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kaloid

검색결과 523건 처리시간 0.048초

담배추출물의 알카로이드감소에 미치는 산화제의 영향 (The Effect of Oxidizing Agents on Alkaloid Reduction of Tobacco Extract)

  • 황건중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3-46
    • /
    • 1982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reducing alkaloid in reconstituted tobacco sheet and effluent of reconstituted tobacco sheet manufacturing company by treating oxidizing agents such as ozone, sodium hypochlorite, perchlor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to tobacco extract created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reconstituted tobacco sheet. The effect of alkaloid reduction in tobacco extract by the volume added, time of treatment and pH of oxidizing agen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solid rate of tobacco extract stood at 10 percent, the content of alkaloid, total sugar, total nitrogen and chlorine was 1,600mg/l, 11,000mg/l, 3,200mg/l and 4,000mg/l, respectively. 2. The effect of alkaloid reduction through ozone treatment was in proportion to time of ozone treatment. Alkaloid showed a 31.2 percent reduction under 8 hours' ozone treatment and 0.23g ozone consumed to remove lmg alkaloid. 3. Alkaloid reduction through sodium hypochlorite treatment was influenced by quantity of chlorine in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To remove lmg alkaloid, 36.3mg chlorine was used. Reduction of alkaloid was not affected by time of sodium hypochlorite treatment, while showed the best reaction under pH 5-7. 4. The effect of alkaloid reduction by perchloric acid was under the control of the volume added and time of treatment of perchloric acid. The volume of perchloric acid required to remove alkaloid was on the decrease as time of treatment was getting longer. lmg alkaloid was removed by 0.15g perchloric acid under 8 hours' perchloric acid treatment. 5. Alkaloid reduction reacted slowly to the volume added and time of treatment of hydrogen peroxide. Under 8 hours' hydrogen peroxide treatment, it showed maximum removal, registering 10 percent alkaloid reduction.

  • PDF

Phytohormone Effects with Elicitation on Cell Growth and Alkaloid Production in Suspension Cultures of Eschscholtzia californica

  • Ju, Young-Woon;Kim, Chul;Byun, Sang-Y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4호
    • /
    • pp.238-243
    • /
    • 1993
  • In the suspension cultures of Eschscholtzia californica, phytohormone effects showed that alkaloid production was increased by IAA treatment without kinetin in both volumetric and specific way. Kinetin, however, suppressed alkaloid accumulation. Addition of ethephon inhibited cell growth. However, it enhanced the alkaloid production significantly in both volumetric and specific way. IAA promoted alkaloid production during elicitation. The highest alkaloid accumulation was observed at 5 $\mu$ M of IAA. Ethephon also enhanced alkaloid production during elicitation. The highest alkaloid formation was observed at 460 mg/l of ethephon with elicitation. Elicitation with ethephon, however, altered cell growth and the pattern of benzophenanthridine alkaloids production.

  • PDF

방사선 세포 손상에 대한 인삼 Alkaloid 분획의 보호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Radioprotective Effect of Ginseng Alkaloid Fraction on Cellular Damage)

  • 류성렬;조철구;김미숙;유형준;김성호;김태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95-20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알카로이드 분획 (alkaloid fraction)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Adaptagen의 방사선 방어제로서의 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방사선조사에 의한 마우스 공장 소낭선 세포 손상 및 회복을 측정하고, 마우스 비장임파구 미세핵 측정법을 시험관 내 및 생체에서 실시함으로써 본 제재의 방사선 방어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실험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마우스 공장소낭선세포의 방사선 손상은 대조군에 비해 alkaloid 분획 투여시와 수용성 분획 투여시 공히 감소하였으나, alkaloid 분획 투여시 더욱 현저하였다. 2. 마우스 공장소낭선세포 손상의 회복 및 증식은 대조군에 비해 alkaloid 분획 투여시와 수용성 분획 투여시 공히 현저히 증가하였다. 3. 시험관내 시험에서 방사선에 의한 임파구 미세핵 형성도는 쌍핵세포의 형성율이 낮아 통계학적 의의는 없으나 약제 투여 군에서 빈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alkaloid 분획 투여시 더욱 현저하였다. 4. 생체내 시험에서 방사선에 의한 임파구 미세핵 형성빈도는 대조군에 비해 alkaloid 분획 주여시와 수용성 분획 투여시 공히 감소하였으나 alkaloid 분획 투여시 더욱 현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삼의 alkaloid 및 수용성 분획이 방사선에 의한 염색체 손상을 억제하고 손상된 세포의 회복 (repair) 및 증식 (regeneration)을 촉진하여 방사선 방어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독성이 비교적 없는 자연산생물 (natural products)로서 방사선방어제로 임상에 직접 사용 할 수 있다.

