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glutination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9초

방울토마토 열매로부터 분리된 lectin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Isolated from Cherry Tomato Fruit)

  • 박나영;이삼빈;노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54-259
    • /
    • 2007
  • Neutral saline 추출, ammonium sulfate 침전 및 Sephadex G-200을 사용한 affinity chromatography 과정을 통해 방울토마토 열매에서 분리된 lectin의 생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트립신을 처리한 사람의 ABO형 적혈구 모두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났으며, 이 중 B형 적혈구에서 가장 높은 응집반응이 관찰되었다. 전기영동 분석에 의해 분자량 10.7 kDa의 강도가 높은 밴드가 확인되었다. 분리된 lectin의 최적반응온도는 $40^{\circ}C$이며, 40-60$^{\circ}C$ 범위에서 열에 대해 안정하였다. 또한 최적 pH는 7.2로 조사되었다.

소 브루셀라병의 혈청학적 진단법 비교실험 (Comparison of a new ELISA with other serodiagnostic tests for bovine brucellosis)

  • 허진;;정재명;이현진;백병걸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85-391
    • /
    • 2007
  • A novel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s described and compared with other established serologic tests for bovine brucellosis, namely the rose bengal test (RBT), the complement fixation test (CFT), and the tube agglutination test (TAT) approved and used in Korea. A total of 109 bovine serum samples were tested using all the 4 assays and analyzed as to specificity, sensitivity, reproducibility and predictive value. The ELISA showed 100% agreement with the CFT. The least agreement between ELISA was observed with the TAT. The agreement between the ELISA and RB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bserved between the CFT and the ELISA. It is concluded that the new assay would be a good candidate for routine serologic survey for brucellosis in Korea. A protocol combining the ELISA and the CFT would increase the power for detection of serologically positive individuals and herds.

화경버섯의 항세균성 렉틴 (An Antibacterial Lectin from Lampteromyces japonicus)

  • 윤주억;민태진;윤희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46-52
    • /
    • 1995
  • 화경버섯의 자실체로부터 PAGE로 한 렉틴을 정제하고, LJAP(Lampteromyces japonicus antibacterial protein)라 이름 붙였다. LJAP는 17-kDa의 서브유닛트가 모여서 된 백 kDa이 넘는 회합 단백질이였다. 이 단백질은 아미노산 분석결과 세린, 글리신, 산성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LJAP는 대장균중 특히 JM 109, K 12, HB 101, JW 380에 대한 항세균작용이 뛰어났다. 한편, 항세균활성은 당단백질인 asialofetuin에 의하여 크게 억제되었다. 본 당단백질은 화경버섯에서 처음으로 얻어진 항세균활성과 적혈구 응집활성을 가진 렉틴이다.

  • PDF

Agglutination Activity of Fasciola gigantica DM9-1, a Mannose-Binding Lectin

  • Phadungsil, Wansika;Grams, Rud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173-178
    • /
    • 2021
  • The DM9 domain is a protein unit of 60-75 amino acids that has been first detected in the fruit fly Drosophila as a repeated motif of unknown function. Recent research on proteins carrying DM9 domains in the mosquito Anopheles gambiae and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indicated an association with the uptake of microbial organisms. Likewise, in the trematode Fasciola gigantica DM9-1 showed intracellular relocalization following microbial, heat and drug stress. In the present research, we show that FgDM9-1 is a lectin with a novel mannose-binding site that has been recently described for the protein CGL1 of Crassostrea gigas. This property allowed FgDM9-1 to agglutinate gram-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with appropriate cell surface glycosylation patterns. Furthermore, FgDM9-1 caused hemagglutination across all ABO blood group phenotypes. It is speculated that the parenchymal located FgDM9-1 has a role in cellular processes that involve the transport of mannose-carrying molecules in the parenchymal cells of the parasite.

