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kali extraction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7초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균사체의 기능성 다당류 최적 추출방법 및 항암효과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and Anticancer Effect of Functional Polysaccharide from Mycelia of Grifola frondosa)

  • 박찬호;이경민;남은정;유연희;김용현;권현정;윤옥현;한만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1-187
    • /
    • 2012
  • Grifola frondosa has been used as an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diabetes mellitus and high blood pressure. In this study, functional polysaccharide was obtained from Grifola frondosa using fou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hot water(HwFP), homogenize(HgFP), acid(AcFP), and alkali(AlFP) extraction methods. The effects of these extracts on KB and HepG2 cell lines were then examined for any anti-cancer activity. Alkaline extraction produced a yield of 0.175% and the total sugar content of the extract was 54.97%.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polysaccharide extracts from the mushroom produce an anti-cancer effect. The cytotoxicity of AlFP and AcFP against HepG2 cells were 22.86% and 28.88%, respectively, and the cytotoxicity of AlFP against the KB cell lines was 47.76% at a concentration of 1,000 ${\mu}g/m{\ell}$.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method for extracting functional polysaccharides from G. frondosa is the alkali extraction method.

추출 용매 및 효소 전처리 방법에 따른 포피란과 헤미셀루로오즈의 특성 (Properties of Porphyran and Hemicellulose extracted with Different extract Solutions and Enzymatic Pretreatments from Porphyra)

  • 안세라;구재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1호
    • /
    • pp.108-117
    • /
    • 2017
  • 김은 우리의 주요한 식품 자원으로 단백질 함량과 탄수화물의 함량이 매우 높다. 김에는 다량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이 존재한다. 특히 탄수화물에는 isofloridoside과 floridoside 등의 유리당 뿐 아니라 3,6-anhydro-L-galactose와 ester sulfate 등을 함유한 porphyran과 xylose, mannose로 이루어진 hemicellulose가 함유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출 방법에 따른 porphyran과 hemicellulose의 추출, 분리 조건을 검토하기 위해 열수, 묽은 산, 알칼리로 추출한 추출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율은 열수 추출이 가장 높았고, 총당 함량은 묽은 산 추출이, 단백질 함량은 알칼리 추출이 가장 높아 열수와 묽은 산 추출에 의해 수용성 다당인 포피란이 효율적으로 추출되었으며 묽은 산으로 추출시 단백질의 함량이 적었다. 알칼리 추출 조건에서는 포피란의 추출이 적었으나 단백질이 다량 동시에 추출되었고 mannan은 추출되나 xylan은 추출되지 않았다. 효소 가수분해(Protamex, Flavourzyme, Alcalase, Viscozyme) 후 열수 추출한 수용성 다당의 수율은 효소 처리 시료가 34.3-39.1%로 효소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Flavourzyme 가수분해가 단백질 제거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효소 처리한 수용성 다당의 점도가 저하하였고 의가소성 유체 특성을 나타내었다. 효소 처리 후 열수 추출하고 남은 잔사를 알칼리 추출한 경우 mannan의 함량은 protease인 효소 처리 시료가 Viscozyme 처리한 시료에 비하여 높았다. 반면에 Viscozyme 처리 후 알칼리 추출한 경우는 xylose의 추출 함량이 증가하였다.

산화리튬의 치환에 따른 붕규산 유리의 분상에 관한 연구 (The Phase Separation of Low Alkali Borosilicate Glass by Substituting $Li_2O$ for $Na_2O$)

  • 양중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4
    • /
    • 1981
  • The phase separation of low-alkali borosilicate glass with the composition of $6.25Na_2O$.$18.75B_2O_3$.$75.00SiO_2$(mole%) substituting $Li_2O$ for $Na_2O$ was studied. The phase separation in the temperature range of transformation was examined with various heating temperatures and soaking times. Durability to water, thermal expansion and specific density of the specimen were investigated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separated phase was also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techniques. The maximum alkali extraction result with the best phase separation effect was obtained when $Na_2O$ of the base glass was replaced with $1.88Li_2O$ (mole %) and electron micrograph of carbon film replica of $1.88Li_2O$$4.37Na_2O$.$18.75B_2O_3$.$75.00SiO_2$ (mole %) glass showed that the glass consisted of homogeneous two phases. The minimum specific density was shown with the specimen treated at 57$0^{\circ}C$ and it was also shown that the longer the treating time the lower the specific density.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ies of approximately 45 kcal/mole by the alkali extraction and 43kcal/mole by the thermal expansion method were derived from the Arrhenius plots, respectively.

