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Predation rate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9초

진딧물류를 포식하는 혹파리, Aphidoletes aphidimyza(Roundani)(Diptera: Cecidomyiidae)의 복숭아혹진딧물 포식과 발육 (Development and Predation of a Aphidophagous Gall Midge, Aphidoletes aphidimyza (Roundani) (Diptera: Cecidomyiidae) on Myzus persicae Sulzer)

  • 최만영;이건휘;백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5-45
    • /
    • 2001
  • 진딧물류 천적 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Rondani))의 온도별 발육 및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포식특성을 실험실 및 온실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온도와 유충의 발육속도와의 상관 을 구하였으며 ((regression; development rate (y) : 0.013348x (temperature)-0.173022, F = 41.14, p<0.01)), 발육영점온도는 $13^{\circ}C$이었다. $\25pm$2$^{\circ}C$ 에서 유충 발육기간은 5.3일 이었고, 1세대기간은 29 일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 밀도에 따른 혹파리의 포식량은 arena(직경 9cm)당 복숭아혹진딧물 10마리일 때 4마리를 포식하여 포화상태를 나타냈다. 온실조건에서 진디혹파리의 진딧물 포식은 지체적밀도의존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 Hydrophilidae, Coleoptera) 유충의 모기 2종(Culex pipiens molestus 및 Ochlerotatus togoi)에 대한 실내조건에서의 섭식효율 및 선호도 (Predation Efficiency and Preference of the Hydrophilid Water Beetle Hydrochara affinis (Coleoptera: Hydrophilidae) Larvae on Two Mosquitos Culex pipiens molestus and Ochlerotatus togoi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백학명;김동건;백민정;이차영;강효정;김명철;유재승;배연재
    • 환경생물
    • /
    • 제32권2호
    • /
    • pp.112-117
    • /
    • 2014
  •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 유충의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와 토고숲모기 (Ochlerotatus togoi)에 대한 포식효율과 먹이선호도를 실험하였다. 포식실험에는 투명한 원통형 용기(지름 100 mm, 높이 40 mm, 수심 15 mm)가 사용되었으며, $25^{\circ}C$에서 24시간 (16L : 8D)동안 진행되었다. 잔물땡땡이 개체당 모기 섭식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각 잔물땡땡이 유충에 대해 서로 다른 먹이조건(1, 2, 4, 8, 16, 32, 64 및 128개체)을 주었고, 각 조건별로 5회씩 반복실험 하였다. 모기유충 2종에 대한 먹이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잔물땡땡이 1령 유충에 지하집모기와 토고숲모기 유충 32개체씩을 동시에 투여하여 5회 반복실험 하였다. 실험의 결과 모기유충 2종에 대한 잔물땡땡이 유충의 포식곡선은 로그함수의 곡선으로 나타났으며, 잔물땡땡이 유충의 영기가 증가함에 따라 포식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식곡선으로부터 잔물땡땡이 3령 유충의 1일 최대 포식수를 산출한 결과, 지하집모기는 926개체를, 토고숲모기는 304개체를 포식 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Holling's disk equation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잔물땡땡이 유충의 영간, 그리고 모기유충의 종간에 모기유충 포식수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Attack rate보다는 Handling time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Handling time은 잔물땡땡이 유충이 성장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토고숲모기가 지하집모기에 비해 2배가량 길게 나타났다.

Effects of the Loess Coating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s of the Eelgrass, Zostera marina

  • Park, Jung-Im;Lee, Kun-Seop
    • ALGAE
    • /
    • 제22권2호
    • /
    • pp.141-146
    • /
    • 2007
  • Seagrass bed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providing food and habitats to a wide variety of marine organisms. Recently, seagrass coverage has declined significantly due to anthropogenic impacts such as cultural eutrophication and reclamation, and thus efforts are under way to prevent further losses and restore disturbed seagrass habitats worldwide. Seagrass transplantation techniques for habitat restoration include vegetative and seed-based methods. Seagrass seeds can be collected easily, and sowing seeds is an economically effective method for large-scale restoration. However, large numbers of seed can be lost by seed predation and physical disturbance in the planting areas. In the present study, Zostera marina seeds were coated with loess to reduce seed loss by predation and sweeping away by the water currents, and germination rates of coated seeds and seedling growth were examin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seed-coating method for large-scale restoration. Germination rate of the coated seeds with lo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ncoated seeds. Additionally, seedling growth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ated and the uncoated see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ating of eelgrass seeds with loess enhances success of seed germintion with no harmful effects on seedling growth. Therefore, the seed coating method using loess may be an effective and applicable seedbased transplanting technique for large-scale restoration.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A. Agassiz)의 실내 표지방류 실험 (Laboratory Tagging Experiment of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

