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acid content

검색결과 2,349건 처리시간 0.034초

쌀 저장 단백질 글루텔린 유전자 암호 분석 (Codon usage analysis of rice glutelin genes)

  • 신윤철;김주곤;남백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517-524
    • /
    • 1993
  • 글루텔린은 쌀 종자단백질의 80% 수준에 이르는 산 또는 알칼리에 용해되는 가장 중요한 저장 단백질로, 분자량은 54 kDa 내외이며 22 kDa의 산성사슬과 32kd의 염기성사슬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13개의 글루텔린 유전자의 염기서열로부터 유추된 단백질 서열의 다중분석에 의하여 계통발생적으로 1군에서 5군까지 5개군으로 나눌 수 있다. 각 군 상호유전자간의 염기서열과 아미노산서열의 유사성은 60%에서 90%에 이르어 이들 각 군은 매우 유사한 아미노산 조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lysine 함량에 있어서는 2.5%에서 3.6%로 약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argnine이 point mutation에 의하여 lysine으로 변화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각 군에서의 성숙단백질과 염기성 사슬의 등전점은 각각 9.0, 10.0 내외로 매우 유사한 반면, 산성사슬은 각각 6.6, 6.7, 7.2, 8.4, 7.9의 독특한 값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유전자 암호에서 세번째 염기가 G와 C로 끝나는 암호의 비율(fraction of G+C at synonimous site in codons: GC3s)과 유효 암호수(effective codon number, Nc), 우선 암호수(Preferred codon number)의 분석과 상관그래프는 글루텔린 유전자들의 전이효율의 차이는 거의 없어 유사한 수준으로 발현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살균소독수로 세척한 후 냉풍건조한 꽁치과메기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wamegi (Semi-dried Coloabis saira) During Cold Air Drying after Washing with Various Washing Solutions)

  • 강상모;이원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4-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꽁치를 냉풍건조방법으로 생산한 과메기의 성분 변화와 세척수 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효과를 조사하였다. 건조를 하기 전 시료의 수분 함량은 56.62%였으나 초기 수분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완만해지는 결과를 보였다. 건조 처리 전의 과메기의 색도차는 42.40이었으나 온도와 건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색도차의 값이 감소하였다. 건조를 하지 않은 대조구의 TBA 값은 0.219였고, 모든 온도 조건에서 건조가 진행될수록 산패도가 증가하였다. 과메기의 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25^{\circ}C$에서 36시간을 건조시킨 처리구에서 총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40^{\circ}C$에서 12시간을 건조시킨 처리구가 총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낮았다. 건조온도와 시간에 따른 과메기의 지방산 분석 결과, 주요 지방산은 14:0, 16:0, 18:1 등이 각각 18.15~20.96%, 28.06~32.51%, 17.06~19.81%로 분포하였다. Chlorine dioxide 100 ppm에서 60초 동안 세척한 구에서 미생물제어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과메기의 위해미생물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와 Pseudomonas putida 로 두 균주가 조사되었다.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Supplemented with Bacillus licheniformis in Drinking Water

  • Liu, Xiaolu;Yan, Hai;Lv, Le;Xu, Qianqian;Yin, Chunhua;Zhang, Keyi;Wang, Pei;Hu, Jiy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5호
    • /
    • pp.682-689
    • /
    • 2012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Bacillus licheniformi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Nine hundred one-d-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experimental groups with three replicate pens of 100 broiler chicks. Three treatments were i) control, ii) basal diets supplemented with 1 ml of B. licheniformis for each in feed water per day iii) basal diets supplemented with 2 ml of B. licheniformis per chick in feed water per day. The supplementation of B. licheniformis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 in grower chickens (p<0.05), and significantly improved the feed conversion in 3 to 6 and 0 to 6 wk feeding perio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Additionally, the supplement also resulted in increased protein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and decreased fat content in chicken breast fillet (p<0.05). Furthermore, improvement in sensory attributes was observed in broilers fed with the probiotic. In conclusion, B. licheniformis treatment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p<0.05) in broiler productivity based on an index taking into account dail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Meanwhile, the probiotic contributed towards an improvement of the chemical, nutritional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breast fillet. Overall, the study indicates that B. licheniformis can be used as a growth promoter and meat quality enhancer in broiler poultry.

