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ic hepatiti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초

Inhibitory Effect of Ruta chalepensis Leaf-Derived Component against Alcohol Dehydrogenase

  • Jeon, Ju-Hyun;Cho, Jang-Hee;Kim, Hyo-Gyung;Lee, Hoi-Se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832-835
    • /
    • 2005
  • Inhibitory activity of active compound isolated from Ruta chalepensis leaf was examined against alcohol dehydrogenase and, upon comparison to those of four commercially available compounds (quinoline, quinoline-3-carboxaldehyde, quinoline-3-carboxylic acid, and quinoline-4-carboxylic acid) and 1,10-phenanthroline as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or, was characterized as quinoline-4-caboxaldehyde by spectral analyses. Inhibitory effects ($IC_{50}$) of quinoline-4-caboxaldehyde and quinoline derivatives varied depending on chemicals and concentrations used. The $IC_{50}$ values of quinoline-4-carboxaldehyde, quinoline-3-carboxaldehyde, quinoline, quinoline-3-carboxylic acid, and quinoline-4-carboxylic acid were 0.04, 0.3, 0.8, >1, and >1 m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inhibitory action of quinoline-4-carboxaldehyde against alcohol dehydrogenase as prospective therapeutics for treatment of alcoholic liver diseases such as alcohol hepatitis and cirrhosis resulting from chronic alcohol abuse.

경구투여한 V. vulnificus 백신의 면역원성 및 감염방어효능 (Immunogenicity and Protective Efficacy of an Oral Vaccine against Vibrio vulnificus Infection)

  • 이나경;정상보;안보영;김영지;이윤하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6권2호
    • /
    • pp.191-198
    • /
    • 1998
  • Vsrio vulnificus is an estuarine gram-negative human pathogen that affects people with chronic hepatitis, alcoholic cirrhosis, diabetes mellitus or other underlying diseases. V. vulnificus infection is mediated primarily by consumption of raw fish or by exposure of pre-existing wounds to seawater, causing permanent tissue damages or fatal septic shock. We have been developing a vaccine against V. vulnificus composed of whole cell Iysate of a V. vulnificus O-antigen serotype 4 strain. Oral administration of the V. vulnificus;oral vaccine;immunogenicity;protective efficacy vaccine elicited a high serum antibody response in rabbits. The induced antibodies were reactive not only to the homologous strain but also to heterologous O-antigen serotype strains, indicating cross-reactivities among serotypes.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the antibodies are mainly specific for outer membrane proteins (OMPs) and reacted equally well with OMPs purified from 9 O-antigen serotypes. The rabbit antisera showed opsonophagocytic killing activity against heterologous strains as well as the homologous strain. Passively transferred rabbit antisera into mice were protective against a lethal V. vulnificus infection. These data demonstrate that oral administration of the V. vulnificus vaccine induced a systemic antibody response which had a protective efficacy against V. vulnificus infections, suggesting that this vaccine preparation could be used to develop an oral vaccine against V. vulnificus.

  • PDF

간경변증 환자 음주행위 관련변인 -음주행위와 질병관련 변인의 융복합 측면- (Affecting factors of the Drinking Behavior of Liver Cirrhosis Patients The Aspects of Convergence of Drinking Behavior and Disease-related of factors)

  • 서영숙;도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49-258
    • /
    • 2015
  • 본 연구는 간경변증 환자의 음주행위와 질병관련 변인의 융복합적 측면을 고려하여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D시에 거주하며, 간경변증 진단으로 병원외래치료를 받고 있는 자로 총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hi}^2$-test, Logistic Regression하였다. 연구결과는 간경변증 환자의 31.8%가 음주를 하고 있었으며,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간경변 환자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men), 연령(>60), 배우자(have not), 소득만족도(low, moderato), 흡연(yes), 선행 진단명(alcoholic hepatitis), Child Pugh Score (${\leq}9$), 진단기간(${\geq}3$), 질병관련 증상경험, 불안, 우울과 사회적 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인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한 결과, 흡연(yes), 성별(men), 질병관련 증상경험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불안의 정도가 음주행위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경변증 음주행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주행위 관련변인들을 고려해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간경변증 환자에서 기관지 반응성에 대한 연구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Liver Cirrhosis)

