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gebraic symbol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와 미국의 초기대수 비교 연구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연산 감각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Early Algebra between Korea and USA Textbooks -focusing to operation sense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355-392
    • /
    • 2013
  • Generally school algebra is to start with introducing variables and algebraic expressions, which have major cognitive obstacles to students in the transfer from arithmetic to algebra. But the recent studies in the teaching school algebra argue the algebraic thinking from an early algebraic point of view. We compare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with Americans from this perspective. First, we discuss the history of school algebra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Second, we investigate the recent studies in relation to early algebra. We clarify the goals of this study(the importance of early algebra i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se discussions. Next we examine closely the number sense in the arithmetic and the symbol sense in the algebra. And we conclude that the operation sense can connect these senses within early algebra using the algebraic thinking. Finally, we compare the elementary mathematics book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operation sense. In this comparative study, we identify a possibility of teaching algebraic think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and early algebra can be introduced to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rom aspects of the operation sense.

Harriot(1560-1621) 의 대수기호와 방정식의 근 (Harriot's algebraic symbol and the roots of equation)

  • 신경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27
    • /
    • 2012
  •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전반에 활동했던 영국의 과학자이자 수학자인 Thomas Harriot은 대수기호를 독창적으로 만들어 사용하였고 일부는 오늘날에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방정식에서 음수근 뿐만 아니라 복소수근도 받아들였는데 그의 이러한 관점은 당시로는 혁신적이었으며 나아가 방정식의 형태의 일반화에도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사후 유작 외에는 생전에 수학 저서가 한 권도 없는 탓에 Harriot 개인이나 그가 이루어 놓은 수학이 수학적 성취에 비하여 수학사나 수학교육에서 그에 대하여 소홀히 다루어진 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동시대 유명한 수학자였던 비에타와 데카르트의 대수기호와 방정식론을 비교함으로써 Harriot이 이루어놓은 수학을 알리고자 한다.

수학적 개념으로서의 등호 분석 (Analysis of the Equality Sign as a Mathematical Concept)

  • 도종훈;최영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5호
    • /
    • pp.697-706
    • /
    • 2003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equality sign as a mathematical concept and investigate its meaning, errors made by students,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of mathematics teacher in view of The Model of Mathematic al Concept Analysis, arithmetic-algebraic thinking, and some examples. The equality sign = is a symbol most frequently used in school mathematics. But its meanings vary accor ding to situations where it is used, say, objects placed on both sides, and involve not only ordinary meanings but also mathematical ideas. The Model of Mathematical Concept Analysis in school mathematics consists of Ordinary meaning, Mathematical idea, Represent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To understand a mathematical concept means to understand its ordinary meanings, mathematical ideas immanent in it, its various representations, and their relationships. Like other concepts in school mathematics, the equality sign should be also understood and analysed in vie w of a mathematical concept.

  • PDF

Tight Bounds and Invertible Average Error Probability Expressions over Composite Fading Channels

  • Wang, Qian;Lin, Hai;Kam, Pooi-Yuen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8권2호
    • /
    • pp.182-189
    • /
    • 2016
  • The focus in this paper is on obtaining tight, simple algebraic-form bounds and invertible expressions for the average symbol error probability (ASEP) of M-ary phase shift keying (MPSK) in a class of composite fading channels. We employ the mixture gamma (MG) distribution to approximate the signal-to-noise ratio (SNR) distributions of fading models, which include Nakagami-m, Generalized-K ($K_G$), and Nakagami-lognormal fading as specific examples. Our approach involves using the tight upper and lower bounds that we recently derived on the Gaussian Q-function, which can easily be averaged over the general MG distribution. First, algebraic-form upper bounds are derived on the ASEP of MPSK for M > 2, based on the union upper bound on the symbol error probability (SEP) of MPSK i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given by a single Gaussian Q-function. By comparison with the exact ASEP results obtained by numerical integration, we show that these upper bounds are extremely tight for all SNR values of practical interest. These bounds can be employed as accurate approximations that are invertible for high SNR. For the special case of 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M = 2), where the exact SEP in the AWGN channel is given as one Gaussian Q-function, upper and lower bounds on the exact ASEP are obtained. The bounds can be made arbitrarily tight by adjusting the parameters in our Gaussian bounds. The average of the upper and lower bounds gives a very accurate approximation of the exact ASEP. Moreover, the arbitrarily accurate approximations for all three of the fading models we consider become invertible for reasonably high SNR.

