 녹인 GABA 120 mg/mL 투여군은 $6.34{\pm}0.59\;pg/mL$으로 대조군의 평균값과 같거나 비교적 높은경향을 보였으며 농도별로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GABA 120 mg/mL 투여시 멜라토닌과 세로토닌 모두 시판되는 수면보조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건강인식과 관련한 식행동 분석: 2017 ~ 2019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Dietary Behaviors Associated with Health Perception of Korea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data from the 2017 ~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s)

  • 호월용;송수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2-204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behavior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2,459 Korea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ged 13 ~ 18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s. Information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variables was self-reported using a web-based questionnaire. The dietary behavior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the breakfast and food intake frequencies, including fruit, vegetable, milk, fast food, carbonated drink, sweet drink, and high caffeine/energy drinks. The adolescents' health perception was self-rated as healthy, average, or unhealthy. The dietary behaviors associated with health perception were examined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fter adjusting for the confounding variables. Results: In this study population, 7.6% of adolescents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as unhealthy, and 25.4% perceived it as average. The adolescents who were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households with a low economic statu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s of poor health perception (P-values < 0.001). Skipping breakfas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negative health perception. Compared to the adolescents who consumed fruits every day, those who did not consume fruits during the previous week showed a higher odd ratio (OR) for a negative health perception [OR = 2.29, 95% confidence interval (CI) = 1.32-3.97]. The adolescents who frequently consumed carbonated drinks (≥ 5 times/week)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as unhealthy relative to those who did not consume carbonated drinks (OR = 2.15, 95% CI = 1.25-3.71). Skipping breakfas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OR for a negative health perception in girls but not in boys. Compared to adolescents with a normal weight, those with overweight/obesity (OR = 1.75, 95% CI = 1.21-2.52) and underweight (OR = 2.19, 95% CI = 1.25-3.82) showed higher ORs for negative health perception. Positive associations of overweight/obesity and underweight with negative health perception were observed in boys but not in girls. Conclusions: Dietary behaviors and weight status were associated with the health perception in Korea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utrition interventions on breakfast intake and healthy food choices for this population might effectively improve their weigh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질소 분시횟수가 옥로차엽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Split Application on Growth and Quality of Okro Tea Leaves(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 임근철;박장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39
    • /
    • 2001
  • 질소비료를 $3{\sim}7$회 분시하여 옥로차의 수량 및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회 분시가 타처리에 비해 생육과 수량이 많고 타처리에 비해 총질소, 총아미노산, 비타민C 함량이 약간 많았으며 탄닌, 카페인, 엽록소, 총유리당 함량은 3회분시를 제외하고 $4{\sim}7$회 분시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함량은 $2,888{\sim}2,933mg/100g$이었고, 특히 5회 분시에서는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ld 함량이 가장 많았다. 옥로차 감칠맛 성분인 theanine을 포함해 16종이 아미노산을 분리 정량한 결과 5회 분시가 타처리에 비해 theanine 함량이 $72{\sim}513mg/100g$더 많았다. 관능평가에서 3회 분시가 80.2점으로서 다른 처리보다 낮았고, 5회 처리가 84.7점으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5회 분시처리가 다른처리에 비해 수량도 양호하고 차 품질도 우수하여 옥로차의 적정 분시첫수라고 생각된다.

  • PDF

혐기처리 조건에 따른 녹차의 주요성분 변화 (Change in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ment condition of anae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 박장현;한성희;신미경;박근형;임근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5-279
    • /
    • 2001
  • 품질관련 성분 중 총질소, 총아미노산, 엽록소 및 비타민 C는 $CO_2$ gas 3시간 혐기처리가 타처리에 비해 함량이 약간 많았으며, 탄닌은 공기 처리가 카페인은 진공처리에서 함량이 약간 많은 경향이었다. 유리당은 $CO_2$ gas 처리가 2,050mg/100g으로 타처리에 비해 ${31{\sim}449mg/100g}$정도 많았다. 혐기처리시 GABA와 alanine이 축적되는데, GABA함량은 ${N_2\;CO_2}$ gas 처리가 무처리 (350mg/100g)에 비해 215mg/100g과 264mg/100g으로 $6{\sim}8$배 많았다. 제다품질은 무처리 80.4점에 비해 $N_2$, $CO_2$ gas 처리 각각 80.0, 80.3점으로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공기 및 진공처리는 각각 78.3, 78.9점으로 약간 품질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N_2$$CO_2$ gas처리 후 제다된 녹차는 기능성분인 GABA함량이 무처리에 비해 $6{\sim}8$배 많고, 제다 품질도 양호하였다.

  • PDF

한국산 보성 덖음 녹차의 가공 및 저장중의 카테킨류의 변화 (The Change in Catechin Content of Korean Bosung Green Tea by Different Processes and Storage)

  • 서봉순;서향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09-416
    • /
    • 2007
  • 본 연구는 일상의 기호 음료이며 기능성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녹차 중 수공 덖음 제다기법으로 제조한 보성 녹차의 제조 공정 및 저장 보관 중의 catechin 및 alkaloids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고자 HPLC 와 UV-VIS Spectrophotometer 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덖음차 제조 과정 중의 catechin, alkaloid 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차나무로부터 채취한 신선한 차잎은 EGCG 가 50.44 mg/g 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ECG 28.41 mg/g, CAF 25.13 mg/g, CG 가 1.26 mg/g, THB 1.24 mg/g, THP 0.10 mg/g 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Catechin, alkaloid류의 각 제조 과정 중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면 CG 를 제외한 모든 성분에서 제조 과정중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p<0.01, p<0.001). Catechin의 함량은 생잎일 때는 6.58 mg/g 이었으나 건조 후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GCG는 생잎일 때는 6.43 mg/g 이었으나 건조 후에는 3.61 mg/g 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THB와 THP 역시 생잎일 때보다 건조한 후에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장 중 녹차 잎의 catechin 과 alkaloid 류의 함량 변화를 조사해 본 결과, $5^{\circ}C,\;25^{\circ}C$ 저장 중의 녹차 잎 모두에서 EGCG, ECG, CAF의 감소가 많았고, 1 년간 저장 시에는 $20{\sim}30%$나 감소하였으며, 저장 온도에 따른 catechin 및 alkaloid 류의 양적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아 저장 온도에 따른 catechin 과 alkaloid 류의 함량 변화는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추출조건에 따른 우롱차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hysicochemical Quality of Oolong herbs tea by Extraction Conditions)

