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worker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7초

Workplace Violence and Safety Issues in Long-Term Medical Care Facilities: Nurses' Perspectives

  • Fasanya, Bankole K.;Dada, Emmanuel 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7권2호
    • /
    • pp.97-101
    • /
    • 2016
  • Background: Workplace violence (WPV) is becoming an issue that needs immediate attention in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during this period as more states are adopting the "stand your ground laws to promote worker prot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WPV has contributed to an unsafe environment for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who work in long-term medical care facilities. Methods: A structur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or the study. Three facilities were sampled and 80 nurses and certified nursing assist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Ninety-two percent (n = 74) were female and 8% (n = 6) were male. Approximately 62% were black or African American, approximately 33% were Caucasians, and only 2% were from other ethnicities. Results: We found that 65%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WPV while 41% believed that management shows little or no concern for their safety. Approximately 23% of respondents believed that reporting supervisor's WPV act is an unsafe action. In addition, 22% of those who report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WPV believed that the work environment is not safe to perform their duties. Thi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workplace safety between those who had experienced WPV and those who had not was significant (t = 3.95, df = 158, p < 0.0001). Conclusion: WPV is an epidemic problem that affects all health-care profession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help long-term medical care facilities' management identify the areas to focus on mitigating, controlling, and/or eliminating incidents of WPV.

농산물우수관리제도 (GAP) 적용을 위한 고추농가의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Hot Pepper Farms for the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 남민지;허록원;이원경;김경열;정도영;김정숙;심원보;정덕화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163-17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고추재배 농가에 대한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수행하였다. 경북 청송에 위치한 고추재배 농가 3곳을 선정한 후 재배환경 도구, 작물, 작업자 및 공중낙하균에 대하여 시료를 수집하였고, 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및 곰팡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곰팡이는 3 곳의 농가에서 각각 0.7~6.2, 0.2~4.7, 0.4~4.3 log CFU 수준으로 확인되었고 총 90점의 시료 중 4점의 시료(작물 잎 1점, 농업용수 1점 및 토양 2점)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B 농가의 작업복에서만 $1.0log\;CFU/100cm^2$로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는 B와 C 농가의 재배환경 도구와 작업자에서 1.0~2.5 log CFU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다른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한계이하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추에 대한 잠재적인 미생물학적 위해가 확인되었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 예를 들면 GAP와 같은 관리시스템이 미생물학적 위해로부터 고추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설재배지에서 토양처리농약 Cadusafos, Ethoprophos와 Probenazole 입제 처리 후 휘산 양상과 농작업자 노출 (Worker Exposure and Volatilization Pattern of Cadusafos, Ethoprophos and Probenazole after Applying Granular Type Formulation on Soil in Greenhouse)

  • 박병준;이지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0-165
    • /
    • 2011
  • 시설재배지내의 밀폐공간에서 토양처리농약의 살포 후 농작업으로 작업자의 농약중독 우려가 상존하므로 농약중독예방 방지를 위해 살포농약의 휘산양상과 농작업자 노출량 산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흡착제를 이용한 공기 중 ethoprophos, cardusafos, probenazole의 회수율은 각각 charcoal 흡착제 80.9~121.1%, XAD-4 흡착제가 90.6~99.0% 수준으로 양호하였다. lysimeter에 토양을 혼화처리 한 후 온도별 농약의 휘산은 온도가 높을수록 휘산이 잘되었으며, 특히 수분이 존재 하는 $35^{\circ}C$조건에서는 ethoprophos의 경우 3~5배 휘산량이 증가하였다. 면적 245 $m^2$ 시설하우스 재배포장에서 ethoprophos 입제를 150 g (a.i.) 토양과 혼화처리하고 지면으로부터 50 cm 상층에서 처리 46시간까지 토양처리제인 ethoprophos의 휘산량은 17.8~186.4 ${\mu}g/m^3$이었다. 동일조건에서 cadusafos 180 g a.i./245 $m^2$ 약량을 처리했을 때 처리 39시간째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46시간까지 공기중농도는 10.0~37.3 ${\mu}g/m^3$이었다. Probenazole은 144 g a.i./245 $m^2$ 약량을 처리했을 때 처리 37시간째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46시간까지의 공기중 농도는 0.23~1.45 ${\mu}g/m^3$ 수준이었다. 약제처리 후 하우스내 공기중 농약성분의 최대잔류량은 13~39시간 사이에 최대잔류가 되었고 토양처리농약인 ethoprophos 입제와 cadusafos 입제는 휘산성이 높음으로 농작업자 재출입 기간은 살포 후 48시간 이후로 설정해야 할것이다.

