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dried boar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밤나무와 오동나무 향판용재(響板用材)의 옥외(屋外) 옥내(屋內) 천연건조(天然乾燥) 속도(速度)의 비교(比較) (Comparisons of Rates of Air Drying and Shed Drying for Chestnut and Paulownia Soundboards)

  • 정희석;유태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577-583
    • /
    • 1998
  • 우리 전통 악기용 밤나무와 오동나무 향판용재를 여름 초순부터 잔적하여 70일간 옥외 천연건조와 150일간 옥내 천연건조하여 함수율, 건조속도 및 건조시간을 비교하였다. 밤나무 판재의 평균 최종함수율과 건조속도는 옥외천연건조의 경우 각각 20.6%와 0.78%/일(日)이었고, 옥내 천연건조의 경우 각각 16.6%와 0.44%/일(日)이었다. 오동나무 판재의 평균 최종함수율과 건조속도는 옥외 천연건조의 경우 각각 16.7% 와 1.53%/일(日)이었고, 옥내 천연건조의 경우 각각 13.5%와 0.77%/일(日)이었다. 이들 수종의 옥외 평균 천연건조속도는 옥내 경우보다 2배 정도 더 컸었는데 섬유포화점(30%) 이상에서 매우 컸었으며 감율건조하다가,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불규칙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옥내 천연건조속도는 밤나무의 경우 함수율 55% 이상, 그리고 오동나무의 경우는 함수율 80% 이상에서 컸었으며 감율건조하다가, 이들 함수율 이하부터 불규칙하게 감소하였다.

  • PDF

수피(樹皮)보드의 새로운 제조방법(製造方法)과 그 물리기계적(物理機械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new manufacturing process and physical, mechanical properties of barkboard)

  • 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26-34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nufacture bark board from oak bark by new processes and to examin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board. This process with no addition of adhesive used higher pressure and temperature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was applied with or without paraformaldehy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ew manufacturing process allowed a good bark board with high absorption coefficient. 2. The best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ark board was paraformaldehyde 10%-$250^{\circ}C$-100kg/$cm^2$-3 minutes, (bending strength 40kg/$cm^2$, internal bonding strength 2kg/$cm^2$) and the best manufacturing process for both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ark board and economic point of view was $250^{\circ}C$-100kg/$cm^2$-3 minutes (bending strength 28kg/$cm^2$, internal bonding strength 1.52kg/$cm^2$). 3. Bark board showed specific gravities from 0.94 to 1.03 and air dried moisture content 9.2% to 11.7%, but Bark board needed paraffin wax emusion treatment. 4. The absorption coefficient of bark boards had two peaks along with frequency; one in 200-400 cps, the other 1200-2000 cps. The former was low but the latter great.

  • PDF

적외선 화상처리 장치를 이용한 건조초기 목재 표면 온도 측정 (Measuring Temperature on Wood Surface at the Beginning of Drying Using IR Image Measuring System)

  • 이관영;강호양;이민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79-85
    • /
    • 2006
  • Temperature of board surface was monitored during drying using an IR image measurement system. Boards were water-saturated and dried at the levels of four temperatures and three air velocities. At higher DB the surface temperature increased more steeply and level off period was significantly short. At the DB temperatures of 70, 80, $90^{\circ}C$ the period where the surface temperature was equivalent to WB temperature was constant regardless of air velocity while at $60^{\circ}C$ it decreased as air velocity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a surface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d with DB temperature. Variation of temperature profile on a wood surface increased with DB temperature and air velocity.

  • PDF

건조전(乾燥前) 선별(選別)에 의한 Southern pine재(材)의 고온건조(高溫乾燥) (High-temperature Drying of Southern Pine Lumber by Green sorting)

  • 소원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51-60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een sorting before drying on the high-temperature drying characteristics of southern yellow pine dimension lumber(2"${\times}$6"${\times}$12'). To test the advantages of weight sorting, green lumber was seperated into heavy(above 55 1b), medium(50-55 1b), and light(below 50 1b)weight classes. Pieces in each weight class were subgrouped into high(above 35%) and low(below 30%) latewood groups. Groups were dried and seperated by a standard commercial high-temperature schedule; dry bulb temperature $245^{\circ}$ F, wet bulb temperature $180^{\circ}$ F, and air velocity 1200fp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nual rings per inch(X) and percent-latewood(Y).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24, 5047+1.3272X. 2.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ither annual rings per inch($X_1$) or percent-latewood($X_2$) a.d specific gravity in green wood(Y). Their regression equations were Y=0.4260+0.0081$X_1$ and Y=0.3749+0.0029$X_2$, respectively. 3. Heavier weight charges dried more slowly than lighter weight charges. 4. Board-to-board variation in green or dry moisture content was less for all seperate weight classes than for unseperated control charges. 5. Lower latewood pieces had higher initial moisture content than higher latewood pieces, and then drying time for lower late wood pieces was longer than higher latewood pieces.