  • 허성범;유성규;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3-368
    • /
    • 1985
  • 비닐테이프와 trapall지를 사용하여 90미의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에 표지를 부착시켰다. 대조군으로 표지를 부착시키지 않은 말똥성게 45미와 해적으로서 별불가사리 5미를 동시에 수용하여 1984년 6월 28일부터 9월 19일까지 84일간 실험실에서 사육시켰다. 표지부착에 따른 자연사망, 별불가사리에 의한 포식율, 표지탈락율등을 표지군별로 조사하여 대조군과 비교 분석했다. $x^2-test$의 결과 표지군과 대조군의 자연사망율은 높은 유의성이 보이나 두 표지군 사이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표지부착여부는 해적의 포식율에 영향을 주는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표지 탈락율에 대한 두 표지군 사이의 $x^2-test$ 역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지부착 직후에 일어나는 사망률(type A)은 표지 부착시 성게의 건조를 조심하면 무시될 수 있는것으로 판단된다. 표지부착상태에 따른 모든 사망율 (type B)은 비닐테이프의 경우 $47.4\%$, trapall 지의 경우 $52.6\%$였다. trapall 지는 표지가 가벼운 이점은 있으나 표지 자체가 성게에 의해 섭취될수 있고 표지의 일련번호가 쉽게 소멸될수 있는 점으로 보아 성게류의 표지방류에는 비닐테이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꽃노랑총채벌레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에 대한 애꽃노린재(Orius sauteri)의 포식반응 (Predatory Response of the Pirate Bug, Orius sauteri Poppius(Heteroptera: Anthocoridae) on Frankliniella occidentalis, Aphid gossypii and Tetranychus urticae)

  • 백채훈;이건휘;황창연;김시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01-407
    • /
    • 2010
  • 애꽃노린재의 먹이로 꽃노랑총채벌레를 주었을 경우, 애꽃노린재 암 수 약충의 온도별 일일포식량은 17, 22, 27, $32^{\circ}C$에서 전체 약충기간(암/수) 동안 각각 4.2/3.9, 11.4/9.5, 14.3/10.8, 14.7/12.5 마리였고 $27^{\circ}C$에서 먹이종류별 일일포식량은 먹이로 꽃노랑총채벌레, 목화진딧물 및 점박이응애를 공급하였을 경우 전체 약충기간(암/수) 동안 각각 14.3/10.8, 7.5/7.2, 45.9/38.8마리를 포식하였다. 애꽃노린재 암컷 성충은 $27^{\circ}C$에서 산란전기간에 42.8마리, 산란기간에 63.2마리를 포식하였다. 애꽃노린재는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 증가에 띠라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차차 감소하는 Holling의 기능반응곡선 제II형(포화형)과 유사한 포식반응을 나타냈고 애꽃노린재 암컷 성충의 탐색율이 5령 약충에 비해 높고 탐색시간도 짧았다. 애꽃노린재의 5령 약충과 암컷 성충은 꽃노랑총채벌레 2령 유충을 가장 선호하였다.

Feeding by common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and a ciliate on the red-tide ciliate Mesodinium rubrum

  • Lee, Kyung Ha;Jeong, Hae Jin;Yoon, Eun Young;Jang, Se Hyeon;Kim, Hyung Seop;Yih, Wonho
    • ALGAE
    • /
    • 제29권2호
    • /
    • pp.153-163
    • /
    • 2014
  • Mesodinium rubrum is a cosmopolitan ciliate that often causes red tides. Predation by heterotrophic protists is a critical factor that affects the population dynamics of red tide specie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protistan predators feeding on M. rubrum. To investigate heterotrophic protists grazing on M. rubrum, we tested whether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Gyrodiniellum shiwhaense, Gyrodinium dominans, Gyrodinium spirale, Luciella masanensis, Oblea rotunda, Oxyrrhis marina, Pfiesteria piscicida, Polykrikos kofoidii, Protoperidinium bipes, and Stoeckeria algicida, and the ciliate Strombidium sp. preyed on M. rubrum. G. dominans, L. masanensis, O. rotunda, P. kofoidii, and Strombidium sp. preyed on M. rubrum. However, only G. dominans had a positive growth feeding on M. rubrum. The growth and ingestion rates of G. dominans on M. rubrum increased rapidly with increasing mean prey concentration < $321ngCmL^{-1}$, but became saturated or slowly at higher concentrations. The maximum growth rate of G. dominans on M. rubrum was $0.48d^{-1}$, while the maximum ingestion rate was 0.55 ng C $predator^{-1}d^{-1}$. The grazing coefficients by G. dominans on populations of M. rubrum were up to $0.236h^{-1}$. Thus, G. dominans may sometimes have a considerable grazing impact on populations of M. rubrum.