  • 김기량;김민구;이상갑;장세호;박종화;이종덕;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39-648
    • /
    • 1997
  • 배 경 : 환자에서 동맥혈 저산소증이 생길 수 있다는 보고가 있는데 기관지혈관 확장에 의해서 확산 장애에 의해 동맥혈 산소분압이 감소한다고 한다. Cabanes 등은 좌심실부전 환자에서 메타콜린에 기관지 반응이 증가함을 보고하면서 기관지혈관 확장이 한 기전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간경변증 환자에서 문맥고혈압에 의하여 메타콜린에 대한 기관지반응이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하에 간경변증 환자에서 기관지수 축유발검사를 시행하고, 간경변증정도 및 식도 정맥류 정도와의 기관지반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임상적 문맥고혈압을 가진 간경변증 환자 22명에게 메타콜린 기관지수축유발검사를 시행하였고 또한 간경변 정도를 Pugh-Child 분류법에 따라 분류하고 식도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성적 : 총 22명의 임상적으로 문맥고혈압을 가진 간경변증 환자중 남자는 17명, 여자는 5명이었고, 연령분포는 19세에서68세 까지이며 평균연령은 48세였으며, 간경변증 원인은 알콜성 간염에 의한 경우가 9예, B형 바이러스성 간염에 의 한것이 12예였고 C형 바이러스성 간염에 의한것이 1예였다. 22명의 환자중 15예(68.2%)가 메타콜린 기관지 수축유발검사 양성이였고, 양성인 환자 15명의 $PC_{20}$$0.3mg/m{\ell}$에서 $16.6mg/m{\ell}$로 다양하였으며 평균값은 $6.5{\pm}5.1mg/m{\ell}$ 이다. 메타콜린 기관지 수축유발검사 $PC_{20}FEV_1$값과 Pugh-Child 분류법에 의한 간경변의 정도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메타콜린 기관지 수축유발검사 $PC_{20}FEV_1$ 값과 식도 내시경상 식도정맥류의 심한 정도 사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간경변증 환자에게서 메타콜린 기관지 반응이 증가(68.2%)함을 수 있었고 간경변증 정도나 식도정맥류 정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컴퓨터단층영상에서 TIA를 이용한 간경화의 컴퓨터보조진단 (Computer-Aided Diagnosis for Liver Cirrhosis using Texture features Information Analysis in Computed Tomography)

  • 김창수;고성진;강세식;김정훈;김동현;최석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58-366
    • /
    • 2012
  • 간경화(liver cirrhosis)는 섬유조직의 증식과 재생성 결절 형성의 형태학적인 변화로 2차적으로 간내혈관의 변형 및 간기능의 저하가 나타나는 질병이며, 정맥류, 복수와 부종, 간성뇌증, 간암 등의 합병증 동반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간경변증 진단 및 치료에 핵심이다. 일반적으로 간 컴퓨터단층영상이 간경변의 진단 및 병기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경화의 자동 인식을 위하여 PCA와 TIA 알고리즘을 이용한 특징추출을 통하여 간경변의 자동 검출능력을 알아보고, 각 알고리즘간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학습영상과 테스트영상으로 구분한다. 고유영상을 생성시키기 위한 학습영상으로 정상영상이 사용되고, 테스트영상으로는 간경화영상이 사용된다. 간 CT 영상에서 간의 질병 부위를 균등하게 ROI 설정하고, $50{\times}50$ 픽셀 크기로 영상을 저장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로 PCA는 간경화 검출율이 35%로 질병 인식으로 부적합하며, TIA 알고리즘의 AGL, TM, MU, EN는 100% 질병 인식력을 나타내어 간경화 자동 진단 인식으로 가능했다. 또한 결과를 임상에 적용하여 간경변의 컴퓨터보조진단으로 활용한다면 영상의학과 의사에게 업무 부담을 줄이고, 일차적 간경변의 스크리닝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TIA 알고리즘을 활용한 자동진단은 질병 진단의 전단계로서 예비판독의 정보를 제공하며 간경변의 조기 진단 및 예방이 가능다고 판단된다.

공진단의 효과에 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Effectiveness on the Gongjin-dan (Gongchen-dan))

  • 이진현;조동찬;김창곤;문수정;박태용;고연석;송용선;이정한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9-78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Gongjin-dan (Gongchen-dan, here in after GJD) in order to obtain the evidence for clinical application. Methods The GJD-related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13 were searched using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ion (Koreame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RISS4U)", "Korean Medicine Database (KMbase)", "National Discovery for Science Leader (NDSL)", "PubMed",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The search keywords were "Gongjin-dan", "Gongchen-dan". Thirty-nine articles were obtained. After excluding the eighteen article which did not meet inclusion criteria, finally twenty-one articles were included; five clinical articles and sixteen experimental articles. Results In clinical studies, GJD has the various effectiveness in cardiovascular diseases, alcoholic hepatitis, mild dementia, anemia. Also experimental studies related to the GJD show a variety of effects, such as anti-oxidative activity, neuroprotective activity, hepatoprotective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immunological activity, reproductive recovery activity with fewer side-effects. Conclusion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re are various effects of GJD in treating a wide-range disease. However, in order to put GJD to use for many kinds of diseases in more reasonable ways, it is needed to publish well-design clinical trial based on the variety of results of experimental studies.

