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aska pollack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8초

정치망어업의 어획량변동에 관한 연구 (Fluctuation of the Catch by the Set Net Fishery)

  • 장호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3권4호
    • /
    • pp.177-183
    • /
    • 1987
  • 정치망어업에 의한 최근 15년 간(1971~1985년)의 어획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의 경년변동과 계절변동, 해역별 및 어종별 어획량 변동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망어업의 어획량은 1971년에 16,787M/T, 1985년에 84,103M/T으로서 대체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1978년부터 급격히 어획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79년에 99,475M/T으로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쥐치가 대량 어획되어 어획량의 64%를 차지하였고, 1976년 수산어법의 개정에 따른 통계수치의 증가에 원인이 있으며, 연안 수온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월평균어획량이 10~11월에 8,000~12,000M/T으로서 년평균 어획량의 32%를 차지하므로 정치망어업의 주어기는 10~11월로 볼 수 있다. 3. 1976년 이전에는 남해구에서, 1977~1980년에 동해구에서 정치망어업을 주도해 왔으나, 1981년 이후에는 그 경향이 불규칙하였다. 4. 어획량변동의 유사성 측면에서 볼 때, 어종별 어획량변동은 뱅어, 도루묵, 갈치, 멸치, 등과 같이 어획량이 감소하는 군, 노가리, 밴댕이, 망둥어, 전어, 양미리, 쥐치 등과 같이 증가하는 군 및 그 외 증감경향이 불분명한 군의 3개 군으로 대별할 수 있다

  • PDF

전분가수분해물의 어육단백질 동결변성 방지효과 및 작용기구 1. 옥수수전분가수분해물의 어육단백질에 대한 동결변성 방지효과 (Cryoprotective Effect and Mechanism of Corn Starch Enzyme Hydrolysates on Fish Protein 1. Cryoprotective Effect of Corn Starch Enzyme Hydrolysates on Fish Protein)

  • 이강호;정병천;홍병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23-828
    • /
    • 1998
  • 명태 actomyosin 용액에 대한 옥수수전분 가수분해물의 동결 보호 효과는 전기영동상 패턴, 용해도 및 $Ca^{2+}$-ATPase 활성 변화로 알아보았다. 먼저 전기영동상 패턴에서 0일차와 저장 30일차를 비교하였을 때, control의 경우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각 band들의 변화가 수반되었고, 특히 MHC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Sucrose 첨가구의 경우, 저장온도에 상관없이 band상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분가수분해물이 첨가된 시료들에서는 온도 의존성이 현저하여 $-5^{\circ}C$에서 저장한 시료들은 MHC band가 나타나지 않았고 반면에 $-20^{\circ}C$에서는 저장 30일 째에도 0일차와 거의 같은 양상을 보였다. 시료들을 $-5^{\circ}C$에서 저장할 때 용해도 변화는 sucrose의 경우 저장 30일 후에도 $90\%$ 이상의 높은 값을 유지한 반면에 나머지 시료들은 저장과 함께 급속히 감소하였다 $-20^{\circ}C$에서는 sucrose, D.E. 10, 15 및 20을 함유한 시료들은 약 $90\%$ 정도를 나타내었다. 잔존 활성 변화에서도 용해도 변화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명태 actomyosin 용액의 동결변성에 대한 옥수수전분가수분해물들의 보호효과는 저장온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고, 특히 D.E. 10의 경우는 기존의 동결변성 방지제인 sucrose와 비교하여 $-12^{\circ}C$ 이하에서는 거의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았고, 저감미, 저열량의 동결변성 방지제로서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로프 트롤 그물의 기본성능에 관한 모형실험 (A Model Experiment on the Basic Efficiency of Midwater Rope Trawl Net)