여성농업인의 농업활동 증명을 위한 생활일지 개발 (Developing a Diary Designed for Woman Farmer's Time Use to Prove Farm Work)

  • 이진영;김경미;최윤지;김정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2권2호
    • /
    • pp.137-150
    • /
    • 2005
  • 여성농업인이 결코 남성보다 적지 않게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농가소득에 기여를 함에도 노동에 대한 가치가 인정되지 않고 있다. 농업주종사 여성의 82% 이상이 농업농촌기본법상의 '연간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여 실제 농업인이지만, 이를 증명하기 곤란한 상태이다. 이러한 농업인 증명의 어려움으로 정부 정책 및 제도, 상재해 보험 보상시 여성농업인 노동에 대한 가치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기록이 법정에서 증거자료로 인정된 사례와 법률관계자 자문에 따라 실제 농업에 종사하나 증명이 곤란한 여성 등 가족종사자의 농업인 증명이 가능한 생활일지를 개발하였다. 생활일지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을 위한 현장적용 시험 결과에서 생활일지 기록 습관은 회계관리, 경영활동 및 효율적인 시간관리 등 여성의 전문농업경영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농업종사자를 직업인 인정이 가능한 법으로 정비되고 제도적 지원이 더 궁극적인 목표이지만, 현실적으로 농업인 범위에서 제외되는 농업종사자를 위한 지위인정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생활일지 개발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생활일지의 목적이 실생활에서 반영되어 여성농업인의 노동을 증명하는 자료로써 활용해야 할 것이며, 적극적으로 판례를 만들어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생활일지 기록활동은 경제활동 주체로서의 자기인식과 농업경영과 관련된 지식 및 자료의 축적에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농업인의 농업경영능력 향상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사상체질과 작업특성간의 실증적 상관관계 연구 (An Empirical Correlation Study Between Sasang Constitutions and Job Characteristic)

  • 윤상원;갈원모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7-47
    • /
    • 2000
  • 작업자의 기질적 특성, 능력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이루어진 작업들은 제조현장의 많은 문제점들이 되고 있으며 이런 결과들은 산업재해 및 직업병의 원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조경영 관점에서 품질 및 생산성 저하의 결과들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작업특성과 사상체질간의 구명을 시도한다. 체질의 기존의 이론인 사상체질(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을 QSCC II와 한의사의 도움으로 실질적인 구분을 실시하고, 체질이론의 공학적 응용의 기존문헌을 고찰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농기계 전문생산 업체를 중심으로 특정 사상체질의 작업자 중심으로 주요 작업특성을 해석하고 그 결과 작업자의 체질에 따라 작업특성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증적 연구로서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한 작업현장의 장면을 가상현실 장비 및 EEGs를 사용하여 체질변화에 따른 작업자의 뇌파효과를 조사한다. 조사된 뇌파 데이터를 통계분석 처리하여 그 다양한 뇌파 변화의 관계성을 보여준다. 최종 연구결과들은 추후 작업특성간의 비교 연구과정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품질 증진에 크게 공헌할 것으로 추측된다.