Omega-3가 지질과 간기능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ega-3 on Lipid and Liver Function Tests)

  • 최우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83-189
    • /
    • 2018
  •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및 도코사헥사엔산(DHA)을 비롯한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은 어류 및 어유에 많이 존재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메가-3 지방산이 암, 심장 혈관 질환, 면역 체계, 간경변 및 신경계 장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메가-3는 고지혈증 개선과 간기능검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사례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오메가-3를 2주간 1 gm/day을 섭취하여 혈중 고지혈증과 간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 결과, 간기능검사에서는 AST가 감소하였고, 알콜성간염이나 지방간과 관계있는 GGT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오메가-3가 간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질환과 관계있는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오메가-3 섭취후 감소를 보였고, 특히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고지혈 질환에서도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군과 여자군별 오메가-3 섭취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남자군에서는 AST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여자군에서는 GGT와 고밀도 콜레스테롤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오메가-3 섭취가 간기능검사나 고지혈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의 $^{18}F-Fluorodeoxyglucose$ 섭취 양상과 지방간의 관계 (Correlation of Hepatic $^{18}F-Fluorodeoxyglucose$ Uptake with Fatty Liver)

  • 안영실;윤준기;홍선표;조철우;윤석남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5호
    • /
    • pp.243-248
    • /
    • 2006
  • 목적: 다른 기관들에 비해 간에서는 상대적으로 FDG 섭취 양상이 매우 불규칙하며, 악성 병변이 없는 간에서 비정상적으로 FDG 섭취가 증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제까지 이러한 다양한 간의 FDG 섭취를 간의 다른 양성 질환과 연관시킨 연구가 없어, 저자들은 이 연구에서 간에서의 FDG 섭취 양상과 지방간, 간 기능 검사, 지질 프로필을 포함하는 다양한 임상 요인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검진 목적으로 $^{18}F-FDG$ PET/CT를 시행한 188명 (남/여: 120/68, 평균나이: $50{\pm}9$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간의 FDG 섭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당뇨 및 내당증 장애 환자, 심한 간질환이나 오랜 약물 복용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PET/CT의 횡단면에서 간의 5번 분절에 해당하는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이 부위의 평균 SUV를 구하여, 지방간이 있는 군과 없는 군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혈중 간 기능(ALT, AST), 알코올성 간질환(${\gamma}-GT$),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치와 간의 FDC 섭취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지방간 환자들의 체질량지수, 음주력을 조사하여 이 인자들이 간의 FDG 섭취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결과 지방간이 있는 군의 평균 SUV가 지방간이 없는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는 간의 FDG 섭취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다른 요인들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지방간 환자에서 음주나 체질량 지수의 위험군과 비위험군 사이에 간의 FDG 섭취 정도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변량 분석 결과, 지방간의 유무와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간의 평균 SUV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독립 인자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간의 FDG 섭취 정도는 지방간의 유무에 영향을 받으며, 중성지방 수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알코올로 유도된 간손상 모델 HepG2/2E1 세포에서 오리나무 잎 추출물의 간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 Extracts of Alnus japonica Leaf on Alcohol-Induced Liver Damage in HepG2/2E1 Cells)

  • 김보람;김태수;성수희;한세희;김진호;서찬;이하늘;임수아;김정은;정지민;정도윤;최경민;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29
    • /
    • 2024
  • 활성산소종은 미토콘드리아 대사활동을 통해 생성되는 반응성이 강한 산소 함유 분자로서 특히 간에서 복잡한 세포 분자와 반응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물질이다(Choi et al., 2012). 에탄올 대사 과정에서는 ROS가 생성되어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며, 과도한 에탄올은 ROS를 제거하는 항산화 시스템을 억제함으로써 지방, 단백질 또는 DNA와 같은 생체 분자에 산화 손상을 유발하여 세포를 손상시킨다(Albano, 2006; Koch et al., 2004). 본 연구에서는 오리나무 잎 추출물(AJL)에서 알코올(EtOH)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손상의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epG2/2E1 세포에서 EtOH와 AJL 및 대조군silymarin을 각각 처리한 후 세포생존율을 평가하고 세포독성이 없는 범위를 설정하여 활성산소종 생성량, 항산화 관련 지표(DPPH, ABTS, MDA, GSH) 및 간 손상 지표(AST 및 ALT)를 측정하였다. 알코올에 대한 간 보호 효과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의 세포생존율이 53.8%로 감소하였으나 AJL을 함께 처리 군에서 세포생존율이 85.1%의 유의적인 증가로 간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AJL에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능은 에탄올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ROS 생성이 증가하였으나 AJL 농도별 처리시 정상군 수준으로 ROS 생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MDA 함량은 에탄올 처리군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AJL 처리시 농도 의존적으로 에탄올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MDA 함량을 감소시켰다. GSH 함량은 에탄올 처리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AJL 농도별 처리군 모두 에탄올 처리군에 비해 GSH 함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간손상 지표로 활용되는 AST 및 ALT 활성 변화 확인 시, 에탄올 처리에 따른 간세포 손상군에 비하여 AJL 처리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대조군silymarin과 비교하여 유사한 감소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종합해 볼때AJL은 간손상에 대한 보호 및 간손상 억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간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건강기능식품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