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ien plants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초

해명산(인천광역시 석모도)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및 주변 산림의 침입외래식물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round Haemyeong Mt. (Seokmodo, Incheon) and the Comparison of Invasive Alien Plants in Surrounding Forests)

  • 이종원;이진동;백원기;윤호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01-241
    • /
    • 2022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석모도에 위치한 해명산 일대의 관속식물상과 해명산 일대 및 주변 산림 지역 14곳의 침입외래식물을 비교하여, 조사된 식물들의 모니터링 체계구축과 생물다양성의 증진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9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해명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총 107과 382속 616종 15아종 55변종 8품종 694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641분류군의 약 14.95%가 해당된다. 석모도 해명산 일대에서 조사된 한반도북방계식물은 81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해명산에서는 애기닭의장풀 등 6분류군, 낙가산에서 은사시나무 등 4분류군, 상봉산에서 닥나무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V은 총 79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V등급은 솔붓꽃 1분류군, IV등급은 큰쐐기풀, 돌갈매나무 등 5분류군, III등급은 노랑하늘타리, 선갈퀴 등 1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염생식물은 총 37분류군으로 해안·사구식물이 19분류군, 암반식물 2분류군, 비염생식물이 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해명산 일대에서 관찰된 침입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달맞이꽃 등 6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석모도 및 주변지역 14곳에서 출현한 침입외래식물은 126분류군이고, 전체 126분류군 중에서 14곳 전체에서 출현한 식물은 개망초, 돼지풀, 망초, 미국쑥부쟁이 등 7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40%에 육박하는 48분류군이 일부 지역에서만 출현하였으나, 향후 확산이 불가피해 보인다. 따라서 석모도 해명산 일대의 특기할만한 식물 등 자생식물에 대한 중장기적인 보전방안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관리 대책을 조속하게 수립해야 할 것이다.

A New Record for Invasive Alien Plant Ranunculus sardous Crantz (Ranunculaceae) in the Republic of Korea

  • Sun, Eun-Mi;Kim, Hye-Won;Lee, Kang-Hyup;Kim, Hee Soo;So, Dong Ch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52-757
    • /
    • 2019
  • The establish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management is widely recognized as a pivotal issue in the preservation of biodiversity. Ranunculus sardous Crantz, a species native to Europe, has been widely introduced in many other areas of the world, including the coasts of the United States, Australia, China, India, and Japan. In Korea, the first population of this plant was found growing adjacent to a wetland in Hanon, Seogwipo-si, Jeju Province, on 22 May 2018. Field observations confirmed the presences of at least two populations of this species in Jeju Province, Korea. This species is similar to Ranunculus sceleratus L., but can be readily distinguished by its presence of the trichomes in the whole plant, longer petioles of radical leaves, ovate-shaped leaf segments, globose to subglobose-shaped fruits and flat achenes with narrowly winged and papillae. The Invasive Alien Plant Risk Assessment (IAPRA), a system for recognizing and categorizing alien plants in Korea forests, was used to assess the invasiveness status of the species. Based on this system, R. sardous received a low score of 6, suggesting its potential invasion to natural forests. Although the current distribution of R. sardous is restricted to Jeju Province and thus far has had limited impact on local environments, local and regulatory authorities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is plant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its further expansion.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Yongyangbo Wetlands

  • Cho, Kwang-Jin;Paik, Weon-Ki;Lee, Jeonga;Lim, Jeongcheol;Lee, Changsu;Chu, Yeounsu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3호
    • /
    • pp.153-165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wetland ecosystems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and the management of Yongyangbo wetlands in South Korea. Yongyangbo wetlands have been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across five sessions between April 2019 and August of 2019. A total of 248 taxa were identified during the survey, including 72 families, 163 genera, 230 species, 4 subspecies, and 14 varieties. Their life-forms were Th (therophytes) - R5 (non-clonal form) - D4 (clitochores) - e (erect form), with a disturbance index of 33.8%. Three taxa of rare plants were detected: Silene capitata Kom. and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known to be endangered species, and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 least-concern species. S. capitata is a legally protected species designated as a Class II endangered species in South Korea. A total of 26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with a naturalization index of 10.5%. There was one endemic plant taxon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In terms of floristic target species, there was one taxon in class V, one taxon in Class IV, three taxa in Class III, five taxa in Class II, and seven taxa in Class I. Three invasive alien species (Ambrosia trifida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were observed. For continuous conservation of Yongyangbo Wetlands, it is necessary to remove invasive alien plants and block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ants.

