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aska pollack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초

명태, 폐계가슴살 및 기계발골계육을 활용한 수리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rimi Manufactured by Alaska Pollack, Barren Hen Breast Meat and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 진상근;김일석;양한술;최영준;김병균[한성식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95-404
    • /
    • 2007
  • 수리미 원료육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폐계가슴살(T1), 기계발골계육인 S사 MDCM(T2) 및 J사 MDCM(T3)을 활용하여 pH 11.0의 알칼리 조절법으로 수리미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명태연육을 활용한 수리미인 대조구는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백색도, 응집성, 관능평가의 기호도가 높은 장점을 나타낸 반면 검성, 씹힘성 및 겔 특성이 낮은 단점을 나타내었다. T1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명도, 표면경도, 변형값, 젤리강도 및 관능평가의 향이 높은 장점을 나타낸 반면 조직감 및 접기실험 결과가 낮게 나타났다. T2는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조직감, 전단가 및 겔 특성이 높은 반면 변형값, 관능평가의 기호도가 낮고, 황색도가 높은 단점을 나타내었다. 또한 T3의 경우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응집성이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가 높고, 명도 및 백색도 낮은 단점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원료육의 차이에 따른 수리미의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폐계가슴살을 활용한 T1에서 높은 단백질 함량과 낮은 지방 함량을 보여 수리미 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리미 주요 겔 특성인 변형값과 응집성을 중심으로 볼 때 명태연육을 대체할 수 있는 수리미 원료육으로 T1과 T3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1과는 달리 MDCM(T2 및 T3)은 적색도가 높고 백색도가 낮아 수리미 제조시 외관적 제품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호도에서 낮은 점수를 획득하여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북어엑스 및 말톨 함유 복합 조성물(DWP715)의 혈중 알콜농도 저하, 항피로 및 항산화 효과 (Effects of Combined Preparation (DWP715) Containing Alaska pollack Extract, Maltol, Ascorbic Acid and Nicotinamide on Decreasing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ti- fatigue and Anti-oxidation)

  • 조재열;김애라;연제덕;임승욱;이재휘;유은숙;유영효;박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7-172
    • /
    • 1997
  • 1. 정상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한 25%의 알콜 100 ml 섭취시 DWP715는 전 대상인에서 $C_{max}$ 및 AUC 등의 감소와 다소 지연된 반감기($T_{1/2}$)를 나타내었으며 2시간에서 최대의 알콜농도 감소효과를 보여 주었다. 2. 3시간 구속스트레스를 통한 피로모델에서 DWP715는 피로부여시 증가된 LDH 수치, GOT수치 및 비장의 무게 등을 정상상태로 유지시켰다. 3. 과산화지질 생성을 위해 $CC1_4$로 유도된 항산화효과 측정 모델에서 DWP715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MDA감소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DWP715는 알콜섭취 후 유도되는 간기능 저하에 따른 피로 상태와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해 형성되는 라디칼에 의한 간조직 손상을 보호해 주며 알콜섭취시 혈중으로의 알콜 흡수를 저하시키는 효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DWP715는 혈중 알콜농도 감소와 함께 알콜섭취 후 발생되는 비특이적인 생체반응들에 의한 체내 불균형 상태를 효과적으로 회복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통 명태식해 숙성중의 미생물 및 효소학적 특성 (Microbiological and Enzymatic Characteristic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 차용준;김소정;정은정;김훈;조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09-1714
    • /
    • 2004
  • 숙성온도 조건(5$^{\circ}C$, 2$0^{\circ}C$ 및 변온조건)을 달리한 명태식해에서 숙성에 지배적으로 관여하는 미생물상의 변화 및 효소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2$0^{\circ}C$조건의 숙성초기에는 단백질분해균이나 Lactobacillus속 및 Pediococcus속이 총균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숙성 10일 이후에는 단백질분해 3, Leuconostoc속, Streptococcus속 및 Pediococcus속의 감소가 총균수의 감소에 기여하였고 숙성 10일 이후의 총균수는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 및 효모가 대부분이었다. 변온조건의 경우 숙성 10일 이후에도 총균수가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는데, 이는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 및 Streptococcus속이 변온 이후에도 균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circ}C$와 변온에서 숙성 10일 이후의 균증식 양상은2$0^{\circ}C$의 경우효모의 증식이 우세한 반면에, 변온에서는 Streptococcus속의 증식이 우세하였다. 반면 5$^{\circ}C$의 경우 Lactobacillus속이 숙성초기에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특히 Leuconostoc속이 다른 조건의 비해 오래 지속되었다. 산성단백질분해효소 및 지방분해효소 활성은 온도에 민감하여 2$0^{\circ}C$일 때가 5$^{\circ}C$보다 활성이 높은 반면 중성 단백질분해효소와 지방분해효소는 온도에 따른 활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변온조건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의 경우 실활 되었고, 지방분해효소는 온도변화에 적응력이 존재하여 활성 이 유지되었다.

