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gesic activity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3초

고양이에서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의 변동이 연수의 통각정보 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hanges in Arterial Carbon Dioxide Pressure on the Neuronal Activities of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 in the Cat)

  • 이영탁;김종환;김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477-486
    • /
    • 1996
  • 통각정보나 과탄산증이 내재진통계를 활성화 시켜서 진통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 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중추신경세포의-역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는 바, 16마리의 성숙한 고 양이를 u-chloralose로 마취한 후 연수 및 좌골신경을 노출시켜, 상부연수의 복외측부(rostral ventrolateral medulla, 이후 RVLM으로 칭함)세포활동이 탄산가스분압의 변동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 지를 관찰하였다. RVLM에서 세포의 기록법으로 그 변화를 관찰한 바, 총 53개의 세포에서 자발적 인 활동을 보였고, 이 중 28개는 심맥관계 세포, 16개는 호흡관련 세포, 2개는 심맥관계-호흡 동시 관련 세포이었으며, 7개는 자발적 활동은 보이나 심 장주기나 호흡주기와 무관 하였다. 28개의 심맥관계 세포중 11개에서는 동맥혈내 탄산가스분압이 상승하였을때 세포 활동이 증가하고, 13개 세포에서는 반대로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4개 에서는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16개의 호흡관련 세포중 9개에서는 동맥혈내 탄산가스분압이 상승하였을때 활동이 증가하고, 6개에 서는 감소하였으며 1개는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B개의 심맥관계-호흡관련 세포에서는 탄산\ulcorner스 분압의 상승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심 장 혹은 호흡주기와 무관하였던 7개의 세포중 4개는 동맥 혈 탄산가스 분압이 상승하였을때 세포 활 동이 감소하였고, 2개는 상승하였으며 1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말초신경 자극과 동시에 탄산가스분압을상승시켰을 때 심먹관계 세포의 A반응은큰 영향이 없었으 나 C반응은 상승하였다. 결론적으로 RVLM에는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이 상승하였을 때 활동이 증가하는 세포들이 존재하고, 이때 말초화학 감수기의 영 향보다는 탄산가스가 중추에 직접 작용할 가능성이 크며 과탄산증에 의한 내 재진통작용도 RVLM을 통하지는 않는다고 생각된다.

  • PDF

괴사성 뇌척수막염을 가진 진돗개에서 Tramadol에 의한 잠재적 경련발생 증례 (Potential Seizurogenic Effect of Tramadol in a Dog with Necrotizing Meningoencephalitis)

  • 김세훈;허수영;이기창;이해범;김남수;김민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3-327
    • /
    • 2011
  • 8개월령, 수컷 진도개가 오른쪽 후지 파행으로 의뢰되었다. 이 개는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오른쪽 대퇴골의 단순 골절로 진단되었다. 대퇴골절의 수술적 교정 이후, 술 후 진통제로 합성 아편계 유사 약물인 트라마돌이 정맥 내 주사로 투여되었다. 트라마돌의 투여 직후 발작이 시작되었다. 집중적인 환자 관리에도 불구하고 투여 약 17시간 후 이 개는 폐사하였다. 폐사를 하게 된 원인과 관련하여 트라마돌의 투여에 의한 발작이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부검을 실시한 결과 조직병리학적 분석에 따라 본 환자는 괴사성 수막뇌염(NME)으로 진단되었다. 괴사성 수막뇌염을 가진 개에서 트라마돌의 투여가 폐사를 일으킨 발작의 유발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증례를 통해 트라마돌이 통증 관리에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로 알려져 있으나 뇌염, 뇌수두증, 뇌병증 등의 신경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주의 깊게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nhanced Skin Permeation of a New Capsaicin Derivative (DA-5018) from a Binary Vehicle System Composed of Isopropyl-myristate and Ethoxydiglycol

