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lake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9초

아산호 용수공급용량 유지를 위한 적정 준설량 산정 (Estimation of the Optimal Dredge Amount to Maintain the Water Supply Capacity on Asan-Lake)

  • 장태일;김상민;강문성;박승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2호
    • /
    • pp.45-55
    • /
    • 2006
  • This study analyze the hydrologic conditions and the effects of selected runoff characteristics as an attempt to estimate the optimal dredge amount for Asan Lake in Korea. The runoff feature was calculated by utilizing the water balance simulation from DIROM (Daily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 Model), which allowed changes in landuse to be quantified using remote sensing for 14 years. The distribution of prospective sediment deposits was been tallied based on the changes in landuse, and quantity of incoming sediment estimated. From these findings, we were then able to simulate the fluctuation of water level, gauging the pumping days not already in use,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distribution for around the. requirement annual water storage and the changing water level. The optimal dredge amount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distribution of frequency, taking into account the design criteria for agricultural water with the 10-year frequency of resistant capacity.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시화호의 수온과 염분 변화 (Impact of Seawater Inflow on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in Shihwa Lake, Korea)

  • 최정훈;김계영;홍대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41-552
    • /
    • 2000
  • 1997년 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총 33회에 걸쳐 시화호내 11개 정점에서 장기간 관측한 수온, 염분 자료를 이용하여 배수갑문운용에 따른 시화호의 물성변화를 파악하였다.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통이 없었던 1997년 3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시화호내의 염분은 15psu 이하로 나타났으며, 약 11m 수심을 경계로 염분에 의한 강한 성층이 관측되었다.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입이 시작된 1997년 7월에는 태양복사열의 증가로 표층수온이 급격히 상승하여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가 약 10^{\circ}C$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1997년 10월{\sim}$12월에는 표층에 비해 저층 수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온역전현상이 발생하였다. 1997년7월 배수갑문 개폐시기를 전 ${\cdot}$ 후로 배수갑문 내측에 위치한 정점에서 장기간 수온, 염분, 유속 및 유향을 조사한 결과, 해수유입시 수온과 염분이 대칭적인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외해로부터 해수 유입시마다 저온, 고염의 해수가 시화호 내로 유입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1998년 1월 이후에는 지속적인 배수갑문 개폐의 영향으로 시화호의 염분이 30psu 이상으로 해수화되었으며, 배수갑문 개폐 이전에 비해 성층이 크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화호 유입하천의 수질오염물질 농도에 관한 연구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Concentrations in the Streams of Shihwa Lake)

  • 장정익;한인섭;김경태;나공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9-29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시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천을 통해 시화호로 유입되는 수질오염물질의 농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화호 유역 하천수 내 부유물질(SS),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용존영양염($NO_2$, $NO_3$, $NH_4$, $PO_4$, $SiO_2$), 총인(TP) 및 총질소(TN) 등을 분석하였으며 조사시기별 및 지역별(산업지역, 도시지역 및 농업지역) 하천수의 오염물질 농도 특성을 비교하였다. 12월 조사 결과가 다른 조사 시기에 비해 모든 수질항목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산업지역 내 하천수에서의 COD의 평균값은 12.6 mg/L로 도시지역(6.6 mg/L) 및 농업지역(5.9 mg/L)에 비해 약 2배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총인 농도는 COD와 유사하게 산업지역 내 하천수에서 가장 높았고 농업지역 내 하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용존 인산염($PO_4$)이 약 21%를 차지하고 있었다. 총질소는 산업지역, 도시지역 및 농업지역에서의 평균농도가 각각 5.89 mg/L, 3.02 mg/L 및 5.27 mg/L로 산업지역과 더불어 질소계 비료의 사용의 영향으로 농업지역에서도 높은 농도를 보였다. 조사시기 및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총질소 중 질소화합물의 평균비율은 $NH_4$ (35.1%) > $NO_3$ (30.0%) > DON (22.8%) > PON (8.9%) > $NO_2$ (3.2%)의 순으로 나타났고 약 70%가 용존무기질소($NH_4$, $NO_3$, $NO_2$)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하천수의 용존영양염, 총인 및 총질소 농도는 시화호 표층수에 비해 3.2~37.2배 높았으며 이는 많은 양의 오염물질이 처리과정 없이 하천을 통해 시화호로 유출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시화산단을 관통하는 군자천 중류지역에서 상류 또는 하류지점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하수와 폐수 일부가 관로 오접 및 무단 방류되어 하수구를 통하여 유입되고 있어 하천수에 대한 하수처리시설로의 이송 및 환경기초시설 증대 등의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시행 예정인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제의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시 오염부하량 산정과 삭감계획 수립에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강우시 시화호 농촌 및 공단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Runoff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in Lake Sihwa Watershed)

  • 김세원;최광순;김동섭;이미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8-777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was examined on distinct types of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 in Lake Sihwa watershed. During rainfall event, the peak concentrations of SS, $COD_{Mn}$, and TP were observed after 6~11 hours of rainfall in agricultural areas. Whereas, the peak concentrations occurred within the first one hour after rainfall and the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PS pollutants sharply decreased, showing strong first flush effect in industrial areas. The strong first flush effect of suspended solid was apparent in agricultural areas, while those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were clear in industrial areas. The cumulative load curves for NPS pollutants showed above the $45^{\circ}$ straight line, indicating that first flush effect occurred in industrial areas. The mean SS EMC values of agricultural areas ranged from 60~598 mg/L (Avg. 285 mg/L), it was higher value when compare to other areas. While the mean $COD_{Mn}$, TN, and TP EMCs values of industrial areas were shown the highest values as 67.7 mg/L, 12.1 mg/L and 2.1 mg/L respectively.