  • PDF

Mono-Crown Ether와 Bis-(Crown Ether)s를 이용한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Alkali Metal and Alkaline Earth Metal Cations Using a Mono-Crown Ether and Bis-(Crown Ether)s)

  • 신영국;김해중
    • 분석과학
    • /
    • 제10권1호
    • /
    • pp.60-65
    • /
    • 1997
  • mono-crown ether(benzo-15-crown-5)와 benzo-15-crown-5를 포함한 bis-(crown ether)s(ethylenediamine bis(4'-formylbenzo-15-crown-5))에 의한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의 용매추출을 $25^{\circ}C$, 물-클로로포름계에서 조사하였다. mono-crown ether와 bis-(crown ether)s를 사용한 경우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에 대한 추출평형상수($K_e$)와 착물형성상수($K_c$)의 크기 순위는 각각 Ca(II)>Na(I)>Sr(II)>K(I)>Mg(II)>Rb(I)와 Sr(II)>Ca(II)>K(I)>Rb(I)>Mg(II)>Na(I) 순으로 증가하였다. 이들 크기 순위는 금속 양이온의 크기 및 전자밀도효과로서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mono-crown ether에 비해서 bis-(crown ether)s를 사용한 경우 금속양이온들에 대한 추출효율이 좋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알칼리 용출법에 의한 폐광산 광미중의 비소제거에 관한 연구 (Removal of Arsenic From Closed Mine Tailings by Alkali-Leaching Method)

  • 이재령;오종기;이화영;김성규;박재구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3-79
    • /
    • 1997
  • 알칼리용출법을 사용하여 폐광산 광미로부터 비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시료는 오래전에 폐광된 폐광산인 다덕광산 및 유천광산에서 채취한 광미를 사용하였으며, 알칼리용출액으로는 가성소다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알칼리용출후 용액중의 비소 성분은 칼슘비소화합물 형태의 불용성 침전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제거할수 있었다. 실험결과 침출조건에 따라 약 60∼90%의 비소침출율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0.5N이상의 가성소다 농도에서는 침출율에 대한 온도 및 슬러리 농도의 영향이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회 용출시 소모되는 알칼리 양이 별로 크지 않기 때문에 0.5N이상의 가성소다 용액을 사용할 경우 용출액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소 침전실험 결과 침출액에 대하여 2wt% 염화칼슘을 첨가함으로써 침전시간 10분이내에 99%이상의 비소 침전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쌀귀리 단백질의 알칼리 추출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Alkali Extraction for Preparing Oat Protein Concentrates from Oat Groat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용선;김정원;이의석;길나영;김산성;홍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462-1466
    • /
    • 2014
  • 알칼리 추출법을 이용하여 쌀귀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고 추출수율을 최적화하기 위한 알칼리 농도 조건 및 침전 pH 조건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추출수율은 추출용매인 알칼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침전 pH 4.9 부근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알칼리 농도가 침전 pH에 비하여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 추출 공정으로 얻어진 귀리 단백질 농축물의 질소용해지수는 등전점 부근인 pH 5에서 최소값을 나타내었고, pH 3 이하, pH 7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알칼리 추출 공정의 최적화를 위한 회귀분석 결과, 알칼리 농도 0.06 N, 침전 pH 4.7에서 최대 수율 85.89%로 예측되었으며 예측모델식과 실제 측정값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설계된 실험모델식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들은 알칼리 추출법을 이용한 귀리 단백질 추출 시 알칼리 농도와 침전 pH가 각기 다름을 보였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귀리 단백질 농축물 제조를 위한 알칼리 추출 공정의 최적 조건은 알칼리 농도 0.06 N, 침전 pH 4.7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연산-초산-유산계에서 구연산의 반응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ctive Extraction of Citric Acid in Citric-acetic-lactic Acid System)

  • 이한섭;강안수
    • 공업화학
    • /
    • 제5권1호
    • /
    • pp.90-98
    • /
    • 1994
  • 구연산-초산-유산계에서 구연산의 반응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추출제로 2급과 3급아민 및 용매화추출제를, 용매로 n-butylacetate, MIBK, kerosine 및 xylene 등을, modifier로서 tributyl-phosphate(TBP)와 isodecanol이 이용되었다. 그 외에 수용액상의 pH와, 온도의 영향을 연구하였고 평형상수도 얻었다. NaOH, $Na_2CO_3$$K_2HPO_4$ 알칼리 수용액에 의한 재추출 실험도 하였다. 실험결과 구연산의 추출에서 2급아민인 di-isotridecylamine(DITDA)이 추출도와 선택성에서 가장 좋았고 용매로서는 n-butylacetate가, modifier로서는 TBP가 우수하였다. 이외에도 수용액의 pH와 추출계의 온도가 낮을수록 추출도가 높았다. 재추출도는 stripping상의 염기도와 온도가 낮을수록 높아졌고 알카리 농도가 커질수록 높아졌다.

