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borne fungi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5초

Microbial Exposure Assessment in Sawmill, Livestock Feed Industry, and Metal Working Fluids Handling Industry

  • Park, Hyun-Hee;Park, Hae-Dong;Lee, In-Seop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권2호
    • /
    • pp.183-191
    • /
    • 2010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exposure concentrations of bioaerosols in industries suspected to have high levels of bioaerosol exposure. Methods: We selected 11 plants including 3 livestock feed plants (LF industry), 3 metal working fluids handling plants (MWFs industry), and 5 sawmills and measured total airborne bacteria, fungi, endotoxins, as well as dust.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measured with one stage impactor, six stage cascade impactor, and gelatin filters. Endotoxins were measured with polycarbonate filters. Results: The geometric means (GM) of the airborne concentrations of bacteria, fungi, and endotoxins were 1,864, $2,252\;CFU/m^3$, and $31.5\;EU/m^3$, respectively at the sawmills, followed by the LF industry (535, $585\;CFU/m^3$, and $22.0\;EU/m^3$) and MWFs industry (258, $331\;CFU/m^3$, and $8.7\;EU/m^3$). These concentrations by industry type were significantly statistically different (p < 0.01). The ratio of indoor to outdoor concentration was 6.2, 1.9, 3.2, and 3.2 for bacteria, fungi, endotoxins, and dust in the LF industry, 5.0, 0.9, 2.3, and 12.5 in the MWFs industry, and 3.7, 4.1, 3.3, and 9.7 in sawmills. The respiratory fractions of bioaerosols were differentiated by bioaerosol types and industry types: the respiratory fraction of bacteria in the LF industry, MWF industry, and sawmills was 59.4%, 72.0%, and 57.7%, respectively, and that of fungi was 77.3%, 89.5%, and 83.7% in the same order. Conclusion: We found that bioaerosol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awmills, followed by LF industry facilities and MWFs industry facilities. The indoor/outdoor ratio of microorganisms was larger than 1 and respiratory fraction of microorganisms was more than 50% of the total microorganism concentrations which might penetrate respiratory tract easily. 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ioaerosol in the surveyed industries should be controlled to prevent worker respiratory diseases.

국내 폐기물 취급업의 생물학적 인자 노출실태 (A Study on the Biological Hazards Exposure for Waste Handling Industries in Korea)

  • 박현희;박해동;이인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5-275
    • /
    • 2012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exposure concentrations of biological hazards in waste handling industries. Methods: We selected 3 recyclable waste sorting plants(RWS), 2 food recycling plants(FR), 1 landfill area(LA) and 1 waste incineration plant(WI). Total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measured with single stage impactor and gelatin filters. Endotoxin and glucan were measured with polycarbonate filters in total and respirable dust. Results: The geometric mean of airborne bacterial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FR($3,273CFU/m^3$), followed by LA, RWS, and WI as 1,334, 934, and $860CFU/m^3$. The fungal concentrations were 6,031, 5,052, 3,307, and $713CFU/m^3$ in RWS, WI, FR, and LA, respectively. By process, WI pit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bacteria, fungi, and endotoxin, followed by inside of bulldozer in LA. The indoor to outdoor ratios of bacteria, fungi, endotoxin and glucan were 2.3, 4.0, 2.3, and 5.0 in RWS, 29.5, 4.9, 7.6, and 5.0 in FR, 5.3, 8.7, 26.8, and 9.5 in WI, respectively. Conclusions: We found that biological hazards, specifically bacteria in FR, fungi in RWS and endotoxin in WI pit and bulldozer at LA, should be controlled to prevent worker's respiratory diseases.