  • 예영희;이병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9권3호
    • /
    • pp.200-213
    • /
    • 1993
  • A model experiment on a midwater rope trawl net which is used in the North Pacific to catch alaska pollack is carried out in the circulating tank to examine the basic efficiency of the net. The prototype is the net used by M/S Hanil(1, 179GT, 2, 700PS), a Korean trawler. The model net was made according to the Tauti's Similarity Law of Fishing Gear in 1/100 scale by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the tank. To measure the basic efficiency of the standard model net, the vertical opening and width between some points marked on the net were measured, and the hydrodynamic resistance were determined. Then the constructive conditions of the net were varied as follows and the factors were measured again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those nets with that of the standard net(A-1 type) front weight multiplied 1.5 times: A-2 type. buoyancy and depressing force multiplied 1.7 times: A-3 type. front weight multiplied 1.5 times on A-3 type: A-4 type. depressors rigged at ground rope: B type. cod-end stuffed with cashmylon wad: C type.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vertical opening at the center of head rope was steeply decreased with the flow velocity increasing and the vertical opening H(m) can be expressed in H=1.2v super(-1.2)(v : flow velocity in m/sec). The width of the net varied a little when the flow velocity was over 0.4m/sec, and the width of net mouth showed about 37%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ore tips of net pendant. The shape of net mouth was almost a circle at 0.2m/sec and then steeply flatted elliptically with the flow velocity increasing and the area of mouth S(m super(2)) can be expressed in S=(1.65-2.3v)$\times$10 super(-2). The hydrodynamic resistance of the net increased almost linearly with the flow velocity increasing and the resistance R(kg) can be expressed in R=3.2$\times$d/l$\times$abv. where d/l denotes the mean of d(diameter of netting twine) and l(length of a leg in a mesh) from wing tip to the end of bag-net except cod-end on the side pannel, and a denotes the strectched circumference of the net at the fore end of a meshed part and b the stretched length of the whole net from wing tip to the end of cod-end. 2. In the condition-varied nets, the vertical opening of head rope showed some increase in every type net except the C type, and the increase showed the greatest in the B type by 30~54%, whereas it showed decrease in the C type by 5~10%. Variation of the area of net mouth showed almost the same tendency as the vertical opening and the increase showed the greatest in the B type by 20%, whereas it showed decrease in the C type by 12%. Hydrodynamic resistance showed some increase in every type compared with the standard net, and the rate of increase indicated 5~10% in the A-2, A-3 and A-4 type, 22% in the B type and 3% in the C type.

  • PDF

저염 명란젓갈의 품질지표 설정을 위한 연구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Quality Index of Low-salted Myungran-jeot)

  • 한진숙;조학래;조호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0-44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제조과정에서 조미액즙이 첨가된 저염명란젓갈을 $10^{\circ}C$에 저장하면서 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명란젓갈의 유통기한 예측을 위한 품질지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명란젓갈의 숙성 중 젖산 생성량의 변화는 저장 7일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7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한 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19일에 다시 증가하였다. pH의 변화는 젖산 생성량과 반대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10일까지 일정수준을 유지하다가 그 후에 증가하여 숙성 17일에 최고 값을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숙성 5일 이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저장 19일에는 $30mg\%$ 이상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시험에서 분변대장균은 전 실험기간동안 검출되지 않았고, 일반 세균수와 내염성균수는 초기에는 각각 $1.5\times10^3$$5.5\tiems10^3 CFU/g$였고, 저장 17일까지 일반 세균수와 내염성균수가 $10^7CFU/g$을 유지하였다. 본 실험에 제공된 시료는 조미액 첨가와 알루미늄 밀봉 포장방식으로 인하여 외관상 알의 표면에 효모군락이나 곰팡이가 발생되지 않아 외관 특성이 명란젓갈의 품질 지표가 되지 못한 반면, 입안에서 명란알의 입자감이 중요한 품질 지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17일까지는 명란젓갈의 관능특성과 기호도가 초기제품과 비교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명란젓갈이 발효식품임을 감안해 볼 때 제품의 상업적 품질이 유지되는 유통기간은 제품의 관능평가에서 입자감과 종합적 기호도가 초기 제품과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상태로, 휘발성염기질소량은 $30mg\%$이하, 내염성미생물수는 $1.0\times10^8CFU/g$미만으로 각각 설정하였다.

어류뼈를 이용한 수산연제품의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urimi Gel Using Fish Bone)

  • 염동민;주동식;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75-180
    • /
    • 1998
  • 어류뼈 속에 함유된 칼슘제를 이용한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품질 개선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칼슘 강화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제조조건 및 저온 저장 중 품질 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가용성 칼슘 및 젤리강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기능성 개선을 위하여 첨가하는 칼슘제의 적정농도는 고등어 육에 대하여 0.9%이었다. 가용성 칼슘함량은 이 조건으로 제조한 칼슘제 첨가 연제품(105.0 mg/100 g)이 칼슘 무첨가 제품(2.9 mg/100 g)보다 훨씬 높았다. 저장 중 칼슘 첨가 제품은 수분함량, 아미노산 조성, 칼슘 및 인함량의 경우 변화가 없었고, pH, 휘발성염기질소, 히스타민함량, 과산화물값 및 갈변도의 경우 대조제품에 비하여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생균수 및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곡류에 부족하기 쉬운 Iysine 등과 같은 아미노산, DHA, EPA 및 칼슘함량은 칼슘제 첨가 적색육어류 연제품이 무첨가 제품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칼슘제 첨가 연제품은 영양 및 기능성이 우수하고,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한 식품으로 판단되었다.