재귀적 패턴과 거북 마이크로월드 설계 (Designing a Microworld for Recursive Pasterns and Algebra)

  • 김화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165-176
    • /
    • 2006
  • In this paper, we consider changes of algebra strands around the world. And we suggest needs of designing new computer environment where we make and manipulate geometric recursive patterns. For this purpose, we first consider relations among symbols, meanings and patterns. And we also consider Logo environment and characterize algebraic features. Then we introduce L-system which is considered as action letters and subgroup of turtle group. There are needs to be improved since there exists some ambiguity between sign and action. Based on needs of improving the previous L-system, we suggest new commands in JavaMAL microworld. So we design a microworld for recursive patterns and consider meanings of letters in new environments. Finally, we consider the method to integrate L-system and other existing microworlds, such as Logo and DGS. Specially, combining Logo and DGS, we consider the movement of such tiles and folding nets by L-system commands. And we discuss possible benefits in this environment.

  • PDF

OFDM 시스템의 샘플링 주파수 옵셋 추정기법 (Estimation Techniques for Sampling Frequency Offset in OFDM Systems)

  • 전원기;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B호
    • /
    • pp.1795-1805
    • /
    • 1999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송·수신단의 샘플링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샘플링 주파수 옵셋에 의한 채널간 간섭(interchannel interference: ICI)이 발생하게 되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 전송률을 갖는 OFDM 시스템에서 샘플링 주파수 옵셋을 추정할 수 있는 두 가지 시간영역 기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방식은 심볼 동기와 반송파 주파수 동기가 이루어졌다는 가정하에서 송신단에서 훈련심볼을 전송한 후 수신단에서 일정 시간 간격을 갖는 두 샘플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구하여 샘플링 주파수 옵셋을 추정한다. 두 번째 방식은 반송파 주파수 옵셋과 샘플링 주파수 옵셋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을 갖는 두 OFDM 훈련심볼과 간단한 대수 연산에 의해 두 옵셋을 동시 추정한다. 두 가지 샘플링 주파수 옵셋 추정기법은 모두 시간 영역에서 처리되므로 시간지연이 발생하지 않으며, ICI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여러 가지 모의실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 PDF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겪는 어려움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Difficulties in the Area of Function Suffered by the 3rd 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Underachievers)

  • 진선미;송영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87-20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이에 대한 지도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좀 더 심층적인 학습 부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인터뷰, 녹음과 관찰 등을 통한 사례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수학학습부진아는 일반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유사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음으로 수학학습부진아는 일반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차이를 보이는 어려움으로 문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 선수 학습 결손으로 인한 어려움, 형식화하여 답을 찾으려고 하는 어려움, 대수 기호의 구분을 정확히 하지 못함으로써 겪는 어려움 그리고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에 제시된 변수 개념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Variable Concept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 방정숙;조선미;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81-100
    • /
    • 2017
  • The concept of variable is a big idea to develop algebraic thinking. Variable has multiple meanings such as the unknown, a tool for genera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ying quantit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in what ways the meanings of variable were presented in the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meaning of variable was 'the unknown', 'a tool for genera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ying quantities' in order. A close look a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ame symbol was often used in representing different values of variable as the unknown. In taking variable as a tool for generalization, questions to provoke generalization were sometimes included not in the textbooks but in the teachers' manuals. The main focus in dealing with variabl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ying quantities was on finding out the dependent values compared to the independent ones. Building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how to deal with variable concept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materials.

초등학교 수학에서 같음과 등호의 의미에 대한 고찰 (Some Remarks on the Sameness and the Meaning of the Equal Sig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백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45-61
    • /
    • 2020
  • 초등학교 수학에서는 '같음'을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고 등호를 읽는 방법으로 제시한다. 등호의 의미는 크게 연산적인 관점과 관계적인 관점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초등학교 학생들은 등호를 연산의 결과로 구한 답을 적으라는 연산적인 의미로 이해한다. 중학교 수학에서 요구되는 대수적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등호의 관계적인 의미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다루는 산술에서부터 등호의 관계적인 의미를 강조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수학에서 학생들이 등호의 관계적인 의미를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을 의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사용되는 같음과 등호의 의미와 등호가 사용된 맥락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같음과 등호의 관계적인 의미를 강조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일반화 수단으로서 매개변수의 인식과 오류에 대한 연구 -중학교 2학년 학생들과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오류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arameters as Means of Generalization)

  • 지영명;유면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803-825
    • /
    • 2014
  • 대수학습의 초기부터 사용되고 있는 문자기호 중 한 문자내 부정성(변수)과 고정성(상수)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매개변수개념은 그 모호성 때문에 소극적 암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수 학습에서 매개변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오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매개변수개념의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매개변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초보적인 학습자와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제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논점을 바탕으로 현 대수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제로, 본 연구자는 A중학교 2학년 한 교실의 35명의 학생들과 B대학교 학부과정에 있는 예비교사 73명을 대상으로 문자기호에 관한 동일한 설문지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대해 혼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문자기호에 관한 인식양상을 분석한 결과, 매개변수개념의 이해에 관한 여러 가지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특히, 문자기호의 인식의 동질성에 관한 통계적 처리결과 두 집단 간의 문자기호의 인식양상은 뚜렷하게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