국가중요농어업유산 의성 전통수리농업시스템 소류지의 식물상 및 분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Distribution in Uiseong Traditional Irrigation System Reservoirs as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 차두원;위사양;이준영;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9-84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 Uiseong Traditional Irrigation Agricultural System by identifying plant diversit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e total number of plant taxa was identified as 88 families, 250 genera, 368 species, 7 subspecies, 9 varieties and 384 taxa. In the case of life form, the domancy form was in the therophytes(th), the radicoid form was a R5(monophyte), the disseminule form was the gravity D4(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and the growth form was the erect form was high. The number of plant taxa by land use type was higher in mountainoustype reservoirs and plain type reservoirs than other land use types. The distribution of plants by land use type according to the hemeroby grade was plantation in the case of 3 grade(meso-hemeroby) forests, and the understory were mainly photophilic plants. With 4 grade(β-euhemeroby), traditional cemetery, plain type reservoirs, mountainoustype reservoirs, stream, and rice terraces are areas with relatively low intensive management and have a wide variety of flora, whereas 5 grade(α-euhemeroby) orchard were mainly distributed with ruderal plant due to high intensive management. As for the number of plant taxa by reservoirs, the Wisgol pond in the case of plain type reservoirs, Ungok pond was high in mountainous type reservoirs. The protected species were rare plants 2 classification groups of Vulnerable(VU) species, 4 classification groups of Least Concrned(LC) species, 1 classification group of Data Deficient(DD) species, 5 classification groups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49 classification groups of invasive alien plants, and the total naturalization index was 12.2%.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수변 외래식물인 털물참새피의 분포 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 Waterfront Alien Plant,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under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 조강현;이승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3호
    • /
    • pp.206-215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른 침입외래식물의 잠재적 분포지를 예측하는 것은 하천과 저수지에서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적 관리를 위하여 중요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의 잠재적 미래 분포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털물참새피는 담수생태계의 수변에서 심각한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미치는 침입 초본식물이다. 현재와 미래의 기후에서 털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Maxent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기후 자료로서 Worldclim 1.4의 19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고, 미래의 기후 자료로서 RCP 2.6와 RCP 8.5 시나리오에 따라서 HadGEM2- AO에 의하여 예측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다. 예측된 털물참새피의 현재 잠재분포지는 실제 위치 자료와 거의 일치하였다. 이 식물의 잠재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수는 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 연평균기온 및 가장 추운 분기의 평균기온이었다. 2050년에 기후변화에 따른 털물참새피의 분포 예측에 의하면 이 식물의 현재 분포지에서는 기후 적합성이 대체로 감소하였고, 이 식물이 보다 내륙과 북쪽으로 분포지가 확대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예측 모델은 잠재적 분포를 이해하고 분포 변화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며 외래식물에 의한 생물적 침입의 위해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의 생리활성 비교 평가 및 유효성분 (Comparative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Active Compounds of Some Invasive Alien Plants)

  • 김소진;김민건;부경환;김창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4-274
    • /
    • 2023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대량 발생하고 있는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을 기능성 바이오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5종 외래식물체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 효과와 유효성분을 조사하였다. 외래식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애기수영 > 서양금혼초 ≥ 가시상추 > 환삼덩굴 ≥ 왕도깨비가지 순서로 나타났다. 외래식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역시 애기수영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효과는 식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연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세포에서 외래식물체 에탄올 추출물(100 ㎍ SE/mL)의 NO 및 PGE2 생성 억제 효과는 각각 약 20~60%와 10~70%로 나타났고, 애기수영 및 환삼덩굴이 다른 3종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종의 식중독 유발 미생물 및 5종의 구강 미생물을 대상으로 식물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조사한 결과, 환삼덩굴, 애기수영 및 왕도깨비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은 B. subtilis, E. coli, V. parahaemolyticus 및 V. vulnificus 4종 식중독균 모두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구강충치 유발 미생물인 E. faecalis, L. casei, R. dentocariosa, S. epidermidis, S. mutans에 대한 항균 효과는 환삼덩굴 추출물이 효과적이었으며, 항균 활성에 관여하는 주 유효성분은 pentadecylic acid, palmitic acid, clionasterol 등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 특히 애기수영 및 환삼덩굴의 기능성을 갖는 유효성분 분리 및 이용화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제 개발을 위한 바이오소재 발굴 등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기록 외래식물: 세열미국쥐손이(쥐손이풀과), 유럽패랭이(석죽과)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South Korea: Geranium dissectum L. (Geraniaceae) and Dianthus armeria L.)