폐색전증에서 반정량적 Latex 응집법으로 시행한 D-dimer 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Clinical Usefulness of D-dimer Test with Semiquantitative Latex Agglutination Method in Pulmonary Embolism)

  • 김동균;천강일;김양기;이영목;김기업;어수택;김용훈;박춘식;박노진;최태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6호
    • /
    • pp.651-655
    • /
    • 2005
  • 연구배경 : D-dimer는 혈장응고 및 섬유소분해계의 활성화 표지자로 알려져 있고 폐색전증은 비특이적인 임상양상과 진단이 어려워 비관혈적인 진단적 필요성이 대두되어 ELISA법에 의한 D-dimer 검사가 알려져 있으나 검사에 대한 소요시간이 길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검사 소요시간이 짧은 latex응집법에 의한 D-dimer 검사가 폐색전증의 선별검사에 유용한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흉부 나선형 전산화 단층촬영, 폐관류 및 폐환기검사, 폐동맥조영술 등을 통해 진단된 폐색전증 환자 90명 (I군) 및 폐색전증을 상기의 방법으로 제외가 가능하였던 환자 95명 (II군)을 대상으로 반정량적 latex응집법에 따른 D-dimer 검사 (Stago D-Di, Diagnostica Stago, France)에 대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환자의 성별 및 연령은 I군은 남:녀 = 37:55 및 57세였고 II군은 남:녀 = 50:45 및 52세 였다. D-dimer $500{\mu}g$ 이상을 양성으로 판정하였을때 민감도는 86.7%, 양성예측치 61.4%, 음성예측치 79.3%, 특이도 48.4%였고 확진이 가능하였던 66명과 음성으로 최종 판독되었던 95명에서 D-dimer $500{\mu}g$ 이상을 양성으로 판정하였을때 민감도는 93.9%, 양성예측치 55.9%, 음성예측치 92.0%, 특이도 48.4% 였다. 결 론: 반정량적 latex응집법에 의한 D-dimer 검사는 알려진 ELISA법에 의한 결과보다 민감도 및 음성예측치가 낮으며 혈전의 부하가 많은 경우에는 비교적 양성률이 높게 나타나나 혈전의 부하가 적은 경우 양성률이 낮게 나타날 수 있어 폐색전증 및 심부정맥 혈전증의 선별검사로 적합하지 않았다.

급성기 Mycoplasma 폐렴의 항체가와 검사소견에 관한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Mycoplasma pneumoniae Antibody Titer and Laboratory Tests in Acute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 이은희;이소라;김화인;김종덕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6권1호
    • /
    • pp.93-100
    • /
    • 1999
  • 목 적 : Mycooplasma 폐렴은 소아과 영역에서 통상 사용하지 않는 macrolide 계열의 항생 제에 감수성이 있어서 초기에 신속한 진단이 중요한데, 이에 저자들은 발병 1주일 이내의 Mycoplasma 폐렴 환아에서 Mycoplasma 항체역가, 냉혈응집소역가, ESR, CRP 등과 임상 소견을 검토하여 진단에 어떤 의의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12월까지 원광의대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Mycoplasma 폐렴으로 진단되어 치료를 받았던 환아 중에 입원 전에 발열과 기침이 7일 이내였던 환아 56명을 대상으로 M. pneumoniae 균의 항체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아를 항체역가가 1:320 미만이었던 어린이 33명(A군)과 1:640 이상이었던 어린이 23명(B군)으로 나누어 입원시에 총 백혈구수와 분획, 혈구 침강속도 및 CRP와, 냉혈응집소치, 흉부 X-선 소견을 비교 검토하였다. Mycoplasma 폐렴의 진단 기준은 기침과 발열 등의 임상증상과 흉부 청진상수포음의 존재, 흉부 X-선 소견상 폐 실질에 침윤을 보이며 indirect particle agglutination test로 측정한 Mycoplasma 항체가가 1:640 이상이거나, 1주일 후에 재검사에서 4배 이상 역가가 증가한 경우로 하였으며 냉혈응집소는 역가가 1:64 이상인 경우를 양성 판정하였다. 결 과 : 1) 남녀 비는 1:1.4이었고 평균연령은 $5.8{\pm}2.96$세 이었다. 2) 내원시 평균 체온은 $38.5{\pm}0.1^{\circ}C$이었으며 52례(93%)에서 객담성 기침이 관찰되었다. 3) 총백혈구수는 Mycoplasma 항체 역가가 640이상으로 높았던 어린이군에서 $10,470{\pm}877.0/mm^3$로 320 이하이었던 어린이군 $7,761{\pm}508.5/mm^3$에 비해 의의 있게 높았다(P<0.014). 4) 혈구침강속도와 CRP는 각각 $27.2{\pm}26.82/mm/hr$, $39.9{\pm}41.50ng/mL$로 의미 있는 상승을 보이지 않았다. 5) 입원시 흉부 X-선 소견상 폐 침윤은 우측폐에 24례(43%)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었고 이중에서도 우측 하엽에서 10례로 가장 흔하였다. 6) 냉혈응집소 역가는 Mycoplasma 항체 역가와 의의 있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25례(45%)에서 냉혈응집소 역가가 1:64 미만이었다. 결 론 : 발병초기 Mycoplasma 폐렴의 진단은 임상증상, 흉부 X-선 소견 및 항체검사가 유용하며 초기 항체 역가는 임상소견의 정도와는 무관하므로 항체검사가 필수적이며 냉혈응 집소검사는 양성률이 낮아서 발병초기에 Mycoplasma 폐렴의 진단에 도움을 주지 못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형광항보체법(螢光抗補體법)에 의한 Mycobacterium scrofulaceum 소수성균주(疏水性菌株)의 형별동정(型別同定) (A Rapid Serotyping of Hydrophobic Strains of Mycobacterium acrofulaceum by Fluorescent Anti-Complement Technique)