명태육 건조중의 formaldehyde 및 amine 류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FORMALDEHYDE AND AMINES IN ALASKA POLLACK MUSCLE DURING DRYING)

  • 안철우;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8
    • /
    • 1978
  • 북양산 냉동명태를 시료로 하여 이것을 일건, 열풍건조 및 염건을 하였을 때의 육중의 FA, TMAO, TMA 및 DMA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1. TMAO의 함량은 열풍건조품이 가장 적어 생시료때의 약 $60\%$에 지나지 않았고, 다음이 염건품이며, 일건품은 생시료때의 약 $72\%$함량으로 잔존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온건품에 있어서 육중의 염분량을 공제한 무염물로 환산하는 경우는 생시료때의 $92\%$함량으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2. TMA의 함량은 염건품이 생시료 때의 2.3 배함량(무염물로서는 3.5배량)을 보여 가장 증가율이 적었고, 다음이 일건품이였으며, 열풍건조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42배함량을 나타내어 월등히 많았다. 3. DMA의 함량은 열풍건조품과 염건품에 있어서는 각각 생시료 때의 10배량정도를 나타내었고, 일건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16배량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염건품에 있어서 무염물로 환산하는 경우는 생시료 때의 15배량으로 일건품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4. FA의 함량은 일건품에서는 생시료 때의 1.3배량, 염건품에서는 2.5배량(무염물로 환산)으로 증가한 반명, 열풍건조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83\%$ 함량으로 오히려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5. 전반적으로 FA 함량과 아민류의 함량을 비교하여 보면 FA함량이 많은 시료에는 DMA함량도 많은 대비하여, TMA함량이 많은 시료에는 FA함량이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명태 FILLET 제조를 위한 냉동원료의 해동방법과 가공품의 재동결방법에 관한 연구 (FACTORS INVOLVED IN THAWING OF FROZEN ALASKA POLLACK AND REFREEZING OF THE FILLET)

  • 최위경;박영호;이강호;장동석;김무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17
    • /
    • 1975
  • Alaska pollack caught in the Northern Pacific Ocean and frozen aboard vessel are skipped to the plant and processed into frozen fillets. In the present paper quality changes during thwaing, refreezing and storage at $-20^{\circ}C$ are discussed. Natural, running-water, vacuum and steam thawing were employed as thawing methods. And contact plate, air blast, immersion in dry ice-alcohol solution freezing and storage at $-5^{\circ}C$ were applied to refreeze the thawed fillets. As quality factors content of drip released, salt-extractable protein, VBN, DNA in the drip and pH were determined. In addition, bacteriological tests were also carried out along with the whole process. In thawing of round material, the vacuum thawing wa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method, resulting in drip, salt-extractable protein $(N\%)$, VBN and DNA as $4.4\%,\;1.82\%,\;16.21mg\%$ and $13.70\;{\mu}g/ml$, respectively. Storage at $-5^{\circ}C$ as refreezing method yielded lower in drip and DNA content but similar to or slightly higher in both salt-extractable protein and VBN, which might postulate that the quality of the frozen fillet depends not largely on the secondary freezing but on the conditions of thawing and primary freezing. It seemed that most of the bacterial flora in thawed fillet came from skin and viscera of fish, worker's hands, utensils and other processing facilities, since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the frozen flesh of round Alaska pollack. Bacterial quality of fillet varied with thawing methods, vacuum thawing appeared more sanitative compared with other methods as natural, running-water, and steam thawing. Bacterial colonies isolated from the thawed fillet were composed of $73.8\%$ Gram negative rod shape, $4.9\%$ Gram positive rod shape, $18.0\%$ cocci, and $3.3\%$ yeast. Decreasing rate of coliform group of the fillet during the storage at $-20^{\circ}C$ for 30 days was more than $70\%$ and that of plate count was less than of coliform group.