  • PDF

Fipronil의 꿀벌 (Apis mellifera)에 대한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Fipronil on Honeybee (Apis mellifera))

  • 김병석;양유정;박연기;정미혜;유아선;박경훈;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4
    • /
    • 2009
  • 벼농사용 살충제인 fipronil의 비의도적 노출에 의한 꿀벌(Apis mellifera L.)의 피해를 확인하기 위해 급성독성시험, 엽상잔류독성시험, cage를 이용한 소규모야외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접촉독성시험에서 24시간과 48시간의 $LD_{50}$은 각각 0.008, $0.005{\mu}g$ a.i./bee 로 꿀벌에 매우 강한 급성독성을 보였으며 급성위해지수(QHc)는 12,500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엽상잔류독성시험에서는 피프로닐 액상수화제 살포 후 28일까지 90%이상 치사율을 보여 장기간 꿀벌에 독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fipronil의 표면부착잔류량(dislodgeable foliar residue)을 분석한 결과 $DT_{50}$은 9일, $DT_{90}$은 31일이었다. 야외시험의 결과에서도 28일의 치사율이 40%로 조사되어 실내 엽상잔류독성시험과 유사한 잔류독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fipronil은 꿀벌에 대한 급성독성이 매우 강하면서 장기간의 잔류독성이 있어 잎 표면의 매우 낮은 잔류량으로 꿀벌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살충제이다. 따라서 재배작물뿐만 아니라 살포지역 인근의 밀원식물에 약제살포시 바람에 날려 오염될 경우 화분매개용 꿀벌과 자연생태계 유용곤충에 위해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꿀벌이 왕성한 활동을 하는 시기에는 야외살포를 금지하여야 하며, 궁극적으로 야외생태계 유용곤충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실내사용 목적으로만 사용되도록 제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enzimidazole계 살균제의 농작업자 위해성평가 (Operator exposure risk assessment of benzimidazole fungicides on Korean agricultural condition)

  • 이제봉;신진섭;정미혜;박연기;임건재;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47-353
    • /
    • 2005
  • 한국 농업환경에서 benzimidazole계 살균제의 안전사용 및 농약살포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단기(30일 이내) 및 장기(6개월 이상) 노출에 대한 농작업자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농작업자의 노출량 산출은 일본의 EPN 45% 유제 노출시나리오를 이용하였으며, 일일 작업시간은 4시간으로 가정하였고, 작업자에 대한 급성 및 만성 허용노출량(AOEL)은 단기노출은 기형독성, 만성노출은 만성독성 NOAEL로부터 산출하였다. Benzimidazole계 농약들은 US/EPA가 $Q_1^*$를 설정하여 발암성평가를 하고 있는 농약들로서 본 연구에서도 작업자의 만성 노출에 대한 발암성평가를 평균일일노출량(LADD)를 일생 동안 농업에 종사하는 연수, 농약살포 횟수, 농업형태 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농작업자에 대한 농약 노출량은 benomyl, carbendazim 및 thiophanate-methyl에 대하여 각각 0.2, 0.36 및 0.42 mg/kg/day 이었고, sAOEL은 0.3, 0.1 및 0.2 mg/kg/day 이었으며, cAOEL의 경우 benomyl과 carbendazim은 0.025, thiophanate-methyl은 0.08 mg/kg/day이었다. 만성 및 발암위해성평가를 위한 LADD는 benomyl 0.0038, carbendazim 0.0067 및 thiophanate-methyl 0.0081mg/kg/day로 산출되었다. 위의 수치를 이용하여 AOEL/exposure를 산출한 결과 급성위해성은 $0.28{\sim}1.5$, 만성 위해성은 $3.73{\sim}9.88$로서 작업자에 대한 급성 위해성은 보호장비를 착용할 경우 최대 90%까지 노출량이 감소하므로 보호장비 착용시 안전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만성 위해성은 AOEL/exposure가 1 이상으로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발암위해성평가 결과는 보호장비를 착용할 경우 $9.12{\times}10^{-7}{\sim}1.13{\times}10^{-5}$으로 실제적인 농약살포 인자를 고려하여 평가하면 농약살포자에 대한 위해성은 없을 것으로 추정되나 보다 실제적인 노출성적을 이용한 농약살포 작업자 위해성평가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쪼그려 앉는 의자의 적절한 높이 평가와 착용의자의 인간공학적 디자인 (Evaluation of Proper Height for Squatting Stool and the Ergonomic Design of Wearable Stool)