  • 최철순;김용재;양용태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7
    • /
    • 1980
  • In the ecology and epidemiologic studies on various serotypes of atypical mycobacteria(AM), Schaefer's bacterial agglutination test(BA) provided the basis of the serologic procedures.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modify and to simplify the Schaefer's BA such as a slide agglutination test(Engel & Beerwald, 1970), a "simplified" BA(Reznikov & Leggo, 1972), an agglutination inhibition test(Richards & Eacret, 1972) and "micromethod"(Thoen et al., 1975). The BA, however, was not widely applied as a routine laboratory test mainly because it requires much times and labors to perform and partley because it is not applicable to hydrophobic strains either often encountered in the isolation of AM in the clinical bacteriology or stock strains maintained in the laboratory. On the contrary, 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 with mycobacteria may have advantages over the BA because it is far more simpler in serologic procedures and is applicable to all strains of mycobacteria regardless of smooth or rough types of cultures. At the present, it is well known that the type-specific antigens are lacking on the surface of rough type of AM compared to that on smooth type of strain, but the antigenicity on the surface of the hydrophobic strains of AM which resulted from a series of subculture and the strain in the laboratory for 3 to 6 months has not been clarified. In this study, an attempt to serotype the hydrophobic strains of M. scrofulaceum serotype 41, 42 and 43 by fluorescent anti-complement(FAC) technique was made. The FAC technique with mycobacteria was also described in detail. In the summary, the complement fixing antibody titres of reference sera to smooth types of homologous serotype was highest, but the antibody titres of reference sera to hydrophobic strains of serotypes, 41, 42 and 43 gave two-to 8-folds lower than those to smooth type of strains. Although the sensitivity of type-specific antigens on the hydrophobic strains to reference sera was much lower, using the two units of reference sera determined by titration with hydrophobic strains, three serotypes, i. e., 41, 42 and 43 were specifically differentiated one another by FAC technique.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hydrophobic strains which were maintained in the laboratory at least for 6 months still retain type-specific antigen detectable by FAC technique.

  • PDF

간접 Latex 응집반응과 ELISA에 의한 중추신경계 질환 환자의 혈청 및 뇌척수액에서 Toxoplasmu gondii에 대한 항체 검출 (Detection of Antibodies in Serum and Cerebrospinal Fluid to Tonoplasma gondii by Indirect Latex Agglutination Test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최원영;남호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2호
    • /
    • pp.83-90
    • /
    • 1992
  • Toxoplasma증의 혈청학적 진단에 있어서 민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간접 latex 응집반응의 결과와 비교하면서 ELISA를 개발하였으며, 뇌척수액의 검사 시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중추신경계 질환환자로부 터기생충질환을 감별하기 위하여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전국 카 병원에서 채취한 혈청과 뇌척수액에 대하여 간접 latex 응집반응(ILA)과 ELISA를 실시하여 Toxoplasma 항체 보유 양상을 비교 검토하였다. 전체 2,016 건의 혈청에 대해 ILA를 실시하여 76건(3.8%)의 양성 (1:32이상의 titer)을 얻었다. 그러나 양성 혈청환자에서 채취한 뇌척수액에서는 낮은 titer의 반응은 있었으나 양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양성 혈청의 양성 혈청 및 음성 혈청에 대하여 ELISA로 항체검사를 실시한바 ILA의 titer가 1 : 32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항체값을 얻었으며, 그 흡반도는 0.40이었다. 뇌척수액에 대한 ELISA로는 ILA의 1 : 64 titer군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그때의 흡광도 0.27을 양성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ELISA에 의한 항체 검사상 전체 혈청에서 7.0%의 양성을 검출하여 ILA보다 약 2배 정도의 높은 민감도를 보였으며, 뇌척수액에서 는 5.6%의 양성률을 보여 ELISA는 뇌척수액에서의 항체 검출시 유용한 방법이라고 판단하였다. ILA에 비하여 ELISA는 약 2배 정도 높은 양성률을 내었고 양성률은 나이에 마라 40대 이후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여성보 다는 남성에서 약 2배 정도 양성률이 높게 나타났다. ELISA에 의한 뇌척수액의 항체 검사에서는 양성률의 성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판단할 때, ELISA가 ILA보다 Toxoplasma 항체 검출의 민감도가 높았으며, 뇌척수액은 ELISA의 좋은 검사시료가 되며, 특히 중추신경계 Tocxoplnsma증의 진단에 있어 뇌척수액에 대한 항체 검사에서 ELISA가 유용하다고 판단하였다.