  • PDF

명태육을 기질로 한 풍미물질 발효균주의 선발 (Screening of Suitable Mold Strains for Production of Taste Materials from Alaska Pollack Flesh)

  • 신동화;김영명;김동수;이병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1-226
    • /
    • 1990
  • 어육을 발효하여 정미성분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명태육에 전분을 첨가한 발효기질에 8종의 곰팡이를 접종, 발효하여 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모두 어육발효 배지에서 왕성히 증식하였고, $30^{\circ}C$에서 48시간 배양 이후 특징적인 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냄새는 균종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발효어육의 $NH_2-N$ 함량은 명태육에 비하여 25-26배, Ex-N은 6-15배 증가하였고, 명태육으로부터 ADP 생성능력이 높은 균주는 IMP와 GMP 생성능력도 높았다. 발효어육 중의 유리아미노산은 사용균주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lysine 함량이 가장 높고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순이었다. 발효어육 추출액의 관능검사한 핵산 관련물질, $NH_2-N$ 및 Ex-N의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때 어육발효에 비교적 우수한 균주는 Aspergillus oryzae KFCC 11371, Asp. oryzae KFCC 32343, Penicillium roqueforti KFCC 11269 및 Asp. quercinus KFCC 11956이었다.

  • PDF

식품소재로서 어류뼈의 성분 특성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fish bone as a food source)

  • 최종덕;구재근;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67-72
    • /
    • 1998
  • 수산가공 부산물을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 6종의 어류뼈(대구뼈, 명태뼈, 각시가자미뼈, 민태뼈, 붕장어뼈 및 고등어뼈)에 대하여 식품 성분 특성을 검토하였다. 건물당 조단백질 함량, 콜라겐 함량 및 amino acid 조성비는 민태뼈가 각각 40.7%, 5.86% 및 189 잔기/1,000 잔기로 기타 어류뼈의 $28.8{\sim}38.8%$, $39.4{\sim}5.73%$$160{\sim}170$ 잔기/1,000 잔기 보다 높았으나, 가축뼈 콜라겐의 amino acid 조성비(204 잔기/1,000 잔기) 보다는 낮았다. 각시가자미뼈, 붕장어뼈 및 고등어뼈의 경우 건물당 조지방 함량은 $22.8{\sim}43.9%$이었고, 생리작용을 가지고 있는 EPA 및 DHA 등의 조성비는 $15.6{\sim}23.8%$로 오징어 내장의 그 성분들보다 낮았다. 어류뼈의 무기질은 대부분 칼슘$(37.1{\sim}38.6%)$및 인$(18.0{\sim}18.5%)$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들의 함량은 대구뼈(38.1% 및 18.5%) 및 명태뼈(38.6%, 18.3%)가 다른 어류뼈는 물론이고, 가축뼈보다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콜라겐 또는 젤라틴 추출 소재로는 민태뼈가, 칼슘 추출소재로는 대구뼈 및 명태뼈가 적절 하였다.

