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Liver Cirrhosis

간경변증 환자에서 기관지 반응성에 대한 연구

  • Kim, Ki-Ry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Min-G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Sang-Kab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Jang, Se-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Jong-Hw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Jong-Deo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Hwang, Yung-Si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김기량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민구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상갑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세호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종화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종덕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황영실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Background : Arterial hypoxemia has been noted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because of bronchial vessel dilatation. Cabenes et al. reported that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o the metacholine inhalation was observed in patients of left side heart failure, he suggested that one of the mechanism was bronchial vessel dilatation. We hypothesized that patients of liver cirrhosis might have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o metacholine inhalation due to portal hypertension. We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onchial responsiveness and severity of liver cirrhosis, severity of portal hypertension. Methods : In the 22 patients of the liver cirrhosis with clinical portal hypertension, metacholine provocation test was done and determined $PC_{20}FEV1$. We classified liver cirrhosis according to Pugh-Child classification. Esophagogastroscopies were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severity of esophageal varix. Results : In the 22 cases of the liver cirrhosis with clinical portal hypertension. The causes of liver cirrhosis, alcoholic hepatitis was 9 cases, hepatitis B virus was 12 cases, hepatitis C virus was 1 case, and 151 cases (68.18%) of total 22 cases were positive in metacholine provocation test. In positive case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C_{20}FEV1$ and severity of liver cirrhosis which were classified by Pugh-Child classification or severity of esophageal varix(p<0.05). Conclusion : we observed that bronchial responsiveness to metacholine increased in the patients of liver cirrhosi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liver cirrhosis and the severity of esophageal varix.

배 경 : 환자에서 동맥혈 저산소증이 생길 수 있다는 보고가 있는데 기관지혈관 확장에 의해서 확산 장애에 의해 동맥혈 산소분압이 감소한다고 한다. Cabanes 등은 좌심실부전 환자에서 메타콜린에 기관지 반응이 증가함을 보고하면서 기관지혈관 확장이 한 기전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간경변증 환자에서 문맥고혈압에 의하여 메타콜린에 대한 기관지반응이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하에 간경변증 환자에서 기관지수 축유발검사를 시행하고, 간경변증정도 및 식도 정맥류 정도와의 기관지반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임상적 문맥고혈압을 가진 간경변증 환자 22명에게 메타콜린 기관지수축유발검사를 시행하였고 또한 간경변 정도를 Pugh-Child 분류법에 따라 분류하고 식도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성적 : 총 22명의 임상적으로 문맥고혈압을 가진 간경변증 환자중 남자는 17명, 여자는 5명이었고, 연령분포는 19세에서68세 까지이며 평균연령은 48세였으며, 간경변증 원인은 알콜성 간염에 의한 경우가 9예, B형 바이러스성 간염에 의 한것이 12예였고 C형 바이러스성 간염에 의한것이 1예였다. 22명의 환자중 15예(68.2%)가 메타콜린 기관지 수축유발검사 양성이였고, 양성인 환자 15명의 $PC_{20}$$0.3mg/m{\ell}$에서 $16.6mg/m{\ell}$로 다양하였으며 평균값은 $6.5{\pm}5.1mg/m{\ell}$ 이다. 메타콜린 기관지 수축유발검사 $PC_{20}FEV_1$값과 Pugh-Child 분류법에 의한 간경변의 정도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메타콜린 기관지 수축유발검사 $PC_{20}FEV_1$ 값과 식도 내시경상 식도정맥류의 심한 정도 사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간경변증 환자에게서 메타콜린 기관지 반응이 증가(68.2%)함을 수 있었고 간경변증 정도나 식도정맥류 정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