  • PDF

저압증기폭쇄(低壓蒸氣爆碎)처리가 고온영역(高溫領域)하에서의 목재(木材) 수지삼출(樹脂渗出) 예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Pressure Steam Explosion Treatment on Prevention of Resin Exudation from Wood under High Temperature Surroundings)

  • 이남호;박희준;;진영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9-18
    • /
    • 2004
  • 본 과제는 Spruce재가 사우나와 같은 고온 공간용 부재(部材)로 사용되어질 때 나타나는 수지삼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그 방안을 제시코저 수행하였다. 건식(乾式)공간용 부재(部材)의 경우 적절한 열기건조가 이루어진다면 별도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더라도 110℃의 수지삼출 안정선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고주파진공건조에 의해 수지삼출 안정선이 열기건조보다 약 20℃ 정도 더 상승하였다. 습식(濕式)폭로시험에서는 저압증기폭쇄처리재의 경우 열기건조재나 고주파진공건조재 모두 수지가 전혀 삼출되지 않은 반면에, 무처리재의 경우 건조방법에 관계없이 130℃ 이상의 폭로조건에서는 수지삼출의 정도가 건식(乾式)폭로시험의 경우보다 심한 것으로 나타나, 수지삼출을 예방하기 위하여 인공건조중 저(低)함수율 상태의 건조말기에 고온(高溫)을 적용하여 건조하는 것보다는 건조전 고(高)함수율 상태에서 과열(過熱)증기로 분무(噴霧)처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침엽수(針葉樹) 제재(製材)의 4계절별(季節別) 천연건조(天然乾燥) 과정(過程)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Air-Drying Process in Four Seasons for Some Softwood Lumbers)

  • 정희석;이남호;이준호;권주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28-36
    • /
    • 1997
  • Several thick board and dimension lumbers of Japanese larch(Larix leptolepis), Dahurian larch(Larix gmelini) and radiata pine(Pinus radiata) air-dried in four different seasons to compare air-drying process. Patterns of air-drying curves were influenced by climatological conditions and limber thickness. The initial drying rates of summer were the highest, followed those of fall, spring and winter. The drying times to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 for four seasons were nearly the same except for winter. However, the drying time for winter required twice more time than the other seasons. The drying time of dimension lumbers required 1.3 times more than boards. The final moisture contents were lowest during spring, highest during winter and similar between summer and fall.

  • PDF

이태리포푸라재(材)의 건조성(乾燥性) 및 성질개선(性質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Press-drying of Italian Poplar Board and its Effect on Improvement of Wood Property)