대관령 지역의 산림 소유역과 농경지 소유역의 수질 비교 (Comparison of Water Quality between Forested and Agricultural Subcatchments in Daegwallyong Area)

  • 신영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44-56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대관령 지역의 산림 및 농경지 소유역을 대상으로 주 1회의 유량 및 수질 조사를 실시하고 유량 및 수질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산림 소유역의 수질 변화는 적었던 반면 농경지 소유역에서는 화학비료 및 가축분 퇴비의 시용과 토양 유실로 인해 큰 폭의 수질 변화를 보였다. 용존산소량(DO)은 두 소유역에서 유량보다는 수온과 매우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산림 소유역에서는 농경지 소유역에 비해 유량과 총질소(T-N) 및 $K^{+}$의 양의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농경지 소유역에서는 부유물질 총량(TSS), 총인(T-P)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 유량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대관령 지역에서는 도암호의 수질 오염, 특히 T-P의 증가가 심각하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농경지의 토양 유실 방지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고랭지 채소 파종기에 해당하는 6월말에서 7월초에 이르는 기간의 토양 및 양분유실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농법 도입이 요구된다.

수질예측모델에서의 매개변수 변화특성(지역환경 \circled2) (Changing Characteristics of Parameters in Model for Water Quality Prediction)

  • 김선주;김성준;이석호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578-583
    • /
    • 2000
  • In order to operate water quality model for a lake or a channel, user should examine the all kinds of parameters and should know how them react to the model for calculating the pollution which are happened from the watershed or are reacted in the water. The aim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ameters which are used by a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so that we are trying to find out how them to react to the model for calculating the many kinds of pollution.

  • PDF

경포호의 식물규소체(phytolith) 분석과 Holocene 기후변화 (Phytolith Analysis of Sediments in the Lake Gyeongpo, Gangneung, Korea and Climatic Change in the Holocene)

  • 윤순옥;김효선;황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91-705
    • /
    • 2009
  • 한국 동해안 경포호에서 보링한 두께 660cm의 퇴적물로 식물규소체(phytolith) 분석을 행하여 Holocene 기후 및 환경 변화와 농경의 특성을 밝혔다. 분석 결과 기저부에서 지표층까지 여섯 개의 식물규소체 분대가 구분되었다. PAZI은 약 5,000년 BP를 전후하여 온난, 건조하였고 이후 냉량, 습윤하였다. PAZII(4,000-2,000년 BP 경)는 온난하였으나, 건-습 환경이 교대로 반복하였다. PAZIII(2,000-1,000년 BP 경) 시기는 기장족과 재배벼를 포함하는 규소체가 다량 산출하여 온난, 습윤한 기후환경에서 농경이 확대되었음을 지시한다. PAZIV(1,000-500년 BP 경) 시기에는 냉량, 건조하였고 이후 PAZV와 IV시기에는 짧은 시기동안 다시 온난, 건조 및 냉량, 습윤한 환경으로 변화하였다. 경포호의 화분분석 결과와 유사하게 식물규소체 분석 결과에서도 농경은 PAZIII시기를 중심으로 약 2,000년 BP 경 확대되었으나 재배벼(Oryza sativa) 중심의 벼농사는 다소 후기에 확대되었다.

퍼지 Simulation 방법에 의한 주암호의 수질모델링 (Water Quality Modeling of Juam Lake by Fuzzy Simulation Method)

  • 이용운;황윤애;이성우;정선용;최정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35-546
    • /
    • 2000
  • 주암호는 광주 전남지역의 주민생활이나 공 농업활동에 기반이 되는 중요한 수자원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주암호에 유입되는 오염물질로 말미암아 호수의 수질은 점점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암호의 수질개선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예비단계로서 호수의 수질모델링을 실시하여 수질이 장래에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수질모델링 작업에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각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오염물질 유입량, 수리 수문 등의 압력자료(Input data)는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확실성은 예측결과(장래수질)의 불확실성을 초래하게 된다. 수질모델링에서 불확실성이 발생하는 주요원인은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부족, 미래상황 및 예측모델의 불확실, 그리고 전문가 지식의 한계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퍼지이론을 응용하여 수질예측 모델에서 요구하는 입력자료들의 불확실성 정도를 해석하고, 이를 수질예측 모델에 그대로 결합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적용은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는 방법들에 비해 합리적이고 현실성 있는 주암호의 장래수질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시화호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용존산소와 pH 변화 (Impact of Seawater Inflow by the Operation of Sluice Gates on the D.O and pH in the Lake Shihwa, Korea)

  • 최정훈;김미옥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5-207
    • /
    • 2001
  • 1997년 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총 33회에 걸쳐 시화호내 11개 정점에서 배수갑문 개${\cdot}$폐에 따른 용존산소와 pH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해수유입이 없었던 1997년 3월부터 1997년 5월까지의 용존산소 분포는 대부분의 수층에서 10mg/l이상을 보이고 l1m 이하의 수심에서 5mg/l 이하를 나타냈다. 1997년 6월에 수심 6m 이하에서 무산소층이 나타났다. 강우기동안 배수만 실시했을 경우, 무산소층이 수심 8m에서 6m 이하로 증가하였다. 또한 해수유입 직후의 시화호 내에 잔존하는 무산소층이 해수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급격히 소모시키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러한 현상은 pH7.8${\sim}$8.2의 해수와 pH7.4이하의 저층수가 만나게 되어 산화작용을 촉진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해수유입이 크게 증가된 1998년 1월에는 전 수층의 용존산소가 10mg/l 이상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시화호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여름철에는 염분약층이 생성되지 않도록 해수의 유출량과 유입량을 늘리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