  • PDF

종모우 정액중 Brucella균 신속 검출을 위한 PCR기법 개발 (Development of 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Brucella spp in bovine semen)

  • 정석찬;정병열;우승룡;조동희;김종염;김우택;이정미;박용호;백병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45-352
    • /
    • 1998
  • The diagnosis of brucellosis is currently based on serological and microbiological tests. However, the microbiologic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have several disadvantages such as time-consuming and laborious, and the serological methods have been reported to cross-react with antigens other than those from Brucella spp. To develop a sensitive and rapid diagnostic method for detection of Brucella species, the genus-specific primers were designed and synthesized from the sequence of gene encoding a 31kDa cell surface protein(BCSP) and a 36kDa outer membrane protein(OMPB) of B abortus. The amplified 711bp and 982bp DNA fragments were only visible in each species of Brucella by PCR method using the BCSP and OMPB primers, respectively. However, PCR product was not obtained with DNA from other Gram-negative bacteria. As little as 1pg of the B abortus genomic DNA could be detected by this PCR method. Using the PCR technique, semen samples from 185 bulls of Brucella-seronegative herds in Cheju island were examined for comparison of this PCR method with conventional methods in 1995. The semen samples from 5 bulls were positive by culture method and PCR, and one was positive and 5 were suspect by semen plasma agglutination test. However, the semen samples obtained from 177 bulls were negative by semen plasma agglutination, culture and PCR methods in 1996. The results of comparison tests suggested that PCR was a better test than agglutination test against semen of bulls.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CR technique was a valuable for the diagnosis of bovine brucellosis, particulary in bull semens.

  • PDF

신증후출혈열 환자의 혈청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진단 검사법 비교 (Comparative Diagnostic Studies on Serologic and Molecular Biological Tests Against Ha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 우영대;문희주;배형준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1-149
    • /
    • 2000
  • 우리 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급성 출혈성 질환인 신증후출혈열의 원인 바이러스는 Family Bunyaviridae의 Genus Hantavirus에 속하는 한탄과 서울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증후출혈열로 의뢰된 환자에서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를 간접면역형광항체법(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 IFAT), 면역효소측정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gG, IgM), 고비중입자응집반응 (high density composite particle agglutination, HDPA) 및 플라크감소중화시험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PRNT) 등으로 비교 측정하였고, 신증후출혈열 환자로 확진된 15명의 한탄바이러스 혈청형을 PRNT와 혈청형 특이 역전사 효소 중합효소연쇄반응(nested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nested RT-PCR)으로 확인하였다. 신증후출혈열로 의뢰된 환자에서의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IFAT, ELISA (IgG, IgM), HDPA그리고 PRNT비교에서 형광항체, ELISA IgG,응집항체 및 중화항체는 8명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ELISA IgM은 5명에서는 현저히 높은 항체를 보유하고 있었다. 신증후출혈 열 환자 15명에서는 높은 형광항체와 중화항체 역가를 나타내었고, 15명 중 12명은 한탄바이러스, 2명은 서울바이러스에 대한 높은 중화항체를 갖고 있었으며, 1명은 두 바이러스에 대하여 동일한 항체 역가를 나타내었으며, 혈청형 특이 primer를 사용한 nested RT-PCR에서는 15명 중 3명과 1명만이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 primer에 대해 RNA가 검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