  • PDF

초등학교 급식의 수산물 이용실태 및 소비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and Consumption Promotion of Seafood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 조미연;이민준;이영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9-150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onsists in promoting seafood consumption by increasing its intake opportunities for children through analysis of seafood using frequency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For that purpose, randomly sampled out from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county were 155 dietitians and 5th grade 3581 children, on whom a mail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ir seafood using frequency, and preference, and lunch menu by season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seafood using frequency of the respondents represented the highest value in one or two times a week, while obstacles in seafood use presented high values in the safety of food by 71.6% and children preference by 68.4%. The seafood intake frequency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ree or four times a week by 34.5% and the places of seafood intake indicat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home by 43.5% and then school lunch and dining out. The dietitians responded that children for the most part had not a preference for seafood, whereas the children pointed out average by 46.2%. As for reasons for avoidance of seafood, the dietitians expressed the highest response in it depends cooking methods by 45.8%, while the children because of its peculiar taste and smell by 42.1%. Their required improvement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taste improvement by 51.8%. The children most preference for seafood that dietitians thought included fried Alaska pollack and shrimp cutlet, while dislikes braised mackerels and seasoned cold jelly fish. Cooking methods frequently used were represented in order of soup, hot soup, and stew, and the children's preferred cooking method was from fried food.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ntion to increase seafood using frequency is needed to at the time of planning the menus so that more seafood-providing opportunities can be given. The development of cooking methods is urgently needed that can change the taste or the smell of seafood, and concurrently with this conveniences be taken into account in eating such as elimination of bones, etc. as early as the states of purchase or checking of seafood. The reflection of the preferred cooking methods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atisfaction with the seafood as well as to the reduction of food remnants. The recommendation of intake of low preference but nutritionally good seafood is required to be expanded in nutrition education.

식품을 통한 다이옥신류의 노출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dioxins through foods)

  • 오금순;서정혁;백옥진;김미혜;이광호
    • 분석과학
    • /
    • 제23권6호
    • /
    • pp.595-606
    • /
    • 2010
  • 4년 동안(2004-2007) 국내 유통중인 식품 총 221건을 구입하여 다이옥신류(PCDD/DF + 다이옥신유사 PCBs)를 동위원소희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한국인의 다이옥신 1일 노출량을 산출하였다. 식품 중 다이옥신류의 검출량은 2004년과 2005년은 오염도 자료에 1998 WHO TEF값을, 2006년부터는 오염도 자료에 2005 WHO TEF값을 사용하여 다이옥신류 함량을 산출하였으며, 평균 검출량은 백미는 < 0.01 pg TEQ/g, 소고기 0.13 pg TEQ/g, 돼지고기 0.07 pg TEQ/g, 닭고기 0.04 pg TEQ/g, 우유 0.04 pg TEQ/g, 치즈 0.05 pg TEQ/g, 계란(노른자)는 0.13 pg TEQ/g, 수산물 중 고등어는 1.35 pg TEQ/g, 삼치 1.03 pg TEQ/g, 갈치 1.00 pg TEQ/g, 조기 0.16 pg TEQ/g, 명태 0.11 pg TEQ/g, 장어 0.52 pg TEQ/g, 굴 0.32 pg TEQ/g, 꽃게 0.14 pg TEQ/g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을 통한 한국인의 다이옥신류의 노출량은 체중 1 kg 당 1일 0.47 pg TEQ로 다이옥신류의 TDI (4 pg TEQ/kg bw/day) 대비 약 11%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수준은 건강상 위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물레나물(Hypericum ascyron L.)의 식중독 미생물 증식 억제 물질의 분리 및 식품적용 (Isolation of Growth Inhibition Substance on Food borne Microorganisms from Hypericum ascyron L. and Application to Food Preservation)

  • 한지숙;이지영;백남인;박일웅;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4-282
    • /
    • 2002
  • 물레나물 에탄올 추출물과 헥산 분획물은 L. monocytogenes 5균주에 대해 25 ppm에서 72시간까지 완전 균증식 억제 효과가 있었다. 물레나무 헥산 분획물의 항균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얻은 H2-5-2 소획분의 경우 실험 MIC가 10 ppm으로 그 항균력을 생균수로 나타내었을 때 초기 접종 균수보다 0.5 log cycle정도 감소하여 그 살균효과를 알 수 있었다.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 스펙트럼을 살펴보면 B. cereus나 S. aureus에 대해서는 실험 최저 농도인 25 ppm에서도 72시간까지 완전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50 ppm 첨가시 72시간 동안 균증식이 억제되었다. 물레나물의 항균활성 물질은 불포화도가 높은 sterol로 추정되었다. 쇠고기와 명태육 마쇄물에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을 첨가하여 $32^{\circ}C$$5^{\circ}C$에서 식품 적용 실험을 실시한 결과 $32^{\circ}C$ 저장온도에서는 쇠고기, 명태육에 첨가한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5^{\circ}C$ 저장온도에서는 명태육에 첨가된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은 항균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효과는 배양액 상태보다 감소하였다.

