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yl alcohol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3초

새우, 게 및 바다가재의 부산물로 만든 소스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Sauces Made with Waste of Shrimp, Crab and Lobster)

  • 이경임;조지은;안형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8
    • /
    • 2007
  • 식품의 조리과정 중에 부산물로 나오는 갑각류 폐기물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여 canister system을 이용하여 농축한 후 GC/MSD를 이용해 휘발성 성분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총 휘발성 성분의 개수는 72종이었으며 그 중 새우를 사용하여 만든 소스의 휘발성 성분이 45개로 가장 많았다. 새우 소스의 휘발성 성분은 10종의 alkane, 4종의 ketone, 3종의 aldehyde 및 7종의 alcohol이었으며 3-methyl-2-butanone, 2-pentanamine, isobutane, 3- methyl-butanal, furan, carbon disulfide, dimethyl sulfide가 주요한 성분이었다. 꽃게 소스에서는 18개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고, 4종의 alcohol류, 5종의 alkane류, 3종의 aldehyde류 및 ketone, acid와 amine이 각각 1종 검출되었으며, 2-methoxy ethanol, trimethyloxirane, 3-buten-1-ol이 꽃게 소스에서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머리부분을 이용한 소스에서 16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alkane류 2종, aldehyde와 alcohol이 각각 1종씩 동정되었고 formic acid, 1-propanethiol, $\beta$-pinene, allyl sulfide가 주요한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껍질을 이용한 소스에서 휘발성 성분이 18종 검출되었으며, acid류, pentane, 3-methyl 1-butanol 및 2, 4-dimethyl- 3-pentanone이 주요한 휘발성 성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Black Garlic Extracts)

  • 전선영;백정화;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6-122
    • /
    • 2012
  • 흑마늘은 일정기간 마늘의 자체 성분과 효소 등에 의해 숙성되어 진한 흑갈색으로 변한 것으로 추출액과 같은 가공형태로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으나 관능적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흑마늘 제품의 산지별에 따른 흑마늘추출액 4종(A, B, C, D)을 선정하여 관능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68종으로 함황화합물류 21종, 알데히드류 10종, 퓨란류 7종, 알콜류 6종, 방향족화합물 7종, 케톤류 4종, 산류 4종, 질소화합물 3종, 에스테르류 2종 및 기타 4종이 검출되었다. 흑마늘추출액 모든 시료에서 fruit-sweet향의 2,6-dimethyl-4-heptanone이 높은 함량 검출되었다. 함황화합물에서는 6종, allyl sulfide, 4-methyl-1,2,4-thiazole, 1,3,5-trithiane, unknown I(RI 1564), II(RI 1565), III(R I1613)이 전 시료에서 높은 함량 검출되었으며, 마늘향기성분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Maillard 반응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진 3종의 알데히드류(3-methylbutanal, benzaldehyde, phenylacetaldehyde)와 4종의 furan류(furfural, 2-acetylfuran, 5-methyl-2-furfural, furfuryl alcohol), 2,6-dimethyl pyrazine, acetic acid가 모든 시료에서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이들 향기성분들은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성분에 burnt, sweet, sour한 특징적인 냄새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흑마늘의 첨가량과 초기 알코올 농도를 달리한 발효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black garlic and alcohol)

  • 서원택;최명효;심혜진;김경화;신연미;강민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41
    • /
    • 2016
  • 흑마늘에 가수량을 달리하여 3, 6, 9 및 12배가 되도록하여 알코올 발효시켜 초기 알코올 농도를(6~12%)로 달리한 흑마늘 식초를 25일간 초산발효 시키면서 발효과정 중 품질특성 분석을 위해 관련인자를 분석하였다. pH는 발효 중 점차 감소하여 25일 후에 3.85~4.46였고, 당도는 발효 9일 후에 $12.00{\sim}13.50^{\circ}Brix$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다시 감소하여 발효초기와 유사한 범위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발효 0일차에 19.67~50.46 mg/100 mL이던 것이 최종 25일에는 20.65~52.04 mg/100 mL의 범위로 미량 증가 하였다. 최종 숙성 완료된 흑마늘 식초에서 페놀화합물을 확인 동정한 결과 pyrogallol과 vani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흑마늘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함량이 더 높았다. S-allyl cysteine(SAC) 함량은 6배 이상으로 가수희석된 흑마늘 식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흑마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그 함량이 높았는데 발효 기간에 따른 함량의 차이는 적었다. 유기산은 총 5종이 검출되었는데, 검출된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아 발효가 완료된 25일차 시료에서 4,208.90~5,570.29 mg/100 mL이었고 유기산의 총량은 5,327.34~6,307.64 mg/100 mL의 범위였다. 발효 25일 후 흑마늘 식초의 무기물 함량은 K이 366.23~1619.67 mg/L로 가장 높았고, 흑마늘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총 함량이 더 높았다.