강릉지방의 오징어 식해 개발에 관한 연구 -4. 식해숙성에 미치는 고추가루 및 곡류 첨가량의 영향- (The Development of Squid(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Kang-Nung District -4. The Effects of Red Pepper and Grain Contents on the Properties of Squid Sik-hae-)

  • 김상무;백운두;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6-372
    • /
    • 1994
  • 고추가루 및 곡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경우의 오징어 식해 숙성중의 일반성분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추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경우의 일반성분의 변화에는 별다른 차이점은 없었으며, 곡류 $50\%$ 첨가비율에서 탄수화물량이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원료의 배합비율에서 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pH변화는 고추가루 $10\%$ 및 곡류 $30\%$ 첨가 비율에서 고추가루 $5\%$ 및 곡류 $50\%$ 보다 각각 숙성초기에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할 수록 원료의 첨가비율에 따른 pH 변화는 거의 없었다. 젖산의 변화는 고추가루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단지 곡류 $30\%$ 비율에서 $50\%$ 비율보다 숙성초기에 젖산 생성량이 다소 많았으나 숙성 후기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총 arginine량은 고추가루 $10\%$ 및 곡류 $30\%$ 첨가비율에서 고추가루 $5\%$ 및 곡류 $50\%$ 첨가비율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10일까지 다소 증가경향을 보이다가 그 이후로 다소 감소하였는데 전체 숙성기간 중의 함량을 볼 때 큰 변화는 없었다고 보여진다. 고추가루 첨가량에 따른 TMAO및 TMA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곡류 $30\%$ 첨가비율에서 $50\%$ 첨가비율보다 TMAO 및 TMA 량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추가루 및 곡류의 첨가량에 다른 식해 숙성중의 품질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외관 등 관능적인 측면에서 보다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훈제 굴 통조림의 저장중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Canned Smoked-Oyster in Cottonseed Oil During Storage)

  • 한봉호;김상호;정윤수;임진영;조만기;유홍식;박문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69-576
    • /
    • 1995
  • 훈제 굴 통조림의 가열살균기준 설정을 위하여 $105^{\circ}C\;-\;115^{\circ}C$의 온도범위에서 Fo-값을 달리하여 살균한 제품을 $5^{\circ}C\;-\;50^{\circ}C$의 서로 다른 온도에 저장하면서 품질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110^{\circ}C$에서 Fo-값 5.92분 이상으로 살균한 제품은 6개월 동안의 저장에도 pH, 아미노질소의 양, 산가, 그리고 TBA-값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온도 $105^{\circ}C$$115^{\circ}C$에서 Fo-값 $5.50\pm0.1$분 및 $6.50\pm0.1$분으로 살균하여 4개월 저장한 제품에서도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온도 $110^{\circ}C$에서 Fo-값 5.92분 미만으로 열처리한 제품에서는 품질변화가 심하게 일어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훈제 굴 통조림의 가열살균기준으로서는 Fo-값 6.0분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재배 지대에 따른 참당귀의 추대 변이와 FLC 유전자 특성 (Variation of Bolting at Cultivation of Different Regions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LC homologs in Angelica gigas Nakai)