전 생활사 단계의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에 대한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의 포식과 먹이 선호도 실험 (Predation, Feeding Preference of Threadsail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on Different Life Stages of Moon Jellyfish Aurelia aurita s.l. in the Laboratory)

  • 이혜은;한창훈;이혜현;윤원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0권1호
    • /
    • pp.36-42
    • /
    • 2015
  • 해파리에 대한 쥐치의 포식률을 파악하기 위하여 메두사, 에피라, 폴립 단계의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를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에게 공급하고 포식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크기의 쥐치는 메두사를 적극적으로 포식하였으며, 포식률은 쥐치의 체중과 비례하였다. 평균 습중량 0.5, 1, 2.2 g의 쥐치 치어는 평균 $0.77{\pm}0.51g\;fish^{-1}h^{-1}$을 포식하였으며, 평균 습중량 150, 344 g의 쥐치 성어는 각각 $9.26{\pm}1.61$, $15.89{\pm}3.67g\;fish^{-1}h^{-1}$을 포식하였다. 유생에 있어서도 평균 습중량 3.7 g의 쥐치가 10분 이내에 100개체의 에피라를 포식하였고, 평균 습중량 2.2 g의 쥐치는 단위체중당 $5.73{\pm}0.59$ polyps $g^{-1}$ of fish $h^{-1}$의 폴립을 포식하였다. 반면에 쥐치 성어는 폴립을 포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쥐치의 해파리 포식이 현장에서도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먹이 선호도 실험에서, 쥐치 성어는 다른 먹이인 굴(약 60%)과 갯지렁이(약 80%)를 주로 포식하였고 메두사 포식은 약 2%에 불과했다. 하지만 쥐치 치어는 다른 먹이인 곤쟁이류와 함께 에피라, 폴립도 포식하였으며, 폴립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포식활동을 보였다. 그리고 쥐치 치어는 주변에 다른 먹이가 있어도 보름달물해파리 유생에 대한 포식이 활발했지만, $11^{\circ}C$ 이하에서는 섭식활동을 중지한 실험결과로부터 $11^{\circ}C$ 보다 수온이 낮은 3-4월경에 발생하는 에피라 유생에 대한 현장에서의 포식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폴립의 경우 수온에 관계없이 연중 서식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쥐치 치어의 폴립 포식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쥐치를 이용하여 보름달물해파리 구제작업을 시행할 경우, 폴립을 대상으로 하여 쥐치 치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인천 연안에서 요각류 Acartia hongi 춘계 개체군 형성의 영향 요인 (The Factors Controlling the Formation of Spring Population of Acartia hongi (Copepoda: Calanoida) in Incheon Coastal Water, Korea)

  • 유정규;윤석현;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3호
    • /
    • pp.108-116
    • /
    • 2006
  • 본 연구에서 Acartia hongi 춘계 개체군 형성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알 생산, 알 부화시간, 알 포식에 관한 조사가 수행되었다. 알 생산은 동계부터 춘계 사이에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알 생산은 수온이 $7^{\circ}C$ 이하일 때 수온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수온 $7\sim21^{\circ}C$ 사이에서는 클로로필 a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알부화 시간$(D_e,\;day)$은 수온$(T,\;^{\circ}C)$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회귀식이 얻어졌다. $D_e=18.9(T-0.4)^{-1.0}$ 알 부화 시간은 수온 $5^{\circ}C$ 이하에서 급격히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간차에 따른 A. hongi의 성장 단계별 현존량 변화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교차상관분석(CCA)을 수행하였다. 개체군 알 생산율에 부화시간을 고려한 알 생산은 개체군 알 생산을 보다 노플리우스 현존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부화 시간도 개체군 형성에 영향 요인이 됨을 의미하며, 특히 동계에 높은 일간 알 생산율과 저수온에 대한 부화 지연으로 야기된 높은 알 현존량은 춘계 초기 노플리우스 개체군의 기원이 될 것으로 본다. 춘계 개체군 형성의 부정적인 요인으로 Noctiluca scintillans의 알 포식이 관찰되었다 N. scintillans전체 개체수의 $2.9\sim21.1%$에서 A. hongi 알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A. hongi 개체군 알 생산율의 $1.2\sim49.5%$에 해당한다. 결론적으로 A. hongi춘계 개체군 형성에 영향 요인으로 동계 세대에 의한 지속적으로 높은 알 생산, 저수온에 따른 부화 지연 그리고 N. scintillans의 알 포식 등이 고려된다.