  • PDF

미치광이풀 모상근의 배양조건 구명 및 XAD Resin 처리에 의한 Tropane Alkaloid 생산 (Optimal Culture Conditions and XAD Resin on Tropane Alkaloid production in Scopolia parviflora Hairy Root Cultures)

  • 정희영;강민정;강영민;윤대진;박정동;정영관;최명석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25-530
    • /
    • 2002
  • 멸종위기의 자생식물인 미치광이풀로부터 중요 의약품인 tropane alkaloid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상근의 최적 배양조건 및 XAD를 이용한 물질 생산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다. 모상근은 표면 살균된 지하경을 1.0 mg/1 IBA가 첨가된 B5배지에 배양하여 유도하였으며, 다양한 배양조건에서 생장된 모상근의 hyoscyamine과 scopolamine 함량은 HPLC로 분석하였다. 모상근의 생장에 적합한 배지로는 SH배지로 구명되었고, tropane alkaloid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로는 l/2B5배지로 나타났다. 모상근 생장에 가장 좋은 생장조절제로는 NAA로 나타났으며, 물질생산에는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좋았다. 모상근 생장에 적합한 탄소원으로는 3% sucrose였으며, 물질생산에는 5% scurose가 가장 좋았다. 모상근의 생장에 가장 양호한 접종농도는 0.5 g 였으며, 물질생산에는 1 g 처리구에서 좋았다. XAD 처리는 tropans alkaloid 생산성을 증가시켰으며, 배지내 물질방출을 유도하였으며, 총생산 물질의 50-80%를 회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미치광이풀 모상근 배양을 통한 tropane alkaloid 생산을 위한 생물공정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Agrobacterium spp.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독말풀(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 모상근의 성장과 tropane alkaloid의 생성 (Growth and Tropane Alkaloid Production of Hairy Roots of 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 Transformed by Agrobacterium spp.)

  • 양덕조;강현미;이강섭;김용해;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7-142
    • /
    • 1997
  • 모상근의 성장을 위한 최적배지 및 tropane alkaloids함량을 위한 최적배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독말풀(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의 잎과 줄기에 Agrobacterium spp.spp.를 접종하였다. 접종된 균주 중 모상근의 유도에 효과적인 균주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textrm{A}_{4}$ T와 A rhizogenes ATCC 15834이었다. SH (Schenk and Hildebrandt, 1972) 액체배지에서 선발된 23개의 clone중 성장이 양호한 clone은 DTLA9 이었으며, tropane alkaloids의 함량이 양호한 clone은 DTLE6 이었다. 이들 두 종류의 세포주를 9종류의 서로 다른 액체배지에 각각 배양하여 성장 및 tropane alkaloids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상근의 성장은 두 세포주 모두 SH와 MS배지(SH > MS배지순)에서 다른 7개의 배지에서 보다 양호하였다. 한편, tropane alkaloids의 함량은 두 세포주 공히 GD와 B5 배지(GD > B5배지순)에서 다른 7개의 배지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SH배지에서 모상근을 성장시킨 후, GD배지에 옮겨 2단계 연속배양하면 tropane alkaloids의 함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잎담배의 성숙촉진 및 Alkaloid 함량에 미치는 2-Chloroethylphosphonic Acid의 효과 (Effects of 2-Chloroethylphosphonic Acid on Ripening and Total Alkaloid Content of Tobacco Leaves.)

  • 문두길;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43-48
    • /
    • 1972
  • CEPA를 답전작 및 우기전에 수확이 가장 빨리 촉진되면 또 니코친 함량이 저감되는지를 알고저 Yellow Special A 품종을 공시하여 적심 직후해당 농도의 CEPA 수용액을 살포한 후 일정기간을 두고 수확하여 처리수준별 성숙도 및 전 alkaloid함량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잎담배 성숙에 미치는 효과가 컸으며 그 효과는 처리 후 6-11일간에 있어서 현저하였다. 2) CEPA는 엽표면에만 처리해도 효과가 있으며 성숙촉진효과는 처리부분에 있어서 더욱 뚜렷하였다. 3)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잎담배의 전 alkaloid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 효과는 성숙촉진작용후에 더 크게 나타났다. 4) CEPA의 성숙촉진작용은 성수기에 가까운 하부엽에서 컸고 alkaloid 축적억제작용은 반대로 숙기에 도달하지 않은 상부엽에서 컸다. 그러나 적기수확엽에 있어서는 축적억제효과가 부위에 관계없이 같았다. 5) CEPA 처리는 수량에 변화를 주지 않았으며 시용 적정농도는 500-2,000ppm 사이라고 느껴졌다. 6) CEPA의 성숙촉진 및 alkaloid 합성억제작용의 기구에 관하여는 금후 더욱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 PDF

캘리포니아 양귀비(Eschscholtzia californica) 현탁세포배양에서 전구체가 알칼로이드 생성에 미치는 영향 (Precursor Feeding Effects of Alkaloid Production in Suspension Cultures of Eschscholtzia californica)