PDMS 표면특성에 따른 비균일계 마이크로채널의 유속 변화 (Flow Rate Changes in the Heterogeneous Rectangular Microchannels with Different Hydrophilicity for the PDMS Bottom Surface)

  • 노순영;이효송;김기호;최재호;유재근;윤수경;이영우
    • 청정기술
    • /
    • 제13권3호
    • /
    • pp.195-2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표면특성에 따른 비균일계 마이크로채널에서의 유속 변화를 조사하였다. 비균일계 마이크로채널은 PDMS와 soft lithography를 사용하여 제작하였고, 마이크로채널의 내부 표면 중 아랫면만을 allyl alcohol로 증착하여 친수성을 띠게 하였다. 채널의 길이는 10, 20, 30 mm, 너비는 100, 200, $300\;{\mu}m$로 각각 제작하였으며, 채널 내 전기영동에 의한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외부전압을 가해주었다. 그 결과 동일한 세기의 전기장과 밑면의 친수성 정도가 동일할 때 유속은 같았다. 이는 이론적 결과에 부합하고, 연구가 신뢰성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같은 친수성을 갖는 밑면일 때 채널의 너비가 증가할수록 유속도 증가하고, 친수성 정도가 큰 채널이 작은 채널보다 유속이 빨랐다. 이 결과는 밑면의 친수성 정도에 따라 채널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Evaluation of the Genetic Toxicity of Synthetic Chemicals (X) -In vivo Bone Marrow Micronucleus Assay of 17 Synthetic Chemicals In Mice-

  • Ryu, Jae-Chun;Jeon, Hee-Kyung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2
    • /
    • 2004
  • To validate and to estimate the chemical hazard playa very important role to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The detection of many synthetic chemicals used in industry that may pose a genetic hazard in our environment is of great concern at present. Since these substances are not limited to the original products, and enter the environment, they have become widespread environmental pollutants, thus leading to a variety of chemicals that possibly threaten the public health. In this resepct, the clastogenicity of 17 synthetic chemicals was evaluated with bone marrow micronucleus assay in mice. The positive control, mitomycin C (2 mg/kg, i.p.) revealed significant induction ratio of percentage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1,000 polychromatic erythrocytes compared to solvent controls. The chemicals with relatively high $LD_{50}$ value such as allyl alcohol (CAS No. 107-18-6), 2,4-pentanedione (CAS No. 123-54-6) and 4-chloro-3,5-dimethylphenol (CAS No. 88-04-0) revealed no significant induction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in mice. From this results, 17 synthetic chemicals widely used in industry have revealed no significant micronucleus induction of clastogenicity in mice in this experiment.

  • PDF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Hea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Time of Heating, and pH

  • Kim, Eun-Hee;Kang, Seung-Sik;Kang, Dong-Hee;Kyung, Kyu-H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771-775
    • /
    • 2009
  •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pH 6.0) heated at $120^{\circ}C$ reached its maximum at 45 min of heating and maintained the level for the rest of heating time (300 min) when tested against Candida utilis ATCC42416. The principal antimicrobial compound was allyl alcohol (AA), a highly volatile compound without sulfur in its molecule. The concentration of AA in heated garlic gradually increased to over 2,000 ppm for the first 90 min and stayed at the level without appreciable changes in spite of further heating. Other antimicrobial compounds secondary to AA were lowly volatile sulfur compounds including diallyl polysulfides (diallyl trisulfide, diallyl tetrasulfide, and diallyl pentasulfide) and heterocyclic sulfur compounds (4-methyl-1,2,3-trithiolane, 5-methyl-1,2,3,4-tetrathiane, and 6-methyl-1,2,3,4,5-pentathiepane). When the pH of the garlic extract was lowered before heating, considerably more secondary antimicrobial sulfur compounds were formed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stronger than the pH unadjusted garlic. Lowly volatile sulfur compounds contributed a significant part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heated garlic only during the early period (45-120 min) of heating regardless of pH treatment.

Bayberry Tannin as Stabilizer for the Synthesis of Highly Active and Reusable Heterogeneous Pd Catalysts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Catalytic Hydrogenation of Olefins

  • Chen, Chen;Lv, Guang;Huang, Xin;Liao, Xue Pin;Zhang, Wen Hua;Shi, B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2호
    • /
    • pp.403-408
    • /
    • 2012
  • In this study, the homogenous Pd nanoparticles (Pd NPs) were first prepared with bayberry tannin (BT) as the stabilizers. Subsequently, the obtained bayberry tannin-stabilized Pd nanoparticles (BT-Pd) were immobilized onto ${\gamma}-Al_2O_3$ to prepare heterogeneous ${\gamma}-Al_2O_3$-BT-Pd catalysts. Fourier Transformation Infrared Spectrum (FTIR)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alyses confirmed that the Pd NPs were well stabilized by the phenolic hydroxyl groups of BT.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observation indicated that the diameter of the Pd NPs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in the range of 4.2-16.0 nm by varying the amount of BT. It is found that the ${\gamma}-Al_2O_3$-BT-Pd catalysts exhibit highly activity for various olefin hydrogenations. For example, the initial TOF (turnover frequency) of the ${\gamma}-Al_2O_3$-BT-Pd in the allyl alcohol hydrogenation is as high as $12804 mol{\cdot}mol^{-1}{\cdot}h^{-1}$. Furthermore, the ${\gamma}-Al_2O_3$-BT-Pd can be reused 5 times without significant loss of activity, exhibiting a superior reusability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ly prepared ${\gamma}-Al_2O_3$-Pd catalysts.