  • 김영국;여준환;안태진;한신희;안영섭;박충범;장윤희;김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59-364
    • /
    • 2012
  •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find bolting response of cultivation in different regions and to isolate FLC (FLOWERING LOCUS C) homologs in Angelica gigas Nakai. The mean temperature of different regions, ordering in altitude, were as follows: 100 m > 350 m > 530 m > 700 m. The largest amount of rainfall was occurred in the region of 350 m while the longest time of sunshine was occurred in the region of 100 m. The cont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regions showed pH 6.2 ~ 7.4, T-N 0.17 ~ 26, organic mater $1{\sim}32gkg^{-1}$, $P_2O_5$ ${151{\sim}664_{mgkg}}^{-1}$, exchangeable potassium and calcium and magnesium were 0.78 ~ 1.15, 3.9 ~ 10.0, ${0.7{\sim}3.2_{cmol}}^{+kg-1}$. L5 line of A. gigas was occurred in bolting at all regions, but the bolting ratio was 60.0% in 700 m region with non-mulching treatment. Manchu of A. gigas was not occurred in bolting at all regions. The accumulation bolting ratio of L5 line by non-mulching was higher than that of mulching as 90.4% and 72.8% in 100 m region. The MADS-box transcription factor FLC is one of the well-known examples as a strong floral repressor. We decided to isolate FLC homologs from A. gigas as a starting point of flowering mechanism research of this plant. We have isolated two RT-PCR products which showed very high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to Arabidopsis FLC.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사료원으로써 대두박의 이용 효과 II. 소화율, 배설 및 체조성 변화 (Effects of Dietary Soybean Meal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I. On the Apparent Digestibility, Excretion and Body Composition)

  • 김병기;전중균;허형택;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5-407
    • /
    • 1996
  • 사료 단백질원으로써 대두박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지개송어를 160일 동안 사육하면서 사육 후 60일 및 120일째에는 대두박 사료의 소화율, 암모니아의 배설 경향 및 어체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사료로는 단백질원으로 어분을 $64.5\%$ 사용한 대조구 및 상품 탈지 대두박을 $10\~70\%$까지 등간격으로 늘린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상품용 무지개송어 사료를 사용하였다. 실험 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소화율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단백질 소화율은 증가하였지만, 지질 소화율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지개송어의 전어체 및 조직(간 및 근육)의 일반 성분에서 대두박 함량이 많은 공급구일수록 지질 함량이 적었으나 전어체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단백질의 최종 대사산물인 암모니아($NH_3-N$)의 배설량을 섭이 후 24시간 동안 조사하였더니, 배설은 주로 후반 12시간에 많아 총 배설량의 2/3 이상이나 되었고, 24시간의 총 배설량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여 대두박함량 $70\%$ 공급구가 $466.8\;mg{\cdot}kg\;body\;wt.^{-1}day^{\-1}$으로 대조구의 $115\%$ 수준이었다. 이상과 같이 대두박 함량이 많은 사료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그보다는 에너지원 중에서 지질의 이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듯 하였다.

  • PDF

상업적 효소를 이용한 연어 Frame 유래 곰탕 유사 제품의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omtang-like Product from Salmon Frame Using Commercial Enzymes)

  • 허민수;박신호;김혜숙;지성준;이재형;김형준;한병욱;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96-1603
    • /
    • 2007
  • 연어 frame 추출물에 대하여 건강 기능성 개선을 위하여 4종의 상업적 효소(Alcalase, Flavourzyme, Neutrase 및 Protamex) 처리에 의한 건강 기능성 연어 frame 가수분해물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연어 frame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능($IC_{50}$)은 Neutrase로 4시간 처리한 가수분해물이 0.67 mg/mL로 가장 우수하였으나, 항산화성은 기대 이하의 범위(15% 이하)이었다. Neutrase 처리 연어 frame 가수분해물은 무처리 추출물에 비하여 일반성분과 관능적 특성(비린내 및 맛)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추출물 질소 함량은 높았고, 투과도는 개선되었다. 효소처리 연어 frame 가수분해물은 축육과 뼈로 제조한 시판 곰탕에 비하여 단백질 함량, 추출물 질소, 구성아미노산과 칼슘 함량이 높았고, 투과도, 관능적 비린내 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추후 조미 등에 의하여 보강 가능한 관능적 맛은 기호도에 있어 약간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연어 frmae 추출물에 Neutrase로 4시간 처리함으로 인하여 투과도와 ACE 저해능과 같은 건강 기능성은 기대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생선비늘의 유효이용을 위한 성분분석 (Analysis of Composition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Fish Scales)

