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ozyme variat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2초

알로자임을 이용한 청각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Codium fragile (SURINGAR) HARlOT in Korea Using Allozymes)

  • 이복규;박소혜;허윤성;주무열;최주수;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3-218
    • /
    • 2006
  • 알로자임 분석을 이용하여 청각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종은 한국내 생태적, 경제적 중요한 자원이지만 유전적 분석이 수행되지 않았다. 전분 젤 전기영동으로 이 종의 한국내 네 집단에 대해 알로자임 변이와 유전 구조를 조사하였다. 15개 대립유전자좌위에 대해 9개 좌위(60.0%)가 적어도 한 집단에 대해 다형현상을 나타내었다. 종수준에서 유전적 다양성은 매우 높았다($H_{ES}$=0.144). 집단수준에서 유전적 다양성은 비교적 낮았다($H_{EP}$=0.128). 청각에서 전체 유전적 다양도의 87%는 집단내에 내포되어 있었다. 청각의 번식방법은 유성생식보다는 무성생식이 우세하고, 집단의 단절, 낮은 자손의 생성, 지리적 격리, 그리고 정착과정이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조사한 청각 집단에서 세대당 이주하는 개체수는 1.69로 평가되었다. 이 값은 보통 수준의 유전자 흐름으로 해류를 통한 이동이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소나무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I) : 영일(迎日) 집단(集團)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 (Observations on the Genetic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I) : The Young-il Population)

  • 정민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46-254
    • /
    • 1991
  • 동립효소(同立酵素) 분석(分析)에 의하여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일지역(迎日地域) 한 소나무 집단(集團)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를 산(山)의 남(南)쪽과 북(北)쪽의 소집단(小集團)으로 구분(區分)하여 연구(硏究)하였다. 동립효소(同立酵素) AAT, GDH 및 LAP등 에서 각각 5개, 1개 및 2개의 유전자좌(遺傳子座)가 발견(發見)되였으며 상세(詳細)히 분석(分析)한 6개의 유전자좌(遺傳子座)에는 평균(平均) 3.33개의 유전자(遺傳子)가 있음이 확인(確認)되었다. 6개 유전자좌(遺傳子座)의 average heterozygosity는 양친집단(兩親集團)의 경우(境遇) 0.19였고 차대집단(次代集團)의 경우(境遇)는 0.17이었다. 몇 몇 유전자좌(遺傳子座)에 있어서 남(南)쪽 북(北)쪽 소집단내(小集團內) 및 소집단간(小集團間)에 모계(母系)와 부계간(父系間) 유전자빈도(遺傳子頻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고 남쪽 및 북쪽 소집단간(小集團間)에는 모계(母系) 유전자(遺傳子) 빈도(頻度)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이 결과(結果)로 보아 산(山)의 북쪽과 남쪽에 위치(位置)한 소나무 소집단(小集團)에 있어서 교배(交配)가 무작위(無作爲)로 일어나지 않았으며 소집단간(小集團間)에도 자유(自由)롭게 교배(交配)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들 소집단(小集團)들은 최소(最小)한 생식집단(生植集團)으로서 부분적(部分的)으로 서로 격리되고 있음이 발견(發見)되었다. 양친(兩親)과 차대집단(次代集團)의 몇몇 유전자형(遺傳子型)들은 Hardy-Weinberg 평형(平衡)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이 소나무 집단(集團)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로 보아 현재의 소나무 집단(集團)은 소수(少數)의 양친수(兩親樹)에 의해 형성(形成)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북지방(慶北地方) 소나무 및 곰솔에 대한 동위효소(同位酵素) IDH, ME 및 PGI의 유전(遺傳) (Inheritance of Isozymes IDH, ME and PGI in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in Kyungpook Province)

  • 손두식;홍성천;여진기;류장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242-247
    • /
    • 1989
  • 경북지방(慶北地方)에 자생(自生)하는 소나무 및 곰솔을 중심(中心)으로 동위효소(同位酵素)에 의한 유전적(遺傳的) 변이(變異)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종자(種子)의 megagametophyte 조직(組織)으로 IDH, ME 및 PGI의 유전양상(遺傳樣相)을 조사(調査)하였다. IDH는 하나의 유전자좌(遺傳子座)에 소나무는 2개(個)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가 출현(出現)하였고 곰솔은 하나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인 $A_1$만 나타나서 차이(差異)가 없었다. ME는 하나의 유전자좌(遺傳子座)에 소나무와 곰솔 모두 4개(個)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가 출현(出現)하였다. PGI는 2개(個)의 유전자좌중(遺傳子座中) A-locus는 하나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만이 나타나서 변이(變異)가 없었고 B-locus는 소나무에서는 5개(個)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가 나타나서 곰솔에서는 $B_1$, $B_2$ 2개(個)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만이 출현(出現)하고 있었다. 특히 PGI에서는 band가 multiple band로 나타나며 하나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는 4-5개(個)의 band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상(以上)의 IDH, ME 및 PGI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 분리비(分離比)를 ${\chi}^2$-검정(檢定)한 결과(結果) 신뢰도(信賴度)가 0.5-0.95로서 거의 1 : 1로 분리(分離)되고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taxonomic rank of the terrestrial orchid Cephalanthera subaphylla based on allozymes