Acrylate기를 갖는 Polydimethylsiloxane계 코팅 액의 제조와 그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oating Materials of Polydimethylsiloxane with Acrylate Groups)

  • 박승우;강호종;강두환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138-143
    • /
    • 2014
  • ${\alpha},{\omega}$-Hydroxypropyl기를 갖는 polydimethylsiloxane을 합성하고 이를 hexamethylenediisocyanate(HDI)의 고리화 반응으로 제조된 HDI trimer와 반응시켜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갖는 PDMS 변성 urethane(PSU)을 제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PSU와 2-hydroxyethylmethacrylate를 urethane 반응으로 acrylate기를 갖는 PDMS 변성 urethane base 수지(PSUA)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FTIR, NMR로 구조를 확인하여 분석하였다. 제조한 base 수지에 아크릴계 경화제, 광 개시제, 용매들을 혼합하여 코팅 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PET 필름에 도포하고 자외선으로 조사하여 고경도의 유연성을 갖는 코팅 막을 얻었다. 얻어진 코팅 막의 광 투과도는 89.7%, 연필경도는 3H, 접촉각은 $88^{\circ}$였다.

에스테르엔올 음이온의 Claisen 자리옮김 반응에 의한 Permethrin의 합성 (Synthesis of Permethrin using Ester Enolate Claisen Rearrangement)

  • 김인규;강석구;홍장후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48-552
    • /
    • 1986
  • (${\pm}$)시스- 및 트란스-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1-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시산 3-페녹시벤질을 2-메틸-3-부텐-2올($\underline{2}$)을 출발물질로하여 입체선택적으로 합성하였다. 아세트산과 무수아세트산의 존재하에서 2-메틸-3-부텐-2-올을 알릴자리옮김 반응에 의해 아세트산3-메틸-2-부텐-일($\underline{3}$)을 얻은 다음 이 아세트산 알릴($\underline{3}$)의 [3,3] 시그마 자리옮김 반응에 의해 ${\gamma},\;{\delta}$-불포화산($\underline{4}$)을 얻었다. 3,3-디메틸-4-펜텐산($\underline{4}$)을 SOCl$_2$로 처리하고 3-페녹시벤질알코올로 에스테르화 시켜 알코올 부분이 구축된 3,3-디메틸-4-펜텐산 3-페녹시벤질($\underline{6}$)을 얻어서 사염화탄소의 첨가 후 그리화에 의해 (+)시스-및 트란스-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1-시클로프로 판카르복시산 3-페녹시벤질을 합성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n the Thermal Oxidation of Raw Natural Rubber Thin Film using Image and FT-IR Analysis

  • Kim, Ik-Sik;Cho, Hwanjeong;Sohn, Kyung-Suk;Choi, Hwa-Soon;Kim, Sung-Uk;Kim, Sinko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5권1호
    • /
    • pp.51-58
    • /
    • 2020
  • In this study, the thermal oxidation of raw natural rubber (NR) was investigated under controlled conditions by optical image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analysis. The thermal oxidation was performed on a transparent thin film of raw NR coated on a KBr window in a dark chamber at 80℃ under low humidity conditions to completely exclude moisture and restrict light oxidation. Images of the thin film of raw NR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rmal oxidation. FT-IR absorption spectra were measured in the transmission mode at different thermal exposure times. The thermal oxidation of NR was examined by the changes in the absorption peaks at 3449, 1736, 1447, 1377, 1242, 1072, and 833 cm-1, which corresponded to a hydroxyl group (-OH), a carbonyl group (-C=O) from an aldehyde and a ketone, a methylene group (-CH2-), a methyl group (-CH3), a carbon-oxygen single bond (-C-O) from an epoxide, a carbon-oxygen bond (-C-O) from an ether, an alcohol, a peroxide, or a cyclic peroxide, and a cis-methine group (cis-CCH3=CH-), respectively. In the initial stage of thermal oxidation, two different types of free radicals were produced quickly and randomly by the homolytic cleavage of a double bond and allylic hydrogen abstraction. Aldehydes and ketones were formed from chain scissions of the double bonds and alcohols were produced from allylic hydrogen abstraction at the methylene or methyl groups. Two reactions seemed to proceed competitively with each other. At a later stage, oxidative crosslinks seemed to dominate through the combination of free radicals such as an allyl radical (CH=CHCH2·), alkoxy radical (RO·), and peroxy radical (ROO·) and the reaction of a hydroperoxide (-ROOH) with a double bond. The image obtained after thermal oxidation showed hardening without crack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a plausible two-step mechanism was suggested for chain hardening caused by the thermal ox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