  • PDF

Quantification of Karanjin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n Raw and Detoxified Karanj (Pongamia glabra vent) Seed Cake

  • Prabhu, T.M.;Devakumar, C.;Sastry, V.R.B.;Agrawa, D.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416-420
    • /
    • 2002
  • Various products of karanj (Pongamia glabra) are utilized for industrial, health and animal agriculture applications in the Indian subcontinent. Despite a rich source of protein (CP, 28-34%), karanj cake was found to be slightly bitter in taste and toxic owing to the presence of flavonoid (Karanjin), restricting its safe inclusion in the livestock diets. Feeding trials with raw cake revealed its poor palatability and adverse performance among different categories of livestock including poultry.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aimed to detoxify karanj cake by various physico-chemical methods like solvent extraction, water washing, pressure cooking and alkali and acid treatments. The level of residual karanjin in raw and variously processed cake was quantifi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raw expeller karanj cake was found to contain about 0.19% of karanjin. Though a non-polar solvent, soxhlet extraction of expeller pressed cake with petroleum ether drastically reduced karanjin content (0.01%). Soaking of cake for 24 h in 1% NaOH (w/w) solution was found to reduce karanjin to a major extent with little further benefit by increasing alkali level. Milder alkalies like lime and fertilizer grade urea reduced the karanjin levels marginally. Similar was the case with mineral acids such as HCl and glacial acetic acid. It was, therefore, concluded that solvent extraction of karanj seeds would be the best method of detoxification as well as for more recovery of oil and karanjin.

Effect of Crown Ring Size and Upper Moiety on the Extraction of s-Block Metals by Ionizable Calixcrown Nano-baskets

  • Mokhtari, Bahram;Pourabdollah, Kobr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1호
    • /
    • pp.3979-3990
    • /
    • 2011
  • Eight ionizable nano-baskets of cone 25,26-di(carboxymethoxy)calix[4]arene-crown-3,4,5,6 were synthesized and were verified by $^1H$ and $^{13}C$ NMR spectroscopy, IR spectroscopy and elemental analysis. The competitive solvent extractions of alkali and alkaline earth metal cations were studied using such nano-baskets. The novelty of this study is including three binding units of calixarene's bowl, crown ether's ring and electron-donor ionizable moieties in a unique scaffold to assess the binding tendency towards the cations.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study the extraction efficiency, selectivity and $pH_{1/2}$ of such complexes. The result of solvent extraction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se compounds were effective extractants of alkali and alkaline earth metal cations. Their selectivit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acidity of solution and the conformations of the calixcrown. One conformer was selective to $Na^+$ in pH ${\geq}$ 4, while the other was highly selective to $Ba^{2+}$ in pH 6 and upper.

혼합 하드우드 칩으로부터 녹액(Green Liqour)선-펄핑추출 공정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Green Liquor Pre-Pulping Extraction of Mixed Hardwood Chips)

  • 엄병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5호
    • /
    • pp.561-56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헤미셀룰로오스의 회수 목적으로 혼합 하드우드 칩을 크라프트(kraft) 펄핑공정 전에 녹액(green liquor)으로 선-펄핑추출(pre-pulping extraction)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녹액은 황화나트륨과 탄산나트륨이 주요 성분이며, 이 녹액에 목재 건조 질량당 0, 1, 3, 5%의 알칼리($Na_2O$)를 각각 충진하였다. 가혹 조건에 따른 선-펄핑추출액의 구성 성분을 알아보기 위해 추출은 반응시간은 1~2 h로 달리하면서 $160^{\circ}C$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펄핑추출공정은 헤미셀룰로오스 추출시간과 녹액 주입 정도의 가혹도(severity)에 따라서 하향류 공정(downstream process)에서 활용 가능한 아세트산(acetic acid)과 단당류 농도, 그리고 유기산과 퓨란(furan)과 같은 분해 생성물의 축적 정도가 변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알칼리 주입 양이 증가할수록 헤미셀룰로오스에 존재하는 아세테이트(acetate)의 곁사슬과 용해성 및 리그닌의 양은 증가하지만, 추출액에서 탄수화물과 당류는 상당히 감소하였다. 특히 고온수(hot water)로 추출(알칼리 주입 0%)하는 경우 29.80 g/L 이상의 가장 많은 양의 탄수화물이 추출되었으나, 펄프 수율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또한 3% 녹액의 추출은 펄프 수율은 증가하였으나 당은 7.08 g/L로 많은 양이 감소하였다. 이 논문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크라프트 펄핑공정에 추출공정 통합을 위한 헤미셀룰로오스 추출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