  • CHUNG, Mi Yoon;SON, Sungwon;CHUNG, Jae Min;LOPEZ-PUJOL, Jordi;YUKAWA, Tomohisa;CHUNG, Myong G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8-126
    • /
    • 2019
  • The taxonomic rank of the tiny-leaved terrestrial orchid Cephalanthera subaphylla Miyabe & $Kud{\hat{o}}$ has been somewhat controversial, as it has been treated as a species or as an infraspecific taxon, under C. erecta (Thunb.) Blume [C. erecta var. subaphylla (Miyabe & $Kud{\hat{o}}$) Ohwi and C. erecta f. subaphylla (Miyabe & $Kud{\hat{o}}$) M. Hiro]. Allozyme markers, traditionally employed for delimiting species boundaries, are used here to gai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taxonomic status of C. subaphylla. To do this, we sampled three populations of five taxa (a total of 15 populations) of Cephalanthera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C. erecta, C. falcata (Thunb.) Blume, C. longibracteata Blume, C. longifolia (L.) Fritsch, and C. subaphylla]. Among 20 putative loci resolved, three were monomorphic (Dia-2, Pgi-1, and Tpi-1) across the five species. Apart from C. longibracteata, there was no allozyme variation within the remaining four species. Of the 51 alleles harbored by these 17 polymorphic loci, each of the 27 alleles at 14 loci was unique to a single species. Accordingly, we found low average values of Nei's genetic identities (I) between ten species pairs (from I = 0.250 for C. erecta versus C. longifolia to I = 0.603 for C. falcata vs. C. longibracteata), with C. subaphylla being genetically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species (from I = 0.349 for C. subaphylla vs. C. longifolia to 0.400 for C. subaphylla vs. C. falcata).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C. subaphylla is not genetically related to any of the other taxa of Cephalanthera that are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C. erecta. In a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C. subaphylla was positioned distant not only from C. falcata, C. longibracteata, and C. longifolia, but also from C. erecta. Finally, K = 5 was the best clustering scheme using a Bayesian approach, with five clusters precisely corresponding to the five taxa. Thus, our allozym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 subaphylla merits the rank of species.

Genetic Divergence between Two Marine Catfish of Family Ariidae - Arius maculatus and Osteogeneiosus militaris

  • Chaudhari, Aparna;Alam, Afaqu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9호
    • /
    • pp.1188-1191
    • /
    • 2004
  • Two species of marine catfish, Arius maculatus and Osteogeneiosus militaris, belonging to family Ariidae were analysed electrophoretically for genetic variation in 6 enzymes, alcohol dehydrogenase (ADH), malate dehydrogenase (MDH), lactate dehydrogenase (LDH), glucose dehydrogenase (GDH), malic enzyme (M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Eighteen individuals of each species were studied. Two loci MDH and ADH were polymorphic in both. Average heterozygosity in A. maculatus was 1.46, while it was 2.5 in O. militaris. The allele frequencies were used to estimate Nei's genetic distance (D). The D value was calculated to be 0.6879. Two isozyme loci, ME and SOD, were found to be the most reliable species specific markers. No tissue specific loci were observed for the enzymes studied, the bands being identical in each case. The genetic distance observed between O. militaris and A. maculatus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y would be more appropriately classified as species of the same genus rather than being assigned separate genera.

Isozyme Analysis and Relationships Among Three Species in Malaysian Trichoderma Isolates

  • Siddiquee, Shafiquzzaman;Tan, Soon-Guan;Yusof, Umi-Kalso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9호
    • /
    • pp.1266-1275
    • /
    • 2010
  • Isozyme and protein electrophoresis data from mycelial extracts of 27 isolates of Trichoderma harzianum, 10 isolates of T. aureoviride, and 10 isolates of T. longibrachiatum from Southern Peninsular Malaysia were investigated. The eight enzyme and a single protein pattern systems were analyzed. Three isozyme and total protein patterns were shown to be useful for the detection of three Trichoderma species. The isozyme and protei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ei and Li Dice similarity coefficient for pairwise comparison between individual isolates, species isolate group, and for generating a distance matrix. The UPGMA cluster analysis showed a higher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T. harzianum and T. aureoviride than to T. longibrachiatu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 harzianum isolates had high levels of genetic variation compared with the other isolates of Trichoderma species.