알레르기 환자 가정에서 생물학적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평가 -세균, 진균,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 내독소를 대상으로 (Exposure Assessments on Biological Contaminants in Homes of Allergy Patients - Bacteria, Fungi, House Dust Mite Allergen and Endotoxin)

  • 문경환;변상훈;최달웅;김영환;이장희;이은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0-126
    • /
    • 2005
  • To assess exposure of allergy patients to a biological environment, measurements were made of level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house dust endotoxin and mite allergens in homes of 7 allergy patients and 12 healthy families. Concentrations of airborne total bacteria and the ratio of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I/O) in allergy patient's homes were high compared to non-allergy hous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be shown for the concentration of spores of viable fungi and staphylococcus in indoor air between the homes of allergic patients and healthy familie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n house dust mites, Dermatophagoids farinae were detected in all mattress samples and the levels in the allergy patient's homes were generally high, with individual measurements exceeding $2{\mu}g/g$ dust found in $30\%$ samples. In contrast with, Dermatophagoids pteronyssinus were detected in only $60\%$ samples and the concentrations were very low. The levels of endotoxin in dust samples collected from the allergy patient's home mattress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hous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ndotoxin levels and the house dust mite allergens.

입지조건에 따른 목조 문화재의 부유 진균의 분포 및 다양성에 관한 비교 연구: 보은 법주사와 순천 선암사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Airborne Fungi in Wooden Cultural Heritages Located at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 : Cases Studies on Seonamsa Temple, Suncheon and Bupjusa Temple, Boeun)

  • 홍진영;이정민;김영희;김수지;조창욱;박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1-142
    • /
    • 2019
  • 법주사와 선암사는 다른 지리적 조건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건물의 구조와 배치에도 차이를 보인다. 또한 지역적 기후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나 두 곳의 실내 외 공기질에 분포하는 부유 진균의 농도와 다양성을 2년 동안 계절별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선암사의 실내 외 환경에서 부유 진균의 농도가 법주사보다 높았지만 실내의 경우, 종 다양성은 낮았으며 전각들간의 농도 편차는 컸다. 실내의 경우, 법주사에는 총 54속 173점의 진균이, 선암사에서는 총 49속 162점의 진균이 분리되었고 외기 환경의 경우, 법주사에서는 33속 80점의 진균이, 선암사에서는 39속 745점의 진균이 분리되어 법주사는 실내에서, 선암사는 외기 환경에 더 다양한 진균이 분포하였다. 두 곳의 공기질에는 자낭균류가 90% 내외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담자균류와 접합균류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담자균류의 경우, 실내보다는 외기 환경에 더 많이 분포하였다. 두 곳 모두 다른 계절에 비해 4월 봄철과 가을철에 부유 진균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법주사는 특히 가을철에, 선암사는 4월 봄철에 더 높았다. 자낭균류인 Cladosporium 속은 모든 시기와 지점에서 검출되었으며 특히, 가을철 공기질에서 우점하였다. 또한, 비가 내려 대기가 습해진 공기질에는 담자균류의 번식이 급증하였는데, 이러한 대기 조건에 놓일때, 선암사가 법주사보다 생물피해에 더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 접해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속가공유 취급 작업장의 생물학적 인자 노출평가 (Microbial Assessment in Metal-Working Fluids Handling Industry)

  • 박현희;박동진;박해동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0-309
    • /
    • 2014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icrobial exposure hazards in the metal-working fluids(MWF) handling industry. Methods: Air quality parameters(airborne bacteria, fungi, endotoxin and oil mist) and bulk MWF in storage tanks were evaluated at 54 points at nine sites in South Korea. Results: The geometric means(GM) of culturable airborne bacteria, fungi, endotoxin and oil mist concentration were $133CFU/m^3$(n=376, range $7{\sim}6,510CFU/m^3$), $159CFU/m^3$(n=381, range $7{\sim}8,469CFU/m^3$), $8.06EU/m^3$(n=103, range $0.34{\sim}280.4EU/m^3$) and $0.20mg/m^3$(n=104, range $0.01{\sim}2.87mg/m^3$), respectively. The ratio of indoor to outdoor concentration was 2.7 for bacteria, 6.1 for endotoxin, and 4.8 for oil mist. Even though average airborne bacteria concentration did not exceed recommended exposure limits($1,000CFU/m^3$), MWF in the storage tanks was highly contaminated with bacteria(arithmetic mean $2.1{\times}10^6CFU/ml$) and exceeded recommended bacteria limits($10^5CFU/ml$). Conclusions: It is necessary for MWF handling workplaces to conduct periodical biohazard inspection of MWF storage tanks.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may be necessary to establish biological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유치원의 실내환경에서 공기중 미생물 수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Monitoring of Airborne Microbial Concentrations in Kindergartens)

