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Search Result 79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구취농도와 흡연 및 음주,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of Oral Malodor and Smoking, Drinking, Oral Health Behavior)

  • 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3-220
    • /
    • 2011
  • 구취발생과 흡연 및 음주,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 10월 1일에서 2007년 3월 30일까지 만 30세 이상부터 59세까지의 성인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함께 Oral $Chroma^{(R)}$(CHM-1, ABILIT Corp., Japan)를 이용한 구취농도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ydrogen sulfide($H_2S$)는 치면세마를 규칙적으로 시행하는 군이 가끔 하는 군보다 매우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p<0.01). hydrogen sulfide($H_2S$) 농도와 관련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치과 방문목적, 음주량, 음주 중 흡연량, 흡연기간, 현재 흡연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Methyl mercaptan($CH_3SH$)은 과거흡연군이 비흡연군과 흡연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p<0.05), 20년이상 흡연한 군이 20년 미만 군보다 높았으며(p<0.05), 음주 중 10개비 이상 흡연 군이 10개비 미만 흡연 군 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5). 음주 특성에서는 주 5회 이상 음주 군이 주 1-2회 이하 음주 군들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p<0.01), 잠자기 전 잇솔질을 하지 않는 군이 잇솔질을 하는 군보다 농도가 높았으며(p<0.05), 가끔 스켈링을 하는 군이 규칙적으로 스켈링을 하는 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5). methyl mercaptan($CH_3SH$) 농도와 관련도가 높은 요인으로는 치면세마 경험과 음주 중 흡연량으로 나타났다. 3. Dimethyl sulfide($(CH_3)_2S$)는 소주 2병 이상 군이 소주 1/2병 이하 군과 소주 1병 정도 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1). 이 결과 구취감소를 위한 교육에 있어서 잠자기 전 잇솔질 실천과 규칙적인 치면세마의 필요성은 강조되어야하며, 금연 및 절주에 대한 지도를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형행동양상과 부모의 사회적인 통제 (Type A behavior pattern and social control of parents)

  • 이충원;윤능기;서석권;신동훈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3권1호
    • /
    • pp.22-32
    • /
    • 1990
  • 부모의 사회적인 통제와 A형행동양상과의 관계를 조사해 보기 위해서 대구시에 소재하는 3개의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1988년 10월과 11월 초순에 걸쳐서 설문지조사를 실시했는데 분석에 이용된 인원은 803명이었다. A형 행동양상은 Student Jenkins Activity Survey(SJAS, 축약형)로 측정을 했으며, 부모의 사회적 인 통제는 Bernstein 과 Brandis의 Index of control and communication을 이용했는데 중앙값으로 이분화되었다. 대상인원의 평균 연령은 20.7세(표준편차 2.2)였고, SJAS의 총점은 평균 5.6, 표준편차 2.7의 분포를 보였으며 중앙값은 5였다. 출신지, 성별, 사회경제적인 지위를 기반으로 시행한 층화분석에서, TABP와 사회적인 통제와의 연관을 보면 남자 농촌 출신자에서 부모의 사회적인 지위가 낮은 군에서 비차비가 2.49, 사회경제적인 지위가 높은 군에서는 0.40의 비차비를 보였다. 여자 농촌 출신자에서는 사회경제적인 지위가 낮은 군에서 1.02, 높은 군이 0.35의 비차비를 나타내었다. 남자 도시 출신자에서 낮은 사회경제적인 군에서 1.27, 높은 군에서 1.29의 비차비를 나타내었고, 여자에서는 높은 지위군이 0.85, 낮은 지위 군이 0.67였다. 층화분석시에 95% 신뢰구간에 1을 포함하지 않아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던 비차비는 없었다. 출신지별로 본 다중지수형회귀분석에서 농촌 출신자에서는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와 사회적인 통제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3.99의 비차비(95% CI, $1.03{\sim}15.46$)를 보였을 뿐이며, 도시 출신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서의 사회적인 불이익집단인 농촌 출신자들의 교육에 의한 사회적인 상류층으로의 이동과 전통적인 유교 사회에서의 학업의 성취가 유교적인 선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음을 반영해 주는 것으로 한국에서의 A형행동양상은 서구와는 다른 사회문화적인 구조에서 유래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ative efficacy of three topical anesthetics on 7-11-year-old children: a randomized clinical study

