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검색결과 858건 처리시간 0.026초

발생중의 무당개구리 前賢 및 中賢의 Alkaline Phosphatase활성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Developing Pronephros and Mesonephros of the Frog Bombina orientalis)

  • Jae Chung Hah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77-184
    • /
    • 1974
  • 발생중의 무당개구리에서의 전신 및 중신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Gomori 변법을 써서 관찰하였다. 전신 분비세관의 분화와 함께 세관 刷子綠에 출현한 alkaline phosphataseghkf성은  蓋완성기에 최고도에 달하였다가 제3후지 형성기에 전신의 퇴화와 함께 효소활성은 감소 소실되었다.  蓋완성기에 출현한 중신세관에서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변태기를 통하여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 PDF

지속적 및 간혈적 가압력이 MC3T3-E1 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compressive pressure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MC3T3-E1 cells)

  • 송혜섭;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9-454
    • /
    • 1996
  • 교정력에 의한 치아이동은 세포반응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에 힘의 양상에 따른 세포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MC3T3-E1 세포를 24well 배양접시에 배양한 후 밀생상태가 되었을 때, incubator 속의 특수 제작된 사각상자에 배양 접시를 넣고 타이머에 연결된 Diaphram pump를 이용하여 $300gm/cm^2$의 압력을 10분간 가압후 10분간 가압이 중지되도록 한 간헐적 가압군과 지속적으로 가한 가압군으로 하여 각각 실험 24시간, 48시간, 72시간후의 alkaline phosphatase활성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압 24시간 후에서는 각 군간에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가압 48시간 후에서는 간헐적 가압군과 지속적 가압군 모두 대조군 보다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가 증가 되었다. 3. 가압 72시간 후에서는 간헐적 가압군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 증가가 대조군에 비하여 더욱 현저하였으나 지속적 가압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가압 72시간 후에서는 간헐적인 가압군이 지속적인 가압군에 비하여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도가 증가되었다. 5. 가암에 의한 세포의 뚜렷한 형태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인산에 의한 토끼 혈장 Alkaline Phosphatase의 Phosphotyrosyl Phosphatase 활성 저해 (Inorganic Phosphate Has the Inhibitory Effect on Phosphotyrosyl Phosphatas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in Rabbit Plasma)

  • 이경태;서성훈;김동현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2-65
    • /
    • 1999
  • Inorganic phosphate (Pi) in rabbit plasma was found to block completely phosphotyrosine phosphatase (PTPase) activity without affecting the alkaline phosphatase (ALPase) activity. Our results provided that (1) PTPase activity and inhibitor are separated after G-25 gel-filtration. (2) This inhibitor is heat stable and trypsin-resistant and it can be removed by dialysis using 3 Kd cut-off tubing. (3) The elution pattern of the inhibitor is identical to that of Pi, and by performing a seperate run with inorganic phosphate. (4) The PTPase activity was recovered following an incubation with $CaCl_2$ (10 mM).

  • PDF

호르텐스극구흡충에서 Alkaline Phosphatase 및 Acid Phosphatase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 in Echinostoma hortense)

  • 양용석;김인식;임지애;강성구;박주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9-129
    • /
    • 1999
  • 호르텐스극구흡충 성충 (adult worm)을 재료로 하여 acid phosphatase (Acp)와 alkaline phosphatase (Alp)의 조직 세포에 대한 분포 및 동위효소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Gomori lead nitrate 및 Gomori calcium방법 그리고 전기영동법 등을 시행하였다. 조직 내의 Acp및 Alp의 분포는 충체의 소장 (intestine)과 난황선 (vitellaria)그리고 인두 (pharynx)에서 강한 반응을 나타냈다. 동위효소 유형은 Acp에서 179.5 및 209.4 kDa 두 개의 분획이 분리되었고, Alp는 145.9, 207.5 및 220.8 kDa의 세 개의 분획이 분리되었다. 열에 대한 안정도는 Alp가 9$0^{\circ}C$에서 12초경과 후에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으며, Alp의 최적 온도 및 pH는 4$0^{\circ}C$와 pH 9이었고 Acp의 치적 pH는 5였다. 그리고 Acp및 Alp의 최대 활성도 (unit)는 Acp가 71 범위였고, Alp는 189의 범위에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호르텐스극구흡충은 phosphatase가 소화관과 난황선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숙주 체내에서 소화관을 중심으로 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홍모기(Culex pipiens pallens)의 난성숙 과정 중 alkaline phosphase의 활성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from the Mosquito, Culex pipiens pallens)

  • 이영수;이승훈;박영민;성기창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25-432
    • /
    • 1993
  • Culex pipiens pallens에 존재하는 Alkaline phosphatase의 연구를 위한 적정 분석조건과 우화 후, 시간 경과에 따른 Alkaline phosphatase 활성 경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C. pipiens에 존재하는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우화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흡혈 자극에 의해서 급격하게 증가한다. 흡혈 후 30시간이 경과했을 때, 최대의 활성도를 보이고 감소하나, 흡혈 48시간 이후에는 다시 증가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기관별 분석에서 첫번째 활성 증가는 중장에서 일어나고, 두번째 활성 증가는 난소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흡혈 후 30시간된 성체에서는 5개의 동위효소 밴드가 보이는데, 난소에서 ALP-1와 ALP-2가 나타나고, 가슴에서는 ALP-3, ALP-4와 ALP-5가 보인다. 지방체에서는 ALP-4와 ALP-5가, 중장에서는 ALP-3, ALP-4와 ALP-5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흡혈 후 72시간된 성체에서, ALP-1, ALP-2가 동일하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 PDF

魚類消化管의 Alkaline Phosphatase 活性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Digestive Tracts of Fishes)

  • 하재청;김국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67-176
    • /
    • 1974
  • 著者들은 3種의 어류를 재료로 하여, 咽頭, 食道, 胃, 前場部 및 後場部 alkaline phosphatase의 分布상태를 비교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꾸리, 가물치의 咽頭上皮 細胞層에서 중등도의 alkaline phosphatase 양성반응을, 미꾸리와 뱀장어의 食道上皮의 基底細胞層에 증등도의 양성반응을 보였다. 2. 上記 全 魚類의 咽頭, 食道, 腸管膨大部 및 腸粘膜의 杯狀細胞와 胃腺細胞에서는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3. 腸管膨大部 및 腸上皮 유리연에 강한 alkaline phosphatase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미꾸리의 後場部의 上皮유리연에서는 미약한 반응을 보였다.