  • 전유진;김용태;김세권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89-597
    • /
    • 199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수산가공율의 증가에 따라 부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수산부산물 내지는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어류의 비늘에 대한 성분을 분석하고 아울러 해산어와 담수어 유래의 비늘 사이에 서식환경에 따른 함유성분의 차이가 있는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해산어와 담수어의 두 어종간에 있어서 함유하고 있는 성분의 차이는 거의 없이 대부분 일치하였으나 함량의 차이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숭어비늘의 일반성분 함량은 회분과 단백질이 거의 50%로 같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는데 반하여 잉어비늘에서는 회분이 약 20% 그리고 단백질이 약 80%로서 단백질의 함량이 회분보다 약 4배 가량 높았다. 비늘에서 추출한 단백질은 그 아미노산 조성 및 전기영동패턴에 의해 콜라겐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비늘 콜라겐의 $\alpha$1 a 및 $\alpha$2 사슬의 전기이동패턴은 대조구로 사용된 소껍질의 Type I 콜라겐의 그것들과 거의 똑같은 것으로 보아 비늘 콜라겐도 Type I으로 추측되었다. 그리고 숭어비늘의 경우에는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단백질이 콜라겐인데 비하여 잉어비늘은 전체 단백질 중 약 53%만을 차지하고 있었다. 비늘로부터 추출한 조회분에 대한 원소분석 및 X-ray 회절분석에서는 그 주성분 hydroxyapatite로 확인되었으며, 시료간의 차이는 전혀 없이 거의 완전하게 일치하였다.

  • PDF

닥나무 열매(緖寶子)의 농축액과 조효소가 장조림의 맛과 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 or Crude Enzyme Extracted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on Tenderness and Palatability of Jangchorim)

  • 윤숙자;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17-622
    • /
    • 1997
  • 닥나무 열매가 쇠고기의 연화와 맛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닥나무 열매의 처리형태(농축액, 조효소)와 첨가량을 달리하여 쇠고기에 첨가하였을 때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단력은 닥나무 열매의 농축액와 조효소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쇠고기의 연화도가 증가하였는데 처리형태에 따라 살펴보면, 0∼8%의 농축액을 첨가하였을 때 4.8∼27%, 0∼1%의 조효소를 첨가하였을 때 7.8∼34.2%까지의 연화율을 나타내었다. 2. 중량감소율은 농축액의 형태로 첨가시는 닥나무열매를 첨가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하였으나 조효소형태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색도는 닥나무 열매를 첨가하여 조리함에 따라 장조림육 표면의 “a”값이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4. 유리아미노산을 보면 닥나무 열매의 농축액과 조효소 첨가시 단백질이 연화되어 국물속으로 용출되어 나오는 유리아미노산함량이 점차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농축액은 8%까지 첨가시 37%, 조효소는 1%까지 첨가시 31.2%의 증가율을 보였다. 5. 장조림육의 무기질 함량과 조성을 분석한 결과 농축액의 형태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대부분의 무기질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조효소 형태로 첨가하였을 때는 Na, K, P, Ca, Mg의 순으로 높은 함량분포를 보였으며 Mn과 Cu가 비교적 낮았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무기질들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6. 장조림육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닥나무 열매 농축액과 조효소를 첨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농축액 첨가시에는 4% 처리구, 그리고 조효소 첨가시에는 0.1% 처리구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닥나무 열매를 농축액이나 조효소의 형태로 첨가하는 양을 달리하여 장조림을 하였을 때 연화도와 기호도가 증가하였는데 처리형태에 따라 연화율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