  • Dasarraju, Rupak Kumar;SVSG, Nirmala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0권1호
    • /
    • pp.29-37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three intraoral topical anesthetics in reducing the injection needle prick pain from local anesthetic among children aged 7-11 years old. Methods: It is a prospective, Interventional, parallel design, sing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in which subjects (n=90) aged 7-11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based on an inclusion criteria.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computer-generated randomization with an allocation ratio of 1:1:1. Groups A, B, and C received benzocaine 20% jelly (Mucopain gel, ICPA health products Ltd, Ankleshwar, India), cetacaine anesthetic liquid (Cetylite Industries, Inc, Pennsauken, NJ), and EMLA cream (2% AstraZeneca UK Ltd, Luton, UK), respectively,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s, for 1 minute prior to local anesthetic injection. After application of topical anesthetic agent, for all the groups, baseline pre-operative (prior to topical anesthetic administration) and post-operative scores (after local anesthetic administration) of pulse rate was recorded using Pulse oximeter (Gibson, Fingertip Pulse Oximeter, MD300C29, Beijing Choice Electronic). Peri-operative (i.e.,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local anesthesia) scores were recorded using Face, Legs, Activity, Cry, Consolability (FLACC) Scale, Modified Children hospital of Eastern Ontario Pain Scale (CPS) behavior rating scale, and Faces Pain Scale (FPS-R) - Revised (For self-reported pain). Direct self-reported and physiological measures were ascertained using FPS-R - Revised and Pulse oximeter, respectively, whereas CPS and FLACC scales assessed behavioral measures. To test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a one way ANOVA with post hoc tests was us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 two-tailed probability value of P < 0.05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Results: The Cetacaine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pain scores for self-report (P < 0.001),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measures (P < 0.001) than the other two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enzocaine group and EMLA group during palatal injection prick. Conclusion: Cetacaine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topical anesthetic agent compared to benzocaine 20% jelly (Mucopain gel) and EMLA cream.

농촌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 (Health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 of the Rural Young-Old and the Rural Old-Old in an Agricultural District)

  • 황성호;이명숙;이성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4호
    • /
    • pp.207-217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이 하나의 동일한 성격을 가진 집단이 아니라 연령에 따라 다양한 경험과 세대 차이가 있는 하위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65~75세 미만의 전기노인과 75세 이상의 후기 노인들의 특성과 개인별 건강행태 특성, 그리고 현재의 건강상태 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주시 관내 24개 읍 면 동 지역의 경로당 이용자 617명(전기노인 287명, 후기 노인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실태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결과는 남 여 모두 학력과 직업, 결혼상태, 동거가족에서 전 후기노인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 3회 이상 10분 이상 걷기 횟수는 남자 후기 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고 수면 시간은 남자와 여자노인 모두 전기노인의 수면시간이 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았다. 질병 이환율은 여자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고 제시한 16가지 계통의 질병중에서 남자 노인은 신경통 관절염이, 여자노인은 고혈압이 전기노인에 비해 후기노인의 이환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생활수행능력은 경로당을 이용하는 건강한 노인이라는 특성이 반영되어 ADL(일상생활수행능력) 6개 항목을 모두 스스로 실천하는 응답자는 96.4%, IADL(수단적 일상생활능력) 6개 항목을 모두 실천하는 응답자는 90.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건강상태에서 여자는 스트레스와 자살을 생각해본 경험이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고, 구강건강 상태와 청력, 시력은 남자와 여자 모두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후기 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에 대한 비교에서 남자는 주 3회 이상 10분 이상 걷기, 수면시간, 구강건강, 청력이, 여자는 수면시간, 스트레스, 청력, IADL이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후기 노인은 전기 노인에 비해서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서 취약하며 이환된 질환의 수는 많았으나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노인은 적었다. 또한 신체활동능력과 정신건강 그리고 구강건강, 청력, 시력이 전기 노인에 비해서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기노인에게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취약성을 노화과정의 하나로만 볼 것이 아니라 연령층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중의 하나라고 받아들이고 전 후기 노인들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의 특성에 맞춘 다양한 질병예방, 건강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관리와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인의 비누로 손씻기 실천율 및 융복합적 관련요인; 2013년 국민 손씻기 관찰조사 (The Status of Handwashing with Soap and its Convergent related Factors in Korean People ; based on Korea National Handwashing Observation Survey, 2013)

