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ium sativum L.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초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Substance from Heated Garlic (Allium sativum L.)

  • Hwang, In-Guk;Woo, Koan-Sik;Kim, Dae-Joong;Hong, Jin-Tae;Hwang, Bang-Yeon;Lee, Youn-Ri;Jeong, Heon-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63-966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ty antioxidant substance in heated garlic juice (HGJ).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heated garlic juice exposed to 120, 130, and $140^{\circ}C$ for 2 hr. The HGJ was partitioned using the solvents of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HGJ treated at $130^{\circ}C$ for 2 hr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this extract was isolated and purified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semi-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structure of the purified compound was determined using spectroscopic methods, i.e., ultraviolet, mass spectrometry, infrared, $^1H$ NMR, $^{13}C$ NMR, DEPT, HMBC, and HMQC. The isolated compound was identified as thiacremonone (2,4-dihydroxy-2,5-dimethyl-thiophene-3-one). Thiacremonone showed stro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with a 50% inhibition concentration ($IC_{50}$) of $22.25{\pm}0.44\;{\mu}g/mL$, which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antioxidants ascorbic acid ($30.06{\pm}0.42\;{\mu}g/mL$), ${\alpha}$-tocopherol ($71.30{\pm}0.97\;{\mu}g/mL$),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50.54{\pm}0.94\;{\mu}g/mL$).

Characteristic of Antibiotic Resistance of Foodborne Pathogens Adapted to Garlic, Allium sativum L.

  • Moon, Bo-Youn;Lee, Eun-Jin;Park, J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511-515
    • /
    • 2006
  • Antibiotic resistance of foodborne pathogens adapted to garlic (Allium sativum Linn.) was deter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biotic resistance and garlic. The Gram (-) strains of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and the Gram (+) strains of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subcultured consecutively in a garlic broth, and the surviving colonies on the agar were selected as the adapted strains.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for 15 antibiotics on the adapted strains were determined on Muller-Hinton Infusion agar. Adaptation to 1.3%(v/v) garlic juice increased MIC for vancomycin, aminoglycoside, and erythromycin on B. cereus, and for ampicillin and erythromycin on E. coli O157:H7. MIC of aminoglycosides, chloramphenicol, and vancomycin on the adapted S. aureus increased. The adapted S. typhimurium was more resistant to penicillin and vancomycin than the non-treated strain. The adapted S. typhimurium and S. aureus lost their antibiotic resistance in non-garlic stress conditions. However, the adapted B. cereus was still resistant to erythromycin and vancomycin, and the adapted E. coli was also resistant to erythromycin. Antibacterial garlic might increase the antibiotic resistance of E. coli, B. cereus, S. aureus, and S. typhimurium and this resistance can continue even without the stress of garlic. Therefore, garlic as a food seasoning could influence the resistance of such pathogens to these antibiotics temporarily or permanently.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 Calli Immobilized in Calcium Alginate Gel

  • Kim, Min-A;Park, Joong-K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4호
    • /
    • pp.206-211
    • /
    • 2002
  • Calli obtained from a shoot-tip of garlic, Allium sntivum L., were encapsulated using a calcium alginate gel. Some of the encapsulated calli were cultured on a 1/2 MS medium supplemented with 3% sucrose, 10$\^$-5/ kinetin, and 5 ${\times}$ 10$\^$-6/ M NAA whereas the remainder was stored for 40 days at 4$^{\circ}C$. All the naked calli regenerated on the solid medium, while 95% of the encapsulated calli regenerated, and 88% of the encapsulated calli regenerated after 40 days of storage at 4$^{\circ}C$. The capsule matrix delayed the germination time of the encapsulated calli, yet activated the shoot formation of the artificial garlic seeds. The shoot length of the encapsulated garlic calli was much longer than that of the naked garlic calli. The encapsulated garlic calli were dried in a laminar airflow cabinet and the conversion frequency of the dried artificial garlic seeds on a 1/2 MS medium remained at 93% with a water Loss of Less than 50%.