  • 정희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30
    • /
    • 1978
  • 이태리포푸라재(材)의 건조(乾燥)의 한 방안(方案)으로서 열판건조(熱板乾燥)를 실시(實施)하여 건조중(乾燥中) 판재(板材)의 내부온도(內部溫度), 판재(板材)의 내부온도별(內部溫度別)에 따른 판재(板材)두께,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과 건조시간(乾燥時間)의 관계(關係), 건조중(乾燥中) 함수율(含水率)과 건조속도(乾燥速度), 수축율(收縮率)과 복원율(復元率), 그리고 열판건조재(熱板乾燥材)의 생재비중(生材比重),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 경단방향(徑斷方向) 전수축율(全收縮率) 등(等)을 조사(調査)하고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판재(板材)의 내부온도(內部溫度)는 건조초기(乾燥初期)에 급격히 상승(上昇)해서 15분(分) 동안 거의 일정(一定)하게 유지된 다음 서서히 상승(上昇)하였다. plateau temperature는 $114{\sim}119^{\circ}C$이었다. 2. 판재(板材)의 내부온도별(內部溫度別)에 있어서 판재(板材)의 건조시간(乾燥時間)(y)와 판재(板材)두께($x_1$),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x_2$),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x_3$) 사이에 관계식(關係式)은 다음과 같다. 3. 열판건조(熱板乾燥)의 건조시간(乾燥時間)(t)에 대(對)한 건조중(乾燥中) 함수율(含水率)(u)의 관계(關係)는 log u=4.658-0.060t(R=-0.990)이고, 건조속도(乾燥速度)(r)의 관계(關係)는 log r= -2.797-0.049t(R= -0.992)의 곡선(曲線)으로 각각(各各) 나타났다. 그리고 천연건조중(天然乾燥中) 함수율(含水率)과 건조속도(乾燥速度)는 그림 2 와 같다. 4. 열판건조중(熱板乾燥中) 건조시간(乾燥時間)(t) 에 대(對)한 판재(板材)두께 (y) 수축율(收縮率)의 관계(關係)는 log y= l.933+038t(R=0.927)이고, 판재복(板材福) 팽창율(膨脹率)(y)의 관계(關係)는 $y=-0.692+0.043t-0.001t^2(R=0.984)$의 곡선(曲綠)으로 각각(各各) 나타났다. 5. 말기함수율(末期含水率) 2%까지 건조시(乾燥時)에 열판(熱板)의 압력별(壓力別) 따른 두께 수축율(收縮率)은 압력(壓力) 높아질 수록 커졌으나 폭수축율(幅收縮率)과 두께 복원율(復元率)은 35psi에서 가장 컸다. 6. 열판건조재(熱板乾燥材)의 생재비중(生材比重)은 천연건조재(天然乾燥材)의 것보다 25% 증가하였으며,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은 24% 감소하였고, 열판건조재(熱板乾燥材)의 항수축율(抗收縮率)은 27.7%이었다.

  • PDF

생산공정 현장실사를 통한 수입 집성재로부터 규제해충 검출 원인 조사 (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Interception of Regulated Pest from Imported Glue-laminated Boards Through In-situ Inspection of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 김민지;신현경;최용석;;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17-621
    • /
    • 2016
  • 본 연구는 규제해충(이하 해충이라 칭함) 검출 건수 상위 3개국인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중국의 집성재 생산업체에 대한 현장실사를 통해 해충 검출 원인을 파악하여 검역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적정 집성재 생산공정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실사 결과, 수입 집성재로부터 해충 검출은 생산공정상의 문제(층재의 천연건조 또는 미흡한 열기건조, 건조 층재의 부적절한 보관, 집성재의 불완전 포장)로 확인되었다. 특히 중국은 오동나무 층재를 전적으로 천연건조하는 점을 비롯하여 생산공정이 전반적으로 가장 불량하였다. 향후 수입 집성재의 검역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입업체 스스로 해외 생산업체에 층재에 기 서식하던 해충의 구제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건조 층재나 완제품인 집성재에 대한 해충 가해를 예방할 수 있는 타당한 집성재 생산공정(층재의 적절한 열기건조, 집성접착 전까지 건조 층재의 밀봉 보관, 집성재의 밀봉 포장)의 적용을 요구하여 수입 집성재로부터 해충이 검출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집성재 제조용 중국산 층재 수종의 적정 열처리 시간 평가 (Estimation of Heat Sterilization Time of Chinese Laminae Species Used in The Production of Glue-laminated Board)

  • 김민지;신현경;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760-766
    • /
    • 2016
  • 본 연구는 $70{\sim}100^{\circ}C$ 온도 범위에서 기건 오동나무, 소나무류, 젓나무류, 낙엽송류 층재의 건열처리시 중심부 온도를 $56^{\circ}C$로 상승시킨 후 30분간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열처리 시간을 평가하고, 열처리 온도 및 층재 두께와 열처리 시간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열처리 시간은 소나무류 ${\geq}$ 전나무류 > 오동나무 > 낙엽송류 순으로 수종간에 상이하게 나타났다. 일부 수종에서 통계학적으로는 유의성 있는 열처리 시간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그 차이가 실제적 측면에서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공시수종을 혼합하여 열처리 해도 무방하리라 사료된다. 열처리 시간은 열처리 온도와 거듭제곱 관계로 온도가 상승할수록 크게 단축되었다. 또한 열처리 시간은 층재 두께에 비례하여 직선상으로 증가하였다. 열처리 온도 및 층재 두께와 열처리 시간의 상관이 매우 우수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관계 함수를 이용하면 다양한 열처리 온도와 층재 두께에서의 열처리 시간 예측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산 집성재 수입을 통한 규제해충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건 층재의 열처리를 위한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