  • 황혜정;이무식;양남영;홍수진;김영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17-224
    • /
    • 2015
  • OBJECTIVES 우리나라 국민들의 손씻기 실천률은 선진국에 비해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 연구는 비누로 손씻기와 관련한 공중 화장실 이용시 행동 실태 및 관련요인을 분석고자 하였다. METHODS 2013년 9월 10일부터 9월 12일까지 우리나라 특 광역시 지하철역 및 기차역의 화장실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3년도 국민 손씻기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RESULTS 비누로 손씻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행정구역(OR 0.490-2.255), 용무유형(소변 1.000, 대변 2.505), 물기제거방법(OR 0.497-3.107) 등이 도출되었다. CONCLUSIONS 연구의 결과는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국가 손씻기 증진 활동 및 사업의 기본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일부 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효과 평가 (Evaluation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Effect from some Part of Community Child Center)

  • 신선정;류다영;배수명;최용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3-171
    • /
    • 2011
  •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아동에게 일상적 구강보건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목적으로 일부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전문가와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협력하여 운영한 4주간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 후의 구강보건지식을 평가한 결과 교육 전 3.43점에서 교육 후 4.40점으로 상승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구강보건인식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는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에 16.3점에서 운영 후 18.7점으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구강보건인식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5). 3.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전후 구강건강행동의 변화에서 간식자체를 먹지 않거나 2~3일에 1회 섭취한다는 빈도와 어제 칫솔질 여부는 소폭 증가하였다. 4. 반복적인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아동들의 구강 내 치면세균막관리 점수는 개선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들의 지속적인 감독과 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강건강 프로그램의 내용 개발과 프로그램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근로자의 상실치아 실태와 관련요인 (Affecting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Conditions of Workers)

  • 엄숙;이경수;김경원;이희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9-334
    • /
    • 2012
  • 이 연구는 경상북도 지역의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상실치아실태와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실치아 개수와의 관련성 분석에서는 연령, 교육수준, 월평균소득, 근무분야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2. 구강건강상태와 상실치아 개수와의 관련성 분석에서는 점심식사 후 잇솔질 여부(p<.05), 구강검진경험(p<.01)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3. 상실치아개수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연령, 교육수준, 결혼여부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유의한 변수였다(p<.01). 이 결과로 볼 때, 나이가 많고 교육수준이 낮은 생산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잇솔질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정기적인 스케일링을 권장하며, 구강검진과 스케일링을 할 수 있는 여건조성을 위한 정책을 만들어 구강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보건소 직원의 업무에 대한 인지도 조사 (A Study on Duty Awareness of Public Health-Center Workers)

  • 심문숙;이무식;오나래;강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83-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 근무자들의 보건소에 관한 인식도, 보건소 조직에 관한 인식도, 업무환경에 관한 인식도, 보건사업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 보건소의 기능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조사결과 직원들의 보건소에 대한 인식 설문 문항 중 '보건소 조직의 성공을 위하여 노력할 용의가 있다'가 $4.07{\pm}0.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건소 조직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한 인식도는 7점 만점 중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대상자가 속한 조직의 임무와 업무에 충실하고 있으며,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도는 자신이 일하는 곳이 편안한 장소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보건사업 중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업무는 건강행태개선사업, 방역사업,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모자보건, 가족보건, 전염병관리사업 등으로 나타났으며, 보건사업 중 불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업무는 일반진료기능 업무, 증명서 발급 등 행정업무, 각종 민원업무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보강되거나 꼭 실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노인보건사업, 고혈압, 당뇨 등 환자등록 관리사업, 건강증진사업 순으로 나타났다.