Genetic Structure In Korean Populations of Atractomorpha lata (Orthoptera: Pyrgomorphidae)

  • 정명지;강순석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535-538
    • /
    • 1997
  • Allozyme variation of seven enzyme systems was analyzed from 202 individuals from four Korean populations of Atractomorpha lata. These populations exhibit higher levels of values of in most other insects with a mean 64% of polymorphic loci and a mean 0.384 of expected heterozygosity within populations. Fixation indices indicated considerable substructuring within populations sampled (mean $F_{is}=0.403)$, indicating probable inbreeding or assortative mating coupled with restricted migration between subpopulations. This was supported by the field observation that the species exists as small, discrete colonies in meadow habitats and females carry males.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ere frequenci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t polymorphic loci examined (70%, 16 of 23 cases) could account for the observed heterozygote deficiencies.

  • PDF

한국의 두 강으로부터 재첩의 유전적 종다양성과 열안정성 변이체 (Genetic Diversity and Thermostabilitical Variants of Corbicula japonica from the Two Main Rivers in Korea)

  • 허만규;문두호;허흥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43-250
    • /
    • 1998
  • We examined the genetic variation within the species, the patterns of genetic diversty between populations, thermostability variations of enzymes and temperature tolerances of Corbicula japonica from the two main rivers In Korea.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examine the genetic variation of 22 locl. Henting experiments of electrophoresis under the condition of 40$\pm$5$^{\circ}$ for 15$\pm$5 min disclose thermostabllity differences, called heat-sensitive and heat-resistant types, within each 디ectrophoretic allozyme. Genetic diversity at the natural species level was high (77.3%), whereas the extent of heat-treat groups was relatively low (52.6%). The genetic diversity trends to decrease from the source of two main siderable high genetic diversity compared with a mean value of C. japonica species, It is recommended that several populations of the species in Korea should be preserved.

  • PDF

울릉도 희귀.특산 식물 섬현호색의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a Rare and Endemic, Spring Ephemeral Plant Corydalis filistipes Nakai of Ullung Island in Korea)

  • 김진석;양병훈;정재민;이병천;이재천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47-252
    • /
    • 2006
  • 울릉도의 특산 식물종으로서 희귀식물종이며, 춘계 단명성 식물로서 개미에 의해 종자 산포가 이루어지는 섬현호색(Corydalis filistipes Nakai) 4개의 아집단에 대하여 합리적인 보전 및 관리 대책 수립을 위하여 9 개의 동위효소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 대립 유전자의 수(A)는 1.73개, 95% 수준에서 다형적 유전자좌의 비율은(P)은 61.2%, 이형접합체의 평균 관측치(Ho)는 0.201, 기대치(He)는 0.167로서 분포역이 넓은 특산 식물 종들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지만, 섬에 고립된 유사한 생활사를 갖는 특산식물 종들에 비해서는 높은 유전적 다양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소집단이기는 하나 적정수준의 개체수가 유지되고 있고, 타가수정을 주로 하며 개미에 의해 종자 산포가 이루어져 적응력이 높고, 또한 폐쇄화에 의한 유 무성 번식 체계를 겸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유전적 구조분석 결과 아집단내($F_{IS}$)와 전체 아집단($F_{IT}$)의 근친교 배계수가 각각 -0.1889 와 -0.1226로서 H-W의 평형구조에 비해 이형접합자의 빈도가 높았으며, 아집단간 유전적 분화도는 매우 낮은($F_{ST}=0.0557$)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희귀 및 특산 식물종인 섬현호색의 유전적 변이의 유지 기작과 합리적인 보전과 관리 대책을 논의하였다.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한 국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Populations in Korea Using Polymorphic Allozymes)

  • 강성영;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5-243
    • /
    • 2001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의 유전변이가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집단들은 다른 기주, 지리적 위치, 그리고 시기에 따라 세분화되었다. 평균 이형접합자빈도($0.443\pm$0.013)는 파밤나방 전체 집단의 높은 유전변이를 나타냈다. 각 소집단들은 모두 Hardy-Weomberg 균형에서 벗어난 뚜렷한 동계교배 양식을 보였다. 이러한 높은 동계교배 효과는 지역고립에 의한 집단간 분화보다는 대부분 소집단 내 표본 추출 효과에 기인된 비임의교배에 의해 야기되었다. Wright($F_{ST}$ ) 와 Nei의 유전거리(D)는 소집단들간 유전적 분화가 낮음을 나타내지만, 일부 남쪽지역의 소집단들(해남과 사천)은 상대적으로 북쪽의 소집단들(안동과 군위)과 차이를 보였다. 유전적 거리를 기초하여 추정된 세대당 이주 개체수는 서로 다른 기주 집단간 5.9마리, 지역 집단간 10.6마리, 시기 집단간 31.8마리였다. 이러한 유전분석 결과들을 보아 국내 파밤나방은 이들의 탁월한 집단간 이주 능력 때문에 집단간 유전분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