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Seawater Inflow by the Operation of Sluice Gates on the D.O and pH in the Lake Shihwa, Korea

시화호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용존산소와 pH 변화

  • Choi, Jung-Hoon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Rural Research Institute) ;
  • Kim, Mi-Ock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Rural Research Institute)
  • 최정훈 (농업기반공사 농어촌환경연구실) ;
  • 김미옥 (농업기반공사 농어촌환경연구실)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The variations of D.O and pH due to the inflow of seawater by sluice gates operation were observed in the Lake Shihwa, Korea. The distributions of D.O and pH were investigated at 11 stations during Feburary 1997 to July 1998. The concentration of D.O before gate operation was 10 mg/l or more all over the watershed, yet 5 mg/l or less in the water layers of 11 m or below from March to June 1997. Anoxic layer appeared in June 1997 and expanded during rainy season. The anoxic layer in the lake depleted the oxygen in seawater as seawater was inflowed.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phenomenon comes from the contact of seawater to lower fresh water. The contact of seawater in pH 7.8 to 8.2 to lower water less than pH 7.4 enhanced to oxidize. After January 1998, D.O of the lake increased over 10 mg/l and the stratification was weakened. As a result,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best way to improve the water qualities is to increase the amount of seawater inflow and outflow so as not to be generated pycnocline in summer.

1997년 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총 33회에 걸쳐 시화호내 11개 정점에서 배수갑문 개${\cdot}$폐에 따른 용존산소와 pH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해수유입이 없었던 1997년 3월부터 1997년 5월까지의 용존산소 분포는 대부분의 수층에서 10mg/l이상을 보이고 l1m 이하의 수심에서 5mg/l 이하를 나타냈다. 1997년 6월에 수심 6m 이하에서 무산소층이 나타났다. 강우기동안 배수만 실시했을 경우, 무산소층이 수심 8m에서 6m 이하로 증가하였다. 또한 해수유입 직후의 시화호 내에 잔존하는 무산소층이 해수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급격히 소모시키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러한 현상은 pH7.8${\sim}$8.2의 해수와 pH7.4이하의 저층수가 만나게 되어 산화작용을 촉진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해수유입이 크게 증가된 1998년 1월에는 전 수층의 용존산소가 10mg/l 이상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시화호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여름철에는 염분약층이 생성되지 않도록 해수의 유출량과 유입량을 늘리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해양연구 v.20 no.3 시화호 해수 및 표층퇴적물의 생지화학적 연구 김은수;김경태;조성록
  2. 대한환경공학회지 인공 저수지에서의 용존산소변화에 관한 연구 이순화;이철희;강미아
  3.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2 시화호 산화-환원 환경하의 용존 유·무기화합물의 생지화학적 연구 박용철;박준건;한명우;손승규;김문구;허성회
  4.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박사학위논문 시화호의 환경특성과 동적모형에 의한 수질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홍대벽
  5. 시화호 수질개선대책에 따른 수질회복 추이에 관한 연구(2차년도)
  6. 시화지구 담수호 수질보전 대책수립 수립 조사보고서
  7. 시화호의 환경변화조사 및 보전대책 수립에 관한연구(2차년도)
  8. 시화호 외해 연한 환경영향조사 요약보고서
  9.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2 시화호에서 암모니아와 납의 저층용출 한명우;박용철;허성회
  10.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2 인공호수 시화호와 주변 해역의 생태계 연구:서문 허성회;오임상
  11. Deep-Sea Reserch v.38 Chemical variability in the Black Sea:implications of continuous vertical profiles that penertrated the axic/anoic interface Codispoti, L.A.;Friederich, G.E.;Murray, J.W.;Sakamoto, C.M.
  12. Marine Pollution Bulletin v.38 The development of anoxica in the artifical Lake Shihwa, Korea, as a consequence of intertidal reclamation Han, M.W.;Park, Y.C.
  13. Marine Chemistry v.23 Trace metals in the water columns of the Black Sea and Framraron Fjord Haraldsson, C.;Wsterlund,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