  • 황광환;이아미;신현진;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53-259
    • /
    • 2003
  • 미생물학적 실내공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울산에 위치한 3곳의 유치원을 대상으로, 2002년 4월에서 2003년 1월에 걸쳐 계절별로 공기 중의 미생물 농도를 결정하였다. 미생물의 포집에는 충돌식 공기 채취기를 사용하였으며, 세균수는 Staphylococcus medium과 plate count agar, 진균수는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Staphylococcus medium에서 생장한 세균의 평균 농도는 827.0 MPN/㎥ 로 83.5~4,149.1 MPN/㎥의 범위였으며, plate count agar의 경우는 평균이 580.3 MPN/㎥로 50.0~2,636.0 MPN/㎥의 범위였다. 계절별 평균값은 여름이 가장 높았고, 가을, 봄, 겨울의 순이었으며, 세균의 집락수와 실내온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계절에 따라 그람양성의 구균은 전체 세균 집락의 45.6~61.0%, 그람음성의 막대균이 8.5~20.6%를 차지하였으며, Micrococcus spp.가 가장 우점하였다. 진균의 농도는 평균이 660.8 MPN/㎥로 0~1,887.5 MPN/㎥의 범위였으며, 계절별 평균값은 여름이 가장 높았고, 겨울이 가장 낮았다. 실내외 공기의 진균 집락으로부터 Penicillium spp.와 Aspergillus spp.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계절에 따른 미생물 농도의 변이와 학교의 실내환경에서 bioaerosol의 허용수준을 결정함에 있어 이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기입자상물질의미생물메타게놈: 분석방법, 특성및영향인자 (Microbial Metagenome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Methodology,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Parameters)

  • 강수경;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5-19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실외 대기 환경의 바이오에어로졸 혹은 입자상물질의 미생물 메타게놈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및 환경 인자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시료 채취 지역 및 환경 조건 특성별 대기 중 세균과 곰팡이 농도를 요약 하고, 에어로졸과 PM 시료의 세균과 곰팡이의 메타게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비배양법 기반 분석방법과 메타게놈 특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세균과 곰팡이의 메타게놈 특성과 다양성 및 특성에 미치는 기상 인자와 환경 인자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대기 중 미생물의 생존, 생장과 분산은 지역 기상 조건 및 대기 오염 물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AM 농도는 증가하지만, 여름에는 고온과 강한 자외선의 영향으로 AM 농도가 감소하였다. 습도와 미생물 농도는 양의 상관성을 보이나, 습도가 너무 높으면 AM의 분산이 지연되었다. 이러한 종합적인 고찰 결과는 대기권에서 미생물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이들 미생물에 의해 야기되는 환경 및 공중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 수립 및 저감 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Assessment of indoor air micro-flora in selected schools

  • Katiyar, Vinita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61-80
    • /
    • 2013
  • Quantification of viable forms of microbial community (bacteria and fungi) using culture-dependent methods was done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indoor air quality (IAQ). Role of those factors, which may influence the concentration of viable counts of bacteria and fungi, like ventilation, occupancy, outdoor concentration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also determined. Volumetric-infiltration sampl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collect air sampl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s. As regard of measurements of airborne viable culturable microflora of schools during one academic year, the level of TVMCs in school buildings was ranged between 803-5368 cfu/$m^3$. Viable counts of bacteria (VBCs) were constituted 63.7% of the mean total viable microbial counts where as viable counts of fungi (VFCs) formed 36.3% of the total. Mean a total viable microbial count (TVMCs) in three schools was 2491 cfu/$m^3$. Outdoor level of TVMCs was varied from 736-5855 cfu/$m^3$. Maximum and minimum VBCs were 3678-286 cfu/m3 respectively. Culturable fungal counts were ranged from 268-2089 cfu/$m^3$ in three school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 < 0.01) was indicated that indoor concentration of viable community reliant upon outdoor concentration. Temperature seemed to have a large effect (p < 0.05, p < 0.01) on the concentration of viable culturable microbial community rather than relative humidity. Consistent with the analysis and findings, the concentration of viable cultural counts of bacteria and fungi found indoors, were of several orders of magnitude, depending upon the potential of local, spatial and temporal factors, IO ratio appeared as a crucial indicator to identify the source of microbial contaminants.