  • 박상규;김종국;김준한;문광덕;오상룡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1-417
    • /
    • 1994
  • 우롱차의 에탄올 추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농도 및 온도별로 우롱차의 품질에 미치는 유효성분들을 분석, 조사하였다. 우롱차엽의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시 $80{\sim}85^{\circ}C$, 50%이상의 에탄올 농도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유효성분 분석에서 유리당은 sucrose가 $37.2{\sim}55.0\;mg/100\;g$로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반면에 arabinose는 $3.3{\sim}5.6\;mg/100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유기산 함량은 furmaric acid가 $0.2477{\sim}0.7842\;mg/g$, citric acid가 $0.2047{\sim}0.6204\;mg/g$ malic acid가 $0.1619{\sim}0.4382\;mg/g$로 주요 유기산으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histidine 등 15종류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proline이 $0.693{\sim}1.681\;mg/g$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tyrosine, glutamic acid, valine, aspartic acid 등도 다른 유리아미노산보다 많은 양을 보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탄닌의 함량은 물과 25% 에탄올농도에서 38.6, $38.5\;{\mu}g/100\;g$을 나타냈고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탄닌의 함량은 낮아져 95% 에탄올 농도에서는 $24.2\;{\mu}g/100\;g$을 나타내었다. 카페인의 함량은 추출용매의 차이에도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그 함량은 $12.65{\sim}14.08\;mg/g$이었으며 ascorbic acid의 함량은 물과 25% 에탄올농도에서 $6.95\;{\mu}g/g$$6.50\;{\mu}g/g$을 나타냈고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ascorbic acid의 함량은 낮아져서 95% 에탄올에서는 $2.78\;{\mu}g/g$을 나타내었다. 추출용매의 농도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 떫은 맛과 쓴맛이 전체적인 기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농도를 25%로 하여 추출한 우롱차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발효시간이 뽕잎차 구성성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ermentation Tim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ulberry (Morus alba L.) Leaf Teas)

  • 배희애;백현;박해일;정명근;손은화;김삼현;김대수;정일민;성은수;유창연;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6-286
    • /
    • 2011
  • Morus alba (Mulberry) leaves were exposed to fermentation for varying amounts of time: no fermentation (0 min, MANF), medial fermentation (10 h, MAMF), and full fermentation (24 h, MAF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tea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commercial Camellia sinensis teas. The results showed that mulberry leaf teas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ash and fat than Camellia sinensis tea. Compared with Camellia sinensis teas, all mulberry leaf teas contained significantly more total free amino acids (24.26~54.25mg L-glutamic acid equivalent $g^{-1}$), but the concentration of caffeine was relatively low for mulberry leaf teas. High thiamine, riboflavin, and niacin contents were found in all mulberry leaf teas, but ascorbic acid and pyridoxine were found at higher levels in Camellia sinensis teas than in mulberry leaf teas. Color measurements demonstrated that mulberry leaf tea infusions generally had lower $a^*$ (greenness) and $b^*$ (yellowness) values than Camellia sinensis tea infusions. All infusions exhibited low turbidity levels (less than 10%).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were measured as 71.8 and 74.9mg 100 $ml^{-1}$ infusion in MANF and MAFF, respectively, but the MAMF tea infus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total phenols (64.6mg 100$ml^{-1}$ infusion).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mulberry leaf tea infusions were lower (8.9~20.6mg 100 $ml^{-1}$ infusion) than those of Camellia sinensis teas and thus had lower antioxidant capacities (DPPH: 326.8~526.9 ${\mu}M$ trolox equivalent $g^{-1}$ and FRAP: 364.6~387.6 ${\mu}M$ trolox equivalent $g^{-1}$) than Camellia sinensis teas. The amounts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nd rutin were higher in fermented mulberry leaf teas; the level of GABA in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time and the content was highest in MAFF, but rutin content was highest in MAMF.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식행동 및 간식 섭취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and Snack Intak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 류방가;허인준;이심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63-17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식행동 및 간식 섭취 실태를 비교하고자 한국 서울에 소재 대학 재학생 267명, 중국 산동성 소재 대학 재학생 253명 총 520명을 대상으로 건강 생활습관, 식행동, 간식 및 야식 섭취실태, 식생활 평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거주 형태에서 한국 대학생은 자택, 중국 대학생은 기숙사가 가장 높았다. 건강 생활습관은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운동 횟수는 높고, 음주, 흡연 및 카페인 섭취는 낮은 경향이었다. 식행동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보다 아침을 안 먹는 경향이었고,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 시간이 없어서 아침을 결식하는 경우가 높았다. 간식 섭취 빈도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 주 1~3회 정도였고, 섭취이유로 한국 대학생은 배가 고파서, 중국 대학생은 습관적으로 섭취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야식 섭취 빈도는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보다 높았고, 배가 고파서 야식을 섭취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식생활 평가 점수는 한국 대학생보다 중국 대학생이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전반적인 식생활을 비교하였고, 향후 양국 대학생의 건강을 위한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