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검색결과 1,079건 처리시간 0.037초

공학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실행을 위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Implement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Engineering Education)

  • 장경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96-106
    • /
    • 2009
  • 본 논문은 공학교육에서 PBL을 실천하기 위한 문제개발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제개발 경험이 없는 교수들에게 'PBL의 실천과 문제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실제적 문제를 개발하는 경험을 갖게 한 후 이들의 문제개발 과정과 개발된 문제의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학 분야의 실제 업무 과정 및 각 과정의 성과물과 비교하여 문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문제는 PBL 문제의 주요 특성 중 '실제성'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문제의 실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의 단계와 각 단계에서 산출되는 산출물이 문제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하고, 학년의 구분없이 모든 교과목에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공학교육의 목적에 부합한 PBL 문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수들에게 그들의 요구처럼 전공별로 다양한 실제적 문제 사례를 경험해 불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성 유방암 환자의 림프부종 감소와 조절을 위한 운동의 효과: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Exercise for reducing and controlling lymphedema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경희;오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12-520
    • /
    • 2016
  • 유방암은 여성에서 가장 흔한 악성종양이며, 림프부종은 가장 흔한 유방암수술 후 합병증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림프부종과 같은 치료 후유증의 위험도 감소와 적절한 관리는 유방암 생존 환자와 의사에게 있어서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림프부종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흔히 운동이 처방된다. 그러나 그러한 운동의 시기와 효과에 대해서는 각각 상반된 결과들이 보고되어 왔다. 저자들은 림프부종에 대한 운동 효과를 점검하여 환자 치료에 최선의 근거를 도입하기 위해 최신문헌과 상호 심사된 출판물, 전문 기구의 웹사이트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림프부종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시행되는 운동의 효과를 검토하였고, 그 결과 이미 림프부종이 발생해 있는 환자들에서는 임상적인 부종진행의 차이점에 유의성이 없었지만, 발생 전 환자들에서는 운동 혹은 훈련이 이차성 림프부종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진행을 변경시키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암치료의 발전, 암과 운동 연구, 림프부종의 관리를 위해서는 현재까지 도출된 근거들에 대한 고찰과 이해가 있어야 임상의사들이 적절한 환자 교육과 전문가의뢰를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 기술자격 미용사(피부)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실기시험 평가방법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ractical Test Methods fo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nd Course-ba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icense for Esthetician)

  • 김나영;김정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40-248
    • /
    • 2020
  • 본 연구는 NCS 기반으로 개편된 미용사(피부) 검정형 자격과 과정평가형의 자격시험에 관한 선행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국가기술자격 미용사(피부) 종목 과제 및 평가방법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검정형 자격은 암기 위주의 이론시험과 단순 기능 반복을 통한 작업능력을 기반으로 평가가 이루어져 자격과 일이 상호 연계되지 않고 있고, 과정평가형 자격은 상대적으로 시험 집행을 시작한 기간이 짧은 상태로 시행기관에서의 자체 내부평가의 신뢰성 저하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향후 현재 평가에 반영되고 있지 못하는 다양한 능력 단위를 적용하여 실기시험 평가 항목에 포함할 수 있는 상위자격의 신설 및 실기시험 평가방법 개선 등을 통해 현장과의 연계성을 제고시키고 관련 분야의 현장 적응 및 재교육 시간 단축 등의 자격제도 혁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 게재된 임상실험연구에 대한 고찰 (The Review of Clinical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 김철윤;서형식;김남권;이동진;권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5
    • /
    • 2014
  •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linical Trial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dermatology(JKOOD). Methods : We analyzed 25 clinical trials that published in JKOOD from 1988 to 2014. We excluded case reports, protocol and retrospective studies and classified searched papers into three categories; Randomized Clinical Trials(RCT), Non Randomized Clinical Trials(NRCT), Before After Study(BAS) by using study Design Algorithm for Medical literature of Intervention(DMAI). All artic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iagnosis, statistics program and intervention period. The bias of RCTs were evaluated by Cochrane Risk of Bias(RoB). Result : 1. The number of searched journals is 25 papers; 13 RCT, 2 NRCT, 10 BAS 2. Distribution of clinical trial; 'Atopic dermatitis' ranked the highest(44%) in disease, 'External application' raked the highest(71%) in treatment method. 3. 'allocation sequence' and 'prevention of allocated intervent to patients and therapists' are graded 'Low' but 'incomplete outcome date' and 'selective outcome' are graded 'Uncertain'.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RCT. It will be helpful to study systematic reviews and meta analysis in JKOOD.