AlLTPs from Allium species represent a novel class of lipid transfer proteins that are localized in endomembrane compartments

  • Yi, Seung-In;Park, Mee-Yeon;Kim, Ju-Kon;Choi, Yang Do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3호
    • /
    • pp.213-223
    • /
    • 2009
  • Lipid transfer proteins (LTP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plant kingdom, but their functions remain elusive. The proteins AlLTP2-4 were isolated from three related Allium plants: garlic (A. sativum L.), Welsh onion (A. fistulosum L.), and Nanking shallot (A. ascalonicum L.). These novel proteins comprise a new class of LTPs associated with the Ace-AMP1 from onion (A. cepa L.). The AlLTP genes encode proteins harboring 132 common amino acids and also share a high level of sequence identity. Protein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suggest that LTP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distinct groups. The AlLTPs were clustered into the most distantly related plant LTP subfamily and appeared to be restricted to the Allium specie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amino acids existing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Cys residue was suggested as a conserved motif facilitating the categorization of all the LTP-related proteins in the family. Unlike other LTPs, AlLTPs harboring both the putative C-terminal propeptide and N-terminal signal peptide were predicted to be localized to cytoplasmic vacuoles. When a chimeric GFP protein fused with both N-terminal and C-terminal AlLTP2 signal peptides was expressed in rice cells, the fluorescence signal was detected in the endomembrane compartments, thereby confirming that AlLTPs are an unprecedented intracellular type of LTP. Collectively, our present data demonstrate that AlLTPs are a novel type of LTP associated with the Allium species.

마늘(Allium sativum L .) Polyphenol Oxidase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from Garlic(Allium sativum L.))

  • 김동연;이종욱;김양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167-173
    • /
    • 1981
  • 마늘의 갈변현상중(褐變現象中) 효소적(酵素的) 갈변(褐變)에 관여(關與)하는 polyphenol oxidase 조효소액(粗酵素液)을 추출(抽出)하여 그 성질(性質)을 몇가지 조사(調査)하였다. 기질(基質)로서는 여러 phenol화합물(化合物)들을 사용(使用)해 본 결과(結果), diphenol류(類)와 monophenol류(類)는 거의 갈변(褐變)되지 않았으나 triphenol인 pyrogallol, gallic acid는 크게 갈변(褐變)되는 것으로 보아 마늘의 polyphenol oxidase는 triphenol oxidase로 보인다. 이 효소의 최적(最適) pH는 6.5 부근으로 약산성측(弱酸性側)에 있었으며 열안정성(熱安定性)은 $80^{\circ}C$, 5분(分) 가열(加熱)로 90%의 잔존율(殘存率)을 보여 열(熱)에 매우 안정(安定)하였다. Na-metabisulfite는 1mM의 농도(濃度)에서 안전(完全)한 조해(阻害)를 하였고, potassium cyanide, L-ascorbic acid, thiourea순(順)으로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조해(阻害)하였다. $Mg^{2+}$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증가(增加)시켰고 $Cu^{2+}$는 저농도(低濃度)(1mM)에서는 polyphenol oxidase가 활성화(活性化)하는데 비(比)해 고농도(高濃度)(10mM)에서는 조해작용(阻害作用)을 하였다. 마늘의 polyphenol oxidase의 Km치(値)는 0.4mM이었다.

  • PDF

흑마늘의 항산화, 항균 및 항혈전 활성 (Antioxidation,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 정인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5-292
    • /
    • 2014
  • 흑마늘을 이용한 식의약품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생마늘과 흑마늘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산화, 항균, 항혈전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이후 흑마늘 추출물의 순차적 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활성분획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흑마늘의 열수 추출효율은 40.6%로 생마늘의 4배의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고온 숙성과정을 통해 생마늘보다 총 폴리페놀은 4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56배, 총 당 및 환원당은 각각 3.36배 및 6.75배 증가되었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흑마늘 추출물은 DPPH 음이온에 대한 소거능은 생마늘 추출물보다 미약하였으나,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nitrite 소거능은 생마늘 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은 매우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 추출물은 생마늘 추출물에 비해 항균 및 항혈전 활성을 상실한 반면,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은 Staphylococcus aureus 및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세균 활성과 프로트롬빈, 혈액응고인자 저해,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다. 흑마늘 열수 추출물 및 분획물은 적혈구 용혈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이 향후 항혈전 활성을 위한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어류 병원성 세균 공격 후 마늘, Allium sativum 착즙액의 침지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rlic Allium sativum extract immersion on the immune respons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prechallenged with pathogenic bacteria)