  • Cha, Bong-Jin;Lee, Eung-Doo;Kim, Won-Bae;Chung, Suk-Jae;Lee, Min-Hwa;Shim, Chang-K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224-228
    • /
    • 2001
  • DA-5018, a recently synthesized capsaicin analog, appears to possess potent analgesic activity when administered topica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feasibility of the topical administration of this compound. Specifically, our goal was to identify vehicle system that permit a reasonable transdermal permeation of the compound in mice. Among the vehicles examined, isopropyl myristate (IPM) showed the largest in vitro permeability across the intact skin (83.6 ${\pm}$ 5.42${\mu}$l/$\textrm{cm}^2$/h ). However, due to the limited solubility of DA-5018 in IPM (0.53 mg/ml), the maximal flux from the IPM medium remained at only 44.3 ${\pm}2.87{\mu}$g/$\textrm{cm}^2$/hr. In order to increase the flux, addition of better solvents for DA-5018 was attemp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flux is the result of both solubility and permeability. Ethoxydiglycol (EG) and oleic acid (OA) were selected as examples of food solvents. The addition of IC or OA to IPM at a 1:1 volume ratio resulted in a comparable increase in the solubility of the compound (i.e., to 61.1 and 50.2 mg/ml for EG and OA, respectively). However, the addition of EG at a 1:1 volume ratio, for example, increased the flux 6.3 fold (i.e., $279{\mu}$g/$\textrm{cm}^2$/hr), while OA, at a 1:1 volume ratio, decreased the flux 5 fold (i.e., $9.26{\mu}$g/$\textrm{cm}^2$//hr). The mechanism of this discrepancy between EG and OA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permeabilty of DA-5018 across the stratum corneum-removed skin of the mouse,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viable skin layer may serve as a barrier for the permeation of lipophilic substances such as DA 5018. The permeability of DA-5018, from the medium of EG or OA, across the viable skin differed greatly for EG ($0.41{\mu}$l/$\textrm{cm}^2$/hr) and OA ($0.086{\mu}$l/$\textrm{cm}^2$/hr), suggesting that a higher permeability across the viable skin layer is needed for the second solvents. The maximum flux across the intact skin was achieved for DA-5018 when EG was added to IPM at a 1:1 volume ratio. Thus, the use of a binary system appears to be the best approach for realizing the transdermal delivery of DA-5018 at a reasonable rate.

  • PDF

애엽(艾葉) (Artemisia asiatica Nakai)의 혈압강하작용(血壓降下作用) (Depressor Responses to Intravenously Administered Artemisia asiatica Nakai Juice in Cats)

  • 김윤호;신홍기;김기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5권2호
    • /
    • pp.91-96
    • /
    • 1981
  • The wormwood is one of the plants which occur widely throughout the world. Though the precise data on the entire chemical composition of mugwort leaves are not available, the major principles which have been found so far include inulin, alkaloid, thujon, sesquiterpene and several vitamins. Santonin, a parasiticide, is one of the glucosides extracted from the limited species of wormwood. It has long been known in herb medicine that the plants of this family has not only strong hemostatic, analgesic and parasiticidal actions but also therapeutic effects for diarrhea, stomachache and asthma. In recent pharmaceutical botany the wormwood is introduced to have antipyretic and astringent actions also. The mugwort(Artemisia asiatica Nakai) is the most common species of wormwood that occurs in Korea. The usage of this edible leaves of mugwort is rather various. It is used not only for wormwood bath but also as forage, moxa and medicinal agents. Recently Kim et al reported from their study on the effect of mugwort on the motility of isolated intestine of rabbits that tonus and motility were markedly enhanced by mugwort but this effect of mugwort on intestinal motility was almost completely blocked by atropine suggesting that activity of mugwort was exerted through its cholinergic effect. It was the findings of Kim et al that prompted the authors to do the present experiment.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effects of mugwort(Artemisia asiatica Nakai) juice on the respiration and blood pressure in cats. And also studied was the mechanism of depressor action of Artemisia asiatica Nakai Juice (AAJ).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It was observed that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decreased markedly by AAJ. Following administration of 0.15 ml/kg and 0.3 ml/kg AAJ into cats the maximum depressor responses observed were $77.5{\pm}2.2\;mmHg$ and $94.0{\pm}3.7\;mmHg$ respectively. 2) Depressor responses to AAJ were blocked markedly by atropine whereas the responses were not affected by propranolol and dibenamine. Therefore it is strongly inferred that depressor action of AAJ results mainly from its cholinergic effect. This inference was further substantiated by the fact that heart rate change which invariably accompanies depressor responses to AAJ was almost completely abolished by atropinization. 3) After administration of AAJ into cats frequency of respiration was markedly increased while depth of respiration decreased during first 2-3 seconds.