전통 식초의 종류와 제조방법에 관한 문헌 연구 (Literature review on typ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vinegar)

  • 박은희;최찬영;권훈주;김명동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9권4호
    • /
    • pp.94-99
    • /
    • 2016
  • 식초는 신맛을 내는 역할에 집중되어 개발되고 산업화되어 발효 식초보다는 합성 식초가 발달하였다. 최근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발효 식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발효 식초 산업의 성장을 증가시키고 있다. 미용에 관심이 많은 여성소비자들을 겨냥한 파인애플, 자몽, 알로에 등 다양한 외국산 과일을 사용하는 식초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쌀과 같은 지역 특산물을 이용하는 전통 발효 식초는 과일 식초에 비하여 성공적인 상업화가 드문 편이다. 따라서 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농산물을 활용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 식초 제품을 개발하고 상업화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기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고문헌을 바탕으로 전통 발효 식초의 종류와 제조방법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 식초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트랄로키누맙과 두필루맙의 매칭 조정 간접 비교 (Matching-adjusted Indirect Comparison (MAIC) of Tralokinumab Versus Dupilumab for the Treatment of Moderate to Severe Adult Atopic Dermatitis)

  • 김태경;신근수;김효진;김유진;최이정;이동훈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8-185
    • /
    • 2023
  • Objective: Atopic dermatitis (AD) is a chronic, recurrent inflammatory skin disease. Both tralokinumab and dupilumab have been recommended in the European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adult patients with severe AD. In Korea, dupilumab has been approved for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AD, and reimbursed for those with severe AD. Since there is no clinical trial directly comparing tralokinumab and dupilumab, we conducted indirect comparison to assess the clinical usefulness in patients with AD. Methods: We selected clinical trials for indirect comparison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patient data were available for the tralokinumab clinical trial, and aggregated data were available for the dupilumab clinical trial. Therefore, we employed the Matching-Adjusted Indirect Comparison (MAIC) method. The treatment efficacy was assessed based on whether patients achieved a 75% reduction on the Eczema Area and Severity Index (EASI 75) after drug administration.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atients achieving EASI 75 between tralokinumab and dupilumab was 4.7% (95% CI: -7.9 to 17.3). Considering the non-inferiority margin for the EASI 75 achievement rate is -10%, tralokinumab is deemed non-inferior to dupilumab as the lower bound of the CI for the difference in the EASI 75 achievement rate between tralokinumab and dupilumab was within -10%. Conclusion: We conducted a MAIC analysis comparing tralokinumab and dupilumab based on EASI 75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ralokinumab is non-inferior to dupilumab and can be implemented in Korean clinical settings with a therapeutic position comparable to dupilumab.

모바일 관광정보 연구논문에 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on the Mobile Based Tourism Information)