국내 표고버섯 재배사에 바이오에어로졸로서 분포하는 진균의 농도와 종 분석 (Analysis of Fungal Concentration and Species Present as Bio-aerosols in Oak Mushroom Cultivation Houses)

  • 김성환;김지은;김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3-403
    • /
    • 2018
  • 공기에 의해 운반되는 바이오에어러졸은 농산물 오염을 널리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진균 포자는 버섯 재배 중에 버섯과 인간의 건강에 해를 끼치는 바이오에어로졸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표고버섯 재배사 실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진균의 농도 및 종 분포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5년과 2016년에 국내 6 개의 다른 지역에 위치한 13 개의 표고버섯 재배 농장에서 21 차례 실내공기로부터 진균 포자를 샘플링하고 분석하였다. 공기 중 진균 농도는 $1.30{\times}10^2-1.59{\times}10^4cfu/m^3$ 범위였다. 중요하게도 20 차례의 농장방문 시료 채취 결과에서 진균 농도가 환경부의 실내공기질 권장 기준 농도인 $500cfu/m^3$를 초과하였다. 총 450 균주의 진균이 분리되었으며 46 속 33 종으로 동정되었다. 이중에 인체 위해균(4 속 4 종)과 식물병원균(10 속 13 종)이 존재하였다. 또한, 버섯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해로운 종인 Trichoderma harzianum, T. atroviride 및 T. longibrachiatum가 21 건 시료 채취 중 17 건에서 빈도 높게 검출되었다. 본 결과는 버섯생산의 재배관리를 위해서 재배사 실내 공기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배양 가능한 공기중 미생물의 분포 및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ble Airborne Microorganisms in Composting Facility and Landfill)

  • 이보라;차민주;정춘수;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15
    • /
    • 2012
  •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bioaerosol은 작업자 및 주민에게 건강상 위해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들 시설에서 공기 중 세균과 진균의 농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울산시에 위치한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계절별로 bioaerosol 시료를 포집하였다. 공기중 세균의 농도는 퇴비화 시설에서 평균 $6.5{\times}10^3\;(1.5{\times}10^2-1.5{\times}10^4)\;MPN/m^3$, 퇴비화 시설 출입구에서 평균 $3.9{\times}10^3\;(6.0{\times}10^1-9.3{\times}10^3)\;MPN/m^3$이었는데, 이는 대조군 지점보다 각각 460배와 280배 더 높은 수준이었다. 대장균군 세균은 퇴비화 시설과 출입구에서 모두 검출되었다. 매립장에서 공기중 세균 농도는 평균 $4.9{\times}10^2\;(1.7{\times}10^2-1.0{\times}10^3)\;MPN/m^3$이었고,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100 m 정도 떨어진 매립장 주차장에서는 평균 $3.7{\times}10^2\;(4.8{\times}10^1-1.3{\times}10^3)\;MPN/m^3$이었으며, 이는 대조군 지점에 비해 각각 35배와 26배 더 높은 수준이었다. 공기중 세균을 분리하여 잠정적으로 동정한 결과 퇴비화 시설에서는 Pseudomonas luteola, 대조군 지점에서는 Micrococcus sp.가 우점하였다. 채취 지점별 공기중 진균의 농도는 평균 $4.8{\times}10^2-7.9{\times}10^2\;MPN/m^3$이었으며, 대조군 지점에 비해 2.1-3.4배 더 높은 수준이었다. 공기중 진균의 경우 Cladosporium, Alternaria, Penicillium의 3속은 모든 지점에서 검출되었으며, Aspergillus 속은 퇴비화 시설의 bioaerosol에서만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