  • 우승호;이준희;김이경;조미영;정승희;김진우;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9-20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마늘 착즙액이 어병세균으로 질병에 인위 감염시킨 넙치의 비특이적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한 넙치를 어류 병원성 세균인 Streptococcus iniae BS10과 Edwardsiella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한 후 1일 뒤에 마늘 착즙액을 0.25, 0.5 및 1.0 g/L의 농도로 해수에 현탁하여 2일 간격으로 3회 침지하였다. 공격 주사한 넙치의 면역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체표 점액 lysozyme의 활성, 조직 내 균수의 변화, 혈액 내 세포수의 변화, SOD 활성 및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 iniae BS10으로 공격 주사 후 0.25와 0.5 g/L의 침지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lysozyme의 활성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고, E.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 후 모든 침지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lysozyme의 활성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조직 내 균수에 있어서는 모든 시험구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액 내 세포 수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S. iniae BS10으로 공격 주사 후 마늘 착즙액 0.25와 0.5 g/L의 침지 시험구에서 림프구와 호중구의 유의적인 증가와 함께 모든 시험구에서 호중구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E.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 후 0.25와 1.0 g/L의 침지 시험구에서 림프구의 유의적인 증가, E.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 후 마늘 착즙액 0.25와 1.0 g/L의 침지 시험구에서 림프구의 유의적인 증가와 함께 모든 시험구에서 호중구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침지 시험구 시험어의 혈액, 신장 및 간에서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S. iniae BS10으로 공격 주사 후 침지 시험구에서 혈액과 신장에서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고, E.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 후 침지 시험구에서 신장과 간에서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생존율 시험 결과, S. iniae BS10와 E. tarda KE-1으로 공격 주사 후 0.25 g/L 침지 시험구에서 모두 58% 의 상대생존율을 나타내어 마늘 착즙액 침지가 넙치의 방어능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마늘 착즙액의 유효 성분이 건강한 넙치뿐만 아니라 질병에 걸린 넙치에 대해서도 면역증강제로서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마늘 유전자원의 주요 생리적 특성과 RAPD 페턴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with major physiological characters and RAPD patterns of garlic (Allium sativum L.) germplasm.)

  • 송연상;최인후;장영석;안영섭;조상균;최원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9-147
    • /
    • 2001
  • 세계 각지에서 수집된 마늘 유전자원의 주요 생리적 특성과 RAPD 페턴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84개의 수집마늘의 생리적 특성들에 의한 다변량 해석의 결과 10개의 품종군으로 구분되어졌고 어느 품종군에도 속하지 않은 계통이 9개였다. 조만성은 주로 중국, 일본, 한국에서 수집된 마늘들에서 조생종마늘이 많았고 유럽원산의 마늘들에서는 만생형 품종이 많았으며 RAPD 마커 WE6 $l_{1,630}$과 상당한 관련을 보였다. 이차생장은 거의 대부분의 마늘들에서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동유럽지역 수집종에서 발생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네팔을 중심으로 한 지역종들은 이차생장이 발생하지 않았다. 인편미분화는 유럽원산의 마늘들에서 많은 발생율을 보였지만 표지인자를 찾기는 어려웠다. 추대성은 RAPD마커 WF70$_{1,400}$에서 벤드가 나타난 마늘은 추대종 마늘이었다. 마늘 임성과 관련 된 RAPD 마커 는 WF64$_{1,400}$이 었으며 임성마늘에서 벤드가 나타났다.

  • PDF

생장점배양에 의한 우량마늘 체계적 증식 II 기내 인경 비대에 미치는 질소 및 Sucrose의 영향 (Systematic Propagation of High Quality Garlic (Allium sativum L.) Through Shoot Apical Meristem Culture II. Effects of Sucrose Concentration and Nitrogen Source on In Vitro formation of Bulblets)

  • Lee, Eun-Mo;Lee, Young-Bok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3-200
    • /
    • 1994
  • 마늘 생장점 배양을 통한 효율적인 우량종구 증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기내배양시 유식물체 분화 및 기내인경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식물체 분화는 sucrose 및 질소 공급형태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유식물체의 생장은 NO$_3$-N 공급시 저조하고, NH$_4$-N 및 NH$_4$+ NO$_3$ 공급형태에서 양호하였으며 특히 2차 계대배양시 질소형태를 바꾸워 공급할 경우 더욱 촉진되었다. 기내인경 비대는 NH$_4$-N를 공급하였을 때와 고농도의 Sucrose을 첨가하였을 때 촉진되었으며, 특히 유식물체에 저온처리를 하면 그 효과가 더 상승되었다. 기내배양에서 마늘의 생장에 이용되는 질소형태는 NH$_4$-N 이며, NO$_3$-N을 공급하면 흡수가 거의 되지 않고, $K^{+}$흡수도 저조하였다. Ethylene의 발생은 질소 공급 형태와 관계없이 8% sucrose 고농도에서 더 많이 발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