  • 주영운;김철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8권5호
    • /
    • pp.488-494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캘리포니아 양귀비(Eschscholtzia californica) 현탁배양세포의 주요 이차대사산물인 benzophenanthridine alkaloid의 생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생합성 전구체인 tyrosine, tyramine, dopamine 그리고 L-dopa를 exponential phase 말기에 투여하였다. 그리고 이때 yeast elicitor와 전구체를 동시에 투여한 것과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적당량의 전구체 투여시 benzophenanthridine alkaloid의 생성은 대조구(무처리)에 비해 증가하였다. 그리고 elicitor와 전구체를 동시에 투여해 주었을 때 대조구(elicitor만 처리)에 비해 상당히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elicitor에 의해 유도된 이차대사 관련 효소에 의해 전구체의 biotransformation이 촉진된 것이라 생각된다. 이와 같이 전구체 투여에 의해 이차대사산물의 생성을 증가시키려 할 때 전구체만 투여하는 것보다는 촉진제를 동시에 투여함으로써 최종산물의 생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식물세포배양의 산업화에 유용하게 이용되리라 생각된다.

  • PDF

Elicitation and In Situ Recovery of Alkaloids in Suspension Cultures of California Poppy

  • Byun, Sang-Yo;Pedersen, Henr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220-226
    • /
    • 1991
  • Large and rapid increases in benzophenanthridine alkaloid production occured in suspension cultures of Eschscholtzia californica cells treated with elicitors. Response to different biotic elicitors showed that elicitors prepared from yeast extract, Collectotrichum lindemuthianum and Verticillium dahliae induced alkaloid formation. Highest alkaloid accumulation was obtained with $60\;\mu\textrm{g}$ of yeast extract elicitor per gram of fresh cell weight. In time course performance after elicitor addition, more than 40 hours were required to obtain saturated alkaloid accumulation. Compounded silicone fluid, an ideal accumulation phase for two-phase culture of E. californica, accumulated a large amount of alkaloids produced in a specific manner. Elicitation in two-phase culture clearly increased net alkaloid production as well as their concentrations in the accumulation phase.

  • PDF

Bio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etabolic Engineering of Benzylisoquinoline Alkaloid Biosynthesis

  • Peter J. Facchini;Park, Sang-Un;David A. Bird;Nailish Samanani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69-282
    • /
    • 2000
  • Benzylisoquinoline alkaloids are a diverse group of natural products that include many pharmacologically active compounds produced in a limited number of plant families. Despite their complexity, intensive biochemical research has extended our knowledge of the chemistry and enzymology of many important benzylisoquinoline alkaloid pathways, such as those leading to the analgesic drugs morphine and codeine, and the antibiotics sanguinarine and berberine. The use of cultured plant cells as an experimental system has facilitated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re than 30 benzylisoquinoline alkaloid biosynthetic enzymes, and the molecular cloning of the genes that encode at least 8 of these enzymes. The recent expansion of biochemical and molecular technologies has creat-ed unique opportunities to dissect the mechanism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benzylisoquinoline alkaloid biosynthesis in plant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product accumulation is controlled by the developmental and inducible regulation of several benzylisoquinoline alkaloid biosynthetic genes, and by the subcellular compartmentation of biosynthetic enzymes and the intracellular localization and trafficking of pathway intermediates. In this paper, we review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biochemistry, cell biology, and molecular regulation of benzylisoquinoline alkaloid biosynthesis in plants. We also summarize our own research activities, especially those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protocols for the genetic transformation of benzylisoquinoline alkaloid-producing species, and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engineering strategies in these plants.

  • PDF

목포, 남원, 예산지방 Burley 엽중 형별질소의 경향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f some Forms of Nitrogen in burley Tobacco Leaf Cultivated in Mokpo, Namwon and Yaesan District.)

  • 김신일;김찬호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0-126
    • /
    • 1979
  • 목포, 남원, 예산지방에서 각각 재배한 Burley 엽중의 nitroate form nitrogen, alkaloid form nitrogen, ammonia form nitrogen, protein form nitrogen과 form nitrogen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Total nitrogen 중에서 protein form nitrogen이 차지하는 비율이 30-33%로써 가장 높았고, nitrate form nitrogen이 10∼23%, alkaloid form nitrogen이 8∼16%, ammonia form nitrogen이 6∼9%, 그리고 amide form nitrogen이 2∼2%였다. Nitrate form nitrogen의 함량 비율은 예산, 남원, 목포 순으로 증가하는데 반하여 alkaloid form nitrogen은 반대되는 현상을 보였다. 등급에 따라서는 alkaloid form nitrogen과 ammonia form nitrogen의 함량 비율의 순위는 H5>3>L1>3>5이였으며 nitrate form nitrogen은 이와 반대되는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