  • PDF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유래 decursin, decursinol 그리고 decursinol angelate의 약리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 of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and Decursinol Derived from Angelica gigas Nakai)

  • 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28-1141
    • /
    • 2021
  • 당귀는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 지역에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한약재 중 하나인데 주로 조혈, 혈행 개선 기능을 바탕으로 한 여성 건강관리 외에도 진정, 진통 그리고 강장 효과를 목적으로 사용되어왔다. 특히, 다른 국가에서 재배 생산되는 당귀에서는 decursin, decursinol 그리고 decursinol angelate와 같은 피라노쿠마린 계열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적지만,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함유량이 많아 약효 등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지난 20여년간 decursin, decursinol 그리고 decursinol angelate의 약리학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항암제투여 부작용으로서의 호중구감소증 예방을 포함하는 항종양 효과를 비롯하여 고지질혈증, 당뇨, 생리 불순, 신장기능 장애 등에 대한 대사 순환계 개선, 천식 등에 대한 호흡기계 개선, 인지 개선, 항염증 작용, 항산화 작용, 적혈구 및 혈소판 등 혈구세포의 수준 증가, 임신율 개선 효과 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다양한 식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일정 수준 정제되지 않았거나 섭취 용량에 제한이 없는 식품류의 개발에 대해서는 이들 성분의 과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과 같은 안전성 프로파일에 대한 부분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참당귀에 함유된 피라노쿠마린계 물질의 약리학적 효과와 함께 잠재적인 독성 등과 같은 특성을 요약하여 앞으로의 천연물 기반 제품의 개발 방향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참당귀 등의 소재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식물성 신약 등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화피(樺皮) 에탄올 추출물의 Ultraviolet B로 자극한 피부 각질 세포 보호 작용 (Protective Effect of Betula Platyphylla on Ultraviolet B-irradiated HaCaT Keratinocytes)

  • 최학순;김현주;이학송;백승원;김지은;송용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9-131
    • /
    • 2023
  • Objectives: Betula Platyphylla(BP) has been used as a analgesic, anti-microbial, anti-oxidant drug in Eastern Asia. However, it is still unknown whether BP ethanol extract could exhibit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ultraviolet B(UVB)-induced skin injury o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activity of BP ethanol extract on UVB-irradiated skin injury in HaCaT cells. Methods: The skin injury model of HaCaT cells was established under UVB stimulation. HaCaT keratinocyte cells were pre-treated with BP ethanol extract for 1 h, and then stimulated with UVB. Then, the cells were harvested to measure the cell viability,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ROS),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IL) 1-bet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TNF)-𝛼, hyaluronidase, type 1 collagen, matrix metalloproteinase(MMP)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MAPKs) and inhibitory kappa B alpha(I𝜅;-B𝛼) as inhibitory mechanisms of BP ethanol extract. Results: The treatment of BP ethanol extract inhibited the UVBinduced cell death and ROS production in HaCaT cells. BP ethanol extract treatment inhibited the UVB-induced increase of IL-1beta, IL-6, and TNF-𝛼. BP ethanol extract treatment inhibited the increase of hyaluronidase, MMP and decrease of collagen. BP ethanol extract treatment inhibited the activation of MAPKs and the degradation of I𝜅-B𝛼. Conclusions: Our result suggest that treatment of BP ethanol extract could inhibit the UVB-induced skin injury via deactivation of MAPKs and nuclear factor kappa B(NF-𝜅B) in HaCaT cells. This study could suggest that BP ethanol extract could be a beneficial agent to prevent skin damage or inflammation.

Xylazole inhibits NO-cGMP pathway in fetal rat nerve cells

  • Wang, Xinyu;Wu, Yue;Liu, Lin;Bai, Hui;Zhang, Zhiheng;Zhao, Mingchao;Ma, Tianwen;Song, Xiaopeng;Jia, Lina;Lv, Liangyu;Yu, Yue;Xu, Xinyu;Chen, Hong;Gao, Li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16.1-16.13
    • /
    • 2022
  • Background: Xylazole (Xyl) is a veterinary anesthetic that is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similar to xylazine. However, the effects of Xyl in vitro remain unknown.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esthetic mechanism of Xyl using fetal rat nerve cells treated with Xyl. Methods: Fetal rat nerve cells cultured for seven days were treated with 10, 20, 30, and 40 ㎍/ mL Xyl for 0, 5, 10, 15, 20, 25, 30, 45, 60, 90, and 120 min. Variations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s (AANTs), Nitric oxide-Cyclic GMP (NO-cGMP) signaling pathway, and ATPase were evaluated. Results: Xyl decreased the levels of cGMP and NO in nerve cells. Furthermore, Xyl affected the AANT content and Na+-K+-ATPase and Ca2+-Mg2+-ATPase activity in nerve cell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Xyl inhibited the NO-cGMP signaling pathway in nerve cells in vitro.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new evidence that the anesthetic and analgesic effects of Xyl ar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the NO-cGMP signaling pathway.