젓갈 및 젓갈대용 부재료 첨가 김치의 유기산 및 핵산관련 물질의 함량 (The Contents of Organic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Kimchi Prepared with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 박덕천;김은미;김은진;김영명;김선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69-776
    • /
    • 2003
  • 젓갈류(멸치액젓, 멸치육젓, 저염멸치액젓, 저염까나리액젓 및 새우젓)와 젓갈대용물(굴 가수분해물, 명태육 가수분해물 및 청각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를 20, 10 및 $4^{\circ}C$에서 숙성 중 pH, 총산도를 측정하고 pH 4.2와 산도 $0.6{\sim}0.8%$를 고려한 온도별 적숙기에서의 유기산 및 핵산관련물질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젓갈류 첨가 김치의 온도별 숙성 중 pH는 적숙기까지 대체로 빠른 감소를 보인 반면 산도는 빠른 증가를 보였다. 시험구별 적숙기에서 acetic acid와 lactic acid는 0일차 대비 대체로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malic acid는 $20^{\circ}C$에서, succinic acid는 $10^{\circ}C$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이었다. ATP, ADP 및 AMP는 0일차 대비 대체로 낮거나 비슷한 수준인 반면, IMP 및 HxR은 숙성에 따라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젓갈대용물 첨가 김치의 경우, pH 및 산도는 젓갈류 첨가 김치에서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시험구별 적숙기에서 acetic acid 및 lactic acid는 0일차 함량 대비 다소 높았고 malic acid는 증감하였으며 succinic acid는 0일차에서도 상당량 검출되었다. ATP 및 ADP는 굴 및 명태육 가수분해물 첨가구에서 0일차 대비 다소 높은 반면 다른 시험구에서는 대체로 다소 낮은 함량이었다. AMP도 $20^{\circ}C$$10^{\circ}C$ 숙성에서 ATP 및 ADP의 경우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IMP는 대조구 및 청각추출물 첨가구에서 0일차 대비 대체로 낮은 함량인 반면 굴 및 명태육 가수분해물 첨가구는 대체로 높았다. HxR은, 대조구와 젓갈류 첨가구 및 굴가수분해물 첨가구에서 0일차 대비 대체로 높은 함량이었다. 결론적으로, 김치의 숙성시 숙성 온도와 젓갈류 및 젓갈대용물 등의 부재료가 김치의 숙성을 결정하는 주요 영향요인일 뿐만 아니라 김치의 정미성분으로서 유기산과 핵산관련물질의 함량패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 연장 방안 1. pH 조정에 의한 연장 효과 (The Shelf-Life Extension of Low-Salted Myungran-Jeot 1. The Effects of pH Control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 김상무;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59-465
    • /
    • 1997
  • 저염 젓갈의 shelf-life를 연장하기 위하여 pH를 조정한 침지액으로 명란젓을 제조한 다음, 숙성과정중의 여러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숙성중 pH 변화는 어느정도 일정하였으나 젖산량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은 숙성초기에 급격한 젖산생성량을 나타내었다.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인 경우, 아미노태질소량은 숙성초기에 증가하였다가 그 후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VBN 량은 어느정도 증가하였으나 그 변화폭은 대조군 및 pH 7.0에서 제조한 명란젓보다 적었으며, TMA량도 대조군 및 pH 7.0으로 조정한 명란젓보다 작았으며 숙성이 진행되는 동안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TBA 값은 전 시료에 있어 숙성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은 대조군 및 pH 7.0으로 조정한 명란젓에 비해 증가율이 낮았으며 특히, 현저한 미생물 성장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대조군 및 pH 4.7로 조정한 명란젓 사이에는 뚜렷한 미생물 변화 차이는 없었다. 대조군 및 pH 7.0으로 조정한 명란젓의 shelf-life는 각각 약 12일로 뚜렷한 차이 (p<0.1)는 없었으나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은 16일로 대조군 보다 약 4일 정도 shelf-life가 연장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