기악과 학생들의 근육과 건 증상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f Musculotendinous Problems of Students Majoring in Musical Instruments in Korea)

  • 이은남;이은옥;이인숙;박인혜;박정숙;배상철;소희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8-60
    • /
    • 1997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musculotendinous problems and contributing factors to those problems In students majoring in musical instrument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 1996 to March 31, 1996 from 261 music students in various geographical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using SPSS $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a questionnaire survey of 261 music students, one hundred twenty five(47.9%) reported having had various musculotendinous symptoms. Twenty seven students among the those who had previous symptoms(21.9%) reported the present symptoms. 2. The experience rates of musculotendinous problems in keyboard players, string players and woodwind players were 50.3%, 48.2%, 33.3% respectively. 3. Most of the students practiced most intensively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and the musculotendinous symptoms began at the same period. 4. Pain, tenderness and stiffness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while paresthesia and motor dysfunction were rare. This indicates that most players had muscle tendinous overuse, while small number had nerve entrapment and motor dysfunction. 5. In past and present symptoms, string players experienced musculotendinous symptoms mainly in both sides of shoulders, lumbar area, left finger, and left wrist, while keyboard players experienced more symptoms in the right wrist, shoulder, fingers than left side. 6. The major contributing factors to the symptoms were weight of instrument, types of instruments, types of daily activities, duration of practice, and playing technique. 7 The most frequent treatment modalities for the symptoms were acupuncture or moxibustion, other alternative therapy such as heat compress and massag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usculotendinous problems might be increased along with their career,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preventive measures and patterns of health behavior seeking alternative modalities rather than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refore, preventive measures that focus on playing habits such as duration of practice, frequency of rest and position while playing should be developed and taught to the students, their parents, and music educators. Doctors who are interested in this area should attempt to correct the position and posture while playing of the posture. And measures for reduction of loading of instrument weight should also be developed.

  • PDF

직장인들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health belief and oral-health care of company employees)

  • 임미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5-21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an oral-health promotion program geared toward office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0 employees at the headquarters of S construction company.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2008, the answer sheets from 208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191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17 unanalyzabl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regard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largest number of the participants that accounted for 37.2% found their mouth to be neither healthy nor unhealthy. The greatest number of them that represented 58.1% had never visited a dentist's office to receive preventive treatment. 2.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toothbrushing education experience and toothbrushing frequency, the most common toothbrushing frequency was three times a day( 46.5%) among the company employees who had ever received that education. In the event of the office workers without that experience, the most prevalent frequency was three times(63.6%). The toothbrushing frequ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oothbrushing education experience(p<0.05). As to the relationship of toothbrushing education experience to tooth- brushing method, the largest number(48.2%) of those who had ever received that education brushed their upper and lower teeth along with the gums by rotating the toothbrush downward from the top and upward from the bottom respectively. In the event of the office workers without that experience, 49.4 percent brushed their teeth and gums by rotating the toothbrush up and down. Thus, whether they had ever received education about toothbrushing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toothbrushing method(p<0.05). 3.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ir oral health belief by utilizing a five-point scale, they got a mean of 2.95. In each area of oral health belief, they got the best marks in benefit(3.66), salience(3.42), barrier(2.84), susceptility(2.58) and seriousness(2.23). Given the above-mentioned finding of the study, two sorts of oral health beliefs, which are benefit and salience, should be stressed i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ter to company employees. And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actual oral health ca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