패류양식장과 실내 사육수조에서 큰구슬우렁이 Glossaulax didyma didyma (Gastropoda: Naticidae)에 의한 말백합 종패와 성패의 패각 위 천공특징 및 폐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oring Characteristics and Mortality on the Valves of the Seed and Adult Meretrix petechialis by Glossaulax didyma didyma (Gastropoda: Naticidae) in the Shellfish Aquafarm and the Indoor Aquarium)

  • 박영제;김성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1-141
    • /
    • 2011
  • 패류양식장과 실내 사육수조에서 큰구슬우렁이(Glossaulax didyma didyma) 에 의해 말백합 종패와 성패를 대상으로 패각에 형성된 천공들의 형태적 특징, 천공율 및 포식률 등 여러 가지 형태수치 조사 결과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천공 조사는 2007년 6월부터 9월까지 패류양식장과 실내 사육수조에서 수행하였다. 패류양식장에서 조사된 말백합 종패와 성패의 패각에 형성된 천공형태는 분화구형으로, 자연생태 집단을 대상으로 이미 조사된 바지락 치패와 백합 치패에서 흔히 나타나는 분화구형들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패류양식장 조사와 실내 사육수조 조사에서, 말백합 성패와 종패의 패각 위에 나타나는 천공들의 크기를 보면, 천공 외부의 외경들의 크기가 내부의 내경들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말백합 종패의 패각 위에 출현하는 천공들의 외경과 내경의 크기는 성패 패각 위에 출현하는 천공들의 크기보다 좀 더 작았다. 말백합 종패 패각 위의 천공들의 위치는 말백합 각장의 크기에 따라 넓게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패류양식장과 실내 사육수조 조사에서, 말백합 성패 패각 위에 출현하는 대부분 천공들의 위치 분포상은 말백합 패각의 각정 부위 가까이에 위치하였다. 전반적으로 볼 때, 패류양식장과 실내 사육수조 조사에서 천공의 외경과 내경은 말백합의 각장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내 사육수조에서 15일간 3회에 걸쳐 천공폐사 실험을 하는 동안 저자들은 큰구슬우렁이가 말백합 종패와 성패에 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패각 위에 출현하는 천공형태도 역시 분화구형을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총 개체들 중 폐사된 총 개체들의 비율은 평균 41.5%이었고, 시료 총 폐사개체들 중 총 천공폐사된 개체들의 비율은 평균 47.1%이었으며, 총 개체들 중 천공되어 폐사한 개체들의 천공폐사율 (천공률) 은 평균 19.3%를 나타내었다. 큰구슬우렁이의 포식율을 조사한 결과, 포식 행동은 주간보다 야간에 좀 더 활발하게 나타났다. 특히, 말백합 종패와 성패의 경우, 큰구슬우렁이 한 개체가 말백합을 천공하여 포식하는 일간 평균 포식량을 실험결과를 토대로 산출한 결과 평균 0.5 개체로 밝혀졌다. 전반적으로 포식은 말백합의 각장과 천공복족류 (큰구슬우렁이) 의 각폭 (shell width)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DYNAMIC BEHAVIOR OF A PREDATOR-PREY MODEL WITH STAGE STRUCTURE AND DISTRIBUTED DELAY

  • Zhou, Xueyo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8권1_2호
    • /
    • pp.193-207
    • /
    • 2010
  • In this paper, a predator-prey model with stage structure and distributed delay is investigated. Mathematical analyses of the model equation with regard to boundedness of solutions, nature of equilibria, permanence, extinction and stability are performed. By the comparison theorem, a set of easily verifiable sufficient conditions are obtained for the global asymptotic stability of nonnegative equilibria of the model. Taking the product of the per-capita rate of predation and the rate of conversing prey into predator as the bifurcating parameter, we prove that there exists a threshold value beyond which the positive equilibrium bifurcates towards a periodic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