  • PDF

한우(韓牛)의 혈청(血淸)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活性度)에 관(關)하여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Korean Cattle)

  • 용만중;남치주;정창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1-143
    • /
    • 1971
  •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determined with 64 Korean cattles in different sexe and age groups, using p-nitrophenylphosphate as the substrat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Korean cattle was $1.78{\pm}0.21$ Bessey-Lowry units/ml, and $1.71{\pm}0.21$ units/ml. in female and $1.86{\pm}0.21$ units/ml. in male, respectively. 2.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decreased with age from 4 years group. 3.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recognized among the sexes, but difference among the age groups was found to be highly significant.

  • PDF

홍화자와 두충 혼합 추출물이 MG-63 조골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n the Extract of Carthami Semen and Eucommiae Cortex in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 심재근;이재혁;여명구;박정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3
    • /
    • 2013
  • Carthamus tinctorius L. and Eucommia umoides Oliver are often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for reducing damage to the liver, kidney, bone and muscl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cell viability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with methanol extracts of Carthami Semen (CS) and Eucommiae Cortex (EC) alone or in a mixture (CS+EC). Osteoblast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MTS assay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s. The cell viability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MG-63 osteoblast cells treated with the CS+EC mix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e CS+EC mixture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bone health through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 cells.

鷄胎賢의 Alkaline Phosphatase, PAS-陽性物質 및 燐脂質의 分布에 관하여 (Distribution of Alkaline Phosphatase, PAS-Positive Materials and Phospholipid in the Kidney of the Developing Chick)

  • 하재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7-84
    • /
    • 1969
  • 著者는 白色레그혼의 種卵을 孵化시켜 얻은 鷄胎中 賢과 後賢에 있어서의 alk. p., PAS-陽性物質 및 燐脂質의 消長과 局在位置의 變異를 組織化學的 方法으로 追究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分泌尿細管의 器官形成에 앞서 未分化 間葉組織內에 强한 alk. p. 活性이 出現하였으며 同活性은 分泌尿細管의 分化와 함께 消失하였다. 2. 中賢 및 後賢 分泌尿細管의 分化와 함께 alk. p. 및 PAS-陽性物質은 分泌尿細管의 刷子綠에 强陽性反應을 보였다. 3. 中賢 및 後賢 分泌尿細管의 細胞質과 刷子綠은 强한 燐脂質 陽性反應을 띠었다. 4. 造賢組織의 分化中 未分化 間葉組織에 alk. p. 活性이 出現하였다가 組織의 分化와 함께 消失된 事實에서 보아 alk. p. 는 組織分化에 關與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5. 中賢 및 後賢 分泌尿細管의 刷子  에 있어서 alk. p. 와 PAS-陽性物質 및 燐脂質의 變異와 分布狀態가 一致한 것으로 보아 alk. p. 는 炭水化物의 再吸收 및 燐脂質代謝에 關與하는 것으로 思料된다.

  • PDF

發情週期에 EK른 생쥐子宮의 Phosphatase 活性의 變化에 관하여 (Changes in Phosphatase Activity of the Mouse Uterus during the Estrous Cycle)

  • Kim, Moon-Kyoo;Kim, Sung-Rye;Cho, Wan-Ky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1-68
    • /
    • 1980
  • 발정주기에 EK라서 생쥐자궁의 alkaline phosphatase와 transport ATPases의 활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발정주기의 각 시기에 있어서 이 효소활성들의 비율은 대체로 그 양상이 서로 비슷하나, 발정기의 $K^+$-dependent와 $Na^+, K^+$-activated ATPases를 제외한 다른 효소들의 활성은 다른 어떤 시기보다도 유의하게 (p<0.025) 높았다. 즉, $K^+$-dependent와 $Na^+, K^+$-activated ATPases의 활성은 발정간기에서 발정기에 이르는 동안 무시할 정도이고, 다만 발정후기에 약간의 활성(0.04$\\sim$0.05 $\\mu$M/mg protein/hr), 총활성의 6$\\sim$7%)이 나타났다. 한편, 발정기에서 $Mg^++$-dependent phosphatase, transport ATPase와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들은 급속히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각각 0.69(35%), 0.42(21%), 1.58(79%)였다. Alkaline phosphatase는 전 발정주기를 통해 0.60$\\sim$1.58(79$\\sim$90%)의 활성을 보여 그 주종을 이루었다.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중에는 $Mg^++$-dependent의 것이 총활성의 12$\\sim$16%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K^+$-dependent와 $Na^+$-activated ATPases는 발정기 때에 자궁액의 누적을 조절하는 요인이 아니고 발정후기에는 자궁상피 속으로 내액을 재흡수하는 요인인 것으로 짐작되며, EH한 $Mg^++$-dependent phosphatase, transport ATPase 그리고 alkaline phosphatase는 생쥐의 자궁 상피세포에서부터 내액을 분지하는 데에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