왕느릅나무 추출물에 의한 비장세포 생존률 및 NK cell 세포독성 증가 (Ulmus macrocarpa Hance Water Extract Improved Splenocytes Survival and NK Cell Cytotoxicity)

  • 이성도;김덕원;이인환;이종환;현숙경;강경화;황혜진;김철민;김병우;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9-116
    • /
    • 2016
  • 면역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식물유래 천연물을 이용한 면역기능 증강에 관련된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왕느릅나무 껍질은 줄기 혹은 뿌리의 껍질을 뜻하며 전통적으로 동·서양 할 것 없이 항염, 진통, 항암, 상처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왕느릅나무 열수 추출물(Ulmus macrocarpa water extract, UMWE)이 면역기능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은 UMWE를 농도 100 mg/kg 또는 200 mgkg로 식이한 군, UMW를 농도 100 mg/kg 또는 200 mg/kg으로 식이하면서 면역억제물질인 cyclophosphamide(CY, 120 mg/kg)를 투여한 군, CY만을 투여한 군,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비처리군, 총 6개 군으로 나누어 2주간 매일 식이하면서 진행하였다. 각 군에서 획득한 비장지수와 비장세포 지수를 비교하였을 때 UMWE 식이가 CY에 의한 비장세포의 감소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n vitro 실험에서 MTT방법과 7-amino-actinomycin D 방법을 통해 비장세포의 생존을 유지하며 사멸을 지연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UMWE는 YAC-1에 대한 비장 NK 세포 활성을 면역억제제 CY가 존재하는 조건에서도 정상적으로 유지시켜 면역기능 유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삼 및 인삼 사포닌이 쥐의 건망증 및 신경세포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and Its Saponins on Experimental Amnesia in Mice and on Cell Cultures of Neurons)

  • Saito Hiroshi;Nishiyama Nobuyoshi;Iwai Akihiko;Kawajiri Shinichi;Himi Toshiyuki;Sakai Toshimi;Fukunaka Chizu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92-98
    • /
    • 1988
  • 본 연구는 중앙대서전에 인삼의 주 효과중 건망증 방지작용이라고 수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행하여졌다. Step through 시험에서 $GRb_1$$GRg_1$은 기억력 획득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전기충격 쇼크에 의해 야기되는 기억상실 효과를 억제하였다. 게대가 $Rg_1$은 에타놀 야기 기억재생 저해작용을 방지하였다. Stepdown test에 있어서 $Rb_1,\;Rb_2,\;Rg_1$은 전기충격쇼크에 의해 야기되는 기억보지 저해효과를 방지하였다. 또한 $Rg_1$은 에타놀에 의해 야기되는 기억재생 저해효과를 방지하였으며 단기적 기억력 획득을 용이케 하였다. Shuttle box와 lever press 시험에서도 $Rb_1$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기억획득과 재생에 효과를 미치지 못했다. $Rb_1$은 shuttle box 시험에서 조건회피반응의 재생 (retrieval)을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4가지 시험이 끝난후에 인삼의 구강투여가 진정, 진통, 해열, 진경효과와 자발 및 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500 mg/kg 투여 범위내에서 조사하였으나 아무런 반응도 관찰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연구결과는 $Rg_1$이 기억의 재생 및 학습반응의 획득과정에 대하여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의 신경성장인자(NGF)가 성숙동물에 있어 뇌신경세포의 생존, 재생 및 조절에 미치는 작용에 관한 연구결과는 지능장해와 건망증에 대한 신경성장인자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NGF에 의해 야기된 신경세포돌기 성장의 특이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병아리 배배근 신경절에 있어서 NGF의 영향은 $Rh_1$에 의해 증가되었다. 다음으로 $Rb_1$은 병아리 배의 감각 및 교감신경단위에 있어서 NGF-관련 신경섬유 증가를 강화시켰다. NGF와 $Rb_1$을 함께 했을 때도 역시 쥐 대뇌피질의 신경세포 생존수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NGF는 쥐의 배격부 부근의 신경세포를 배양했을 때 cholineacetyl transferase 활성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Rb_1$은 뇌에 있어서 신경세포의 생존이나 재생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는 것은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