  • 고영관;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203-214
    • /
    • 2012
  •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과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를 통한 관광정보서비스 이용을 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자체 단체 등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관광정보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관광정보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요구사항이 많아지면서 모바일 관광정보 유형 및 선호도, 서비스품질 측정, 사용자의 만족 및 재사용의도 등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동안 연구된 논문들의 연구주제, 연구방법론 등의 다양한 평가척도를 수량적으로 분류, 고찰하는 내용분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모바일 관광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필요성 차원에서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되어 관리되고 있는 학술지에 게재된 모바일 관광정보 관련 논문에 대한 연도별 연구추이, 연구주제, 통계분석기법, 조사방법, 연구모델 및 이론 등의 연구 성향을 연도별로 파악하여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Ki-67/MIB-1 as a Prognostic Marker in Cervical Cancer -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 Piri, Reza;Ghaffari, Alireza;Gholami, Nasrin;Azami-Aghdash, Saber;PourAli-Akbar, Yasmin;Saleh, Parviz;Naghavi-Behzad, Mohamm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6997-7002
    • /
    • 2015
  • Background: In cervical cancer patient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in a significant Ki-67/MIB-1 expression is correlated with survival in cervical cancer patients. However, the prognostic value is still not well understood.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present meta-analysis the prognostic value of Ki-67/MIB-1 with regard to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in cervical cancer was investigated. The databases of PubMed, ISI Web of Scienc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EMBASE, Science Direct and Wiley Online Library were used to identify appropriate literature. Results: In order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67/MIB-1 and cervical cancer, we have included 13 studies covering 894 patients in the current meta-analysis. The effect of Ki-67/MIB-1 on OS for pooled random effects HR estimate was 1.63 (95%confidence interval (CI) 1.09-2.45; P<0.05). The pooled HR for DFS was 1.26 (95%CI 0.58-2.73; P>0.05) and the subgroup analysis indicated Ki-67/MIB1 was associated with DFS (HR=3.67, 95%CI 2.65-5.09) in Asians.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meta-analysis, Ki-67/MIB-1 has prognostic value for OS in patients suffering from cervical cancer. For better evaluation of the prognostic role of Ki-67/MIB-1 on DFS, studies with larger numbers of patients are needed to validate present findings in the future.

Systematic Review on Epstein-Barr Virus (EBV) DNA in Diagnosis of Nasopharyngeal Carcinoma in Asian Populations

  • Han, Bao-Lin;Xu, Xiang-Ying;Zhang, Chun-Zhi;Wu, Jian-Juan;Han, Chun-Feng;Wang, Hui;Wang, Xuan;Wang, Guang-Shun;Yang, Shu-Juan;Xie, Y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6호
    • /
    • pp.2577-2581
    • /
    • 2012
  • Objective: To conduct a meta-analysi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EBV DNA in diagnosis of nasopharyngeal cancer (NPC) in Asian populations, and provide important evidence for screening. Methods: Prospective or respective case-control or cohort studies regarding the detection role of EBV DNA for NPC were included in our study.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in PubMed, EMBASE, and the Chinese Biomedical Database (CBM database between January 1980 and March 2012. Results: A total of 18 studies with 1492 NPC cases and 2641 health controls were included. Almost of the included studies were conducted in China, and only one other conducted in Thailand. The overall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ooled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likelihood (+LR) and negative likelihood (-LR) were 0.73 (0.71-0.75), 0.89 (0.88-0.90), 8.84 (5.65-13.84) and 0.19(0.11-0.32), respectively. The overall EBV DNA detection showed the largest area of 0.932 under the summary receiver operator curve (SROC). The accuracy of detection by plasma for NPC (0.86) was higher than in serum (0.81), with largest areas under the SROC of 0.97 and 0.91, respectively.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e EBV DNA detection in plasma or serum has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diagnosis of NPC, especially in Chinese populations with a high risk of cancer.

예비치매 부양자의 재가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치매특별등급(5등급)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Community Care Service by Pre-Caregivers Based on Dementia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Aged -Special dementia rating (5 rates) in the focus)

  • 손이숙;이경수;정재욱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03-61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regarding the intention to use community care service based on special grading for dementia in the South Korean Societ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adapt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regarding the first to fourth grade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aged from May 1 to 30, 2015 and a total of 272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1.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non-parametric type of test, ${\chi}^2$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testing. Result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aregivers had greater intention to ask recipients to use daytime and nighttime care servic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givers' education, occupation, monthly average income, co-residence status, intimacy, and care-giving burden (emotional, financial, and social) and recip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ntal health status, dementia status, and intention to use community care service based on special grading for dementia. Conclusions. There are very few statistical data and academic materials regarding special grading for dementia, which has recently been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refore expected to help make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intention to use community care service by caregivers based on special grading for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