  • 정수영;홍정기;박수현;양종철;윤석민;강영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72-277
    • /
    • 2015
  • 미기록 외래식물인 세열미국쥐손이(쥐손이풀과)와 유럽패랭이(석죽과) 2종을 각각 제주도 서귀포시와 경남 합천에서 발견했다. 세열미국쥐손이는 열매에 선모가 있으며, 종자에 뚜렷한 망상무늬가 있는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뚜렷하게 구분된다. 유럽패랭이는 꽃이 취산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에 털이 있는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구별된다. 이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근연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제시한다.

금성산(충남·금산)의 관속식물상 (A Floristic Study of Geumseongsan Mt. (Geumsan-gun·Chungnam) in Korea)

  • 장경숙;김중현;이병윤;황경록;류수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89-506
    • /
    • 2017
  • 본 연구는 금성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5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총 30회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관속식물은 112과 358속 417종 8아종 48변종 8품종 2교잡종으로 총 48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발견된 483분류군 중에서 국립생물자원관 지정 적색목록식물이 3분류군, 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이 8분류군, 한반도 고유종이 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29분류군, 귀화식물은 42분류군, 귀화율은 8.6%이었다. 관속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이 190분류군(39.3%), 목초용이 162분류군(33.5%), 약용이 154분류군(31.8%), 관상용이 58분류군(12.0%), 목재용이 14분류군(2.8%), 공업용이 2분류군(0.4%) 그리고 섬유용이 5분류군(1.0%)으로 나타났다.

지기산(홍성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of Mt. Jigisan in Hongseong-gun, Korea)

  • 박환준;김중현;김진석;안지홍;이경의;황요섭;이병윤;남기흠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521-547
    • /
    • 2018
  • 본 연구는 식물자원 및 생태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지기산 일대를 대상으로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자연환경 평가 및 기초자료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현지조사 결과, 낙엽활엽수 및 침활혼효림을 이루는 지역으로서 관속식물은 96과 286속 391종 7아종 40변종 3품종 2교잡종 등44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은사시나무, 개나리, 만리화, 넓은잎각시붓꽃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은 6분류군으로 취약종(VU)에 만리화, 관심대상종(LC)에 이팝나무, 물잔디, 보춘화, 미평가종(NE)에 인삼, 푸른하늘지기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27분류군으로, V등급에 2분류군, IV등급에 3분류군, III등급에 6분류군, II등급에 4분류군, I등급에 1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이분포식물은 27분류군으로 북방계식물이 4분류군, 남방계식물이 12분류군, 격리분포식물이 10분류군이었으며, 최근 학계에 보고된 흰들제비꽃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67분류군으로 귀화율(NI) 15.12%, 도시화지수(UI) 20.9%로 나타났다.

진조산(울진, 경상북도)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Jinjosan Mt.(Uljin-gun, Gyeongsangbuk-do))

  • 강하람;박유정;안성모;이유빈;이하림;천경식
    • 환경생물
    • /
    • 제40권1호
    • /
    • pp.11-24
    • /
    • 2022
  • 본 연구는 경북 울진군에 위치한 진조산 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조사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진조산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된 관속식물은 87과 274속 365종 12아종 32변종 5품종으로 총 414분류군이었다. 조사된 414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이었으며, 희귀식물은 5분류군이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66분류군으로, 등급별로는 IV등급 1분류군, III 등급 18분류군, II 등급 24분류군 그리고 I등급 23분류군이었다. 또한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8분류군이었으며, 외래식물은 31분류군,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3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7.5%, 5.0%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진조산의 식물다양성 및 분포변화 등의 자원 보존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