  • PDF

주낙어구의 자동화 -명태주낙어업의 자동화- (Automation of Longline -Automation of the Alaska Pollack Longline-)

  • 고관서;윤갑동;이춘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6-113
    • /
    • 1987
  • 명태주낙어업에서 전적으로 수동에 의존하고 있는 투승작업과 장승작업 및 낚시를 정리하는 작업을 자동기계화 시키기 위해서, 유압으로 구동되는 자동미끼는 장치와 자동양승기 및 미끼제거장치와 낚시정리대를 개발하여, 그 작동 성능을 실험실과 해상에서 실험하였고, 또한 자동투승기에서 유압장치 동작특성과 자동양승기의 낚시 분리성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압 회로의 압력이 높아질수록 미끼를 이송하고 절단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짧아졌으나, 미끼 절단 후 절단날이 정지할때까지 진행되는 각도는 커졌다. 2. 미끼의 이송과 절단에 적절한 유압회로의 압력은 $13\~20kgf/cm^2$이고, 미끼꿰는 효율은 염장한 양미리를 미끼로 했을해 $90\%$정도였다. 3. 자동양승기의 낚시 분리성능은 양승속도나 아릿줄의 재료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었고, 평균 $95.5\%$를 나타내었다. 4. 해상실험에서는 자동투승장치의 내진성이 문제되었으나, 자동양승장치는 실험실에서의 실험과 차이없이 양호하게 작동하였다.

  • PDF

명태 껍질 유래 콜라겐의 분자량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ollagen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from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Skin)

  • 양수진;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35-1542
    • /
    • 2014
  • 어류 부산물인 명태 껍질에서 콜라겐을 추출하기 위하여 0.1 N NaOH로 알칼리 처리 후 pepsin으로 효소 처리하였고 저분자화를 위해 neutrase를 이용하여 분자량별로 콜라겐을 제조하였다. 콜라겐은 1 kDa 이하, 1~3 kDa, 3~10 kDa 및 10 kDa 이상으로 분자량별로 분리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분자량에 따른 콜라겐 함량은 1 kDa 이하에서 36.43%로 가장 높았으며 유리 아미노산 조성은 1 kDa 이하, 1~3 kDa, 3~10 kDa 및 10 kDa 이상에서 각각 1,603.69, 1,000.55, 475.04, 415.73 mg/100 g으로 분자량이 작을수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콜라겐의 분자구조를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로 측정한 결과 분자량에 따른 콜라겐 모두 amide A, amide I, amide II, amide III의 범위에 wavenumber 속에 포함되었으며 콜라겐 표준품과 유사한 peak band 값을 나타내어 화학구조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전자공여능과 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은 1 kDa 이하에서 각각 29.51%, 38.45%로 가장 높았으며 분자량이 커질수록 그 값은 감소하였다.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alpha}$-MSH를 첨가한 tyrosinase 활성 측정은 1 kDa 이하에서 농도 유의적으로 tyrosinase 활성을 저해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광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는 HS68 cell을 이용하여 MMP-1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10 kDa 이상에서는 MMP-1 저해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3 kDa 이하에서는 MMP-1 저해 활성이 나타나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콜라겐의 분자량은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저분자 콜라겐은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 명태식해 숙성중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aste Compound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 차용준;김소정;김은정;김훈;조우진;유미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15-1521
    • /
    • 2004
  • 명태식해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고증 및 자문을 통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명태식해를 제조한 다음 숙성온도를 $5^{\circ}C$, $20^{\circ}C$, 변온(10일간 $20^{\circ}C$에 숙성후 $5^{\circ}C$에서 저장) 구간으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및 정미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태식해의 일반성분은 숙성중 큰 변화가 없었고, 전당은 5.63~13.41% 범위로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많이 감소하였다. pH는 $5^{\circ}C$에서 저장한 식해를 제외하고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여 3.8~4.4 범위를 유지한 반면에 총산, 아미노질소 및 VBN함량은 숙성기간과 함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의 증가폭이 컸고 변온의 경우는 이러한 함량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불휘발성유기산은 lactic, citric, malic acid의 순으로 식해의 신맛에 영향을 미쳤다. 유리아미노산(taste value로 환산한 경우)에서는 단맛과 감칠맛과 관련이 있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lysine과 쓴맛을 내는 valine, methionine 등이 숙성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hypoxanthine이 핵산관련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엑스분질소(Ex-N)의 함량은 숙성기간중 277~581 mg% 범위였으며, Ex-N의 1/2이상을 아미노질소가 차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총 creatinine-N, TMAO-N 및 TMAN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