  • 정화식;정형식
    • 산업공학
    • /
    • 제18권3호
    • /
    • pp.288-296
    • /
    • 2005
  • Many jobs and activities in our daily lives require squatting postures. The fore part includes housekeepers, farmers, and welders and the latter includes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housekeeping; planting, cultivating and harvesting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grinding, welding, etc. It is speculated that prolonged squatting postures without any supporting stool would gradually cause musculoskeletal injuries to worker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proper height of stool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orking materials and to develop wearable stools for workers with squatting posture. Forty male and fe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o find the proper height of stool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orking materials. Subjects were asked to squat and work with 3 different working positions: floor level; ankle level; shank level of 3 different stool height conditions: 10cm height; 15cm height; and 20cm height. After 5 minutes of maintaining a squatting work posture while sitting on the different height stools, Likert summated rating method as well as pairwise ranking test was applied to evaluate the user preferences for provided stools under the conditions of different working positions.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the subjects preferred 10cm height stool for floor level, 15cm height stool for ankle level, 20cm height stool for knee level. We thus strongly recommend to use appropriate height stool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working positions. Moreover, a prototype wearable stool was designed such that workers with squatting posture do not need to move the stool while they are moving about. The purpose of developing wearable stool was to decrease the physical stress and hence promote worker's health who work with squatting posture.

돼지 및 닭에서 분리된 균에 대한 봉독의 최소억제농도(MIC)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bee venom against bacteria isolated from pigs and chickens)

  • 김순태;황지영;성명숙;제소양;배동록;한상미;이성해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26
    • /
    • 2006
  • Bee venom is synthesized in the venom gland's of worker and queen bees and stored in their venom sacs. Bee venom is a rich source of enzymes, peptides and biogenic amines. there are at least 18 active components in the venom which have some pharmaceutical properti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bee venom against bacteria isolated from pjgs and chickens with disease. In case of reference strains, the MIC $({\mu}g/m{\ell})$ of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 and Salmonella typhimurium ATCC 6538 were 64, 64 and 32, respectively. In case of bacteria isolated from pig and chicken, the MIC of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hyicus and Staphylococcus chromogenes were 8, 128 and 128, and that of 11 strains of Escherichia coli were 8 to >512 and that of 8 strains of Salmonella sup were >512. Antibacterial resistance test of 22 strains isolated from pig and chicken and 3 reference strains were performed by agar gel diffusion method, using 17 antibacterial drugs including penicillin, cefazolin, tetracycline and quinolone group. The multiple drug resistant patterns were found in most strains isolated from pig and chicken.

보건소 등록결핵환자중 중단자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faulters of Tuberculosis Patient Registered at Health Center in Kyongnam Area)

  • 김용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6권1호
    • /
    • pp.73-81
    • /
    • 198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result of Tb worker's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of follow up program as part of the government tuberculosis program.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also to improve the method of managing the patient who were registered at health center by the setting the priorities depend upon in their results of sputum examination and X-ray examination. All the medical records of 509 patients who were dropped out from government health center in Kyongnam area during 1978,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study. 1. The number of investigated cases were 509 (356% males and 153 females), by age the most prevalent group was 20~29 year old group as 27.3% and 20~40 year old group was 61.5%, above 61 year old was 14.9%. 2. The microscopic result of their sputum was positive in 52.1%, and by X-ray examination moderate advanced case was 63.9% minimal 18.5% and far advanced 17.6% in order. 3. Average duration of treatment was 9.03 months, 11.4 months in microscopic positive cases and 6.5 months in negative cases. 4. Conversion rate of microscopic positive case was 42.9% on sputum culture, in the negative cases, it was confirmed in negative 20.1% only by the initial sputum culture. 5. The rate who get take X-ray and sputum examination among any family member of the patients was 43.4% in positive cases, 20.9% in negative cases. 6. 80.2% of positive cases took X-ray for following up in every 6 month after registration, 41.0% in negative cases. 7. Defaulting reasons which recorded in individual card were undetermined reason (42.0%), treating elswhere (22. 4%), refused treatment (17.9%) and moved out (17.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