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 of he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2초

The Long Term Effects of Fairly Low-level of Supplemental Fat on the Productive Performance of Commercial Layers

  • Bozkurt, Mehmet;Kucukyilmaz, Kamil;Cabuk, Metin;Catli, Abdullah Ugu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524-530
    • /
    • 2012
  • Laying hens were fed commercial diets added with supplemented fat (SFAT) at 0.6, 1.2, and 1.8% in order to study the long term dietary effects - on - their productive performance from 22 to 75 wk of age. Five hundred and seventy six Single Comb White Leghorn hen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ur dietary treatments. The experimental phase consisted of three periods of 18 wk each. The final body weight and gain of hens fed on diets with SFAT at 1.2% and 1.8% were lower (p<0.05) than those hens given no SFAT. The SFAT at the 1.2% and 1.8% levels improved egg production rate, egg weight and mass, as well as FCR. Mortality and feed consumption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SFAT. Administration of a diet with SFA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racked-broken egg ratio (p<0.01). The beneficial effects of SFAT on egg production performance were particularly more pronounced at intermediate and later ages. Hence, SFAT by period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 for all traits studied except feed intake. Hens fed SFAT deposited significantly higher abdominal fat than those on the no-SFAT diet. As a result, SFAT at 1.2% and 1.8% inclusion levels provided benefits in terms of efficient table egg production.

사료내 고추(Capsicum annum)씨가 채란계 생산성과 난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Hot Pepper(Cap8icum annum) Seed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ers)

  • 허준무;고태송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30
    • /
    • 1998
  • The effects of dietary levels and feeding period of Korean hot pepper (Capsicum annum) seed on th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were investigated. Rhode Island Red layers of 84 wk of age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O.O(Control), 0.5, 1.0, 2.0, and 3.0% of HPS, respectively, in individual cages during 10 wk of the feeding period. The dietary hot pepper seed significantly(P<0.05) improved hen-day egg production and daily egg rnass, but reduced egg weight(P<0.05). During the 10 wk of the feeding period, the egg production and daily egg mass improved after 6 or 7 wk of feeding 0.5, 1.0 or 2.0% hot pepper seed diets. When the layers were fed the 3.0% HPS diet, it only took 1 wk to improve the egg production and daily egg mass. In addition, the birds fed 3.0% hot pepper seed diet showed relatively constant egg weight while those of the Control increased gradually as the feeding period passed. The dietary hot pepper seed significantly improved the eggshell thickness, and redness and whole color of egg yolk. Th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hot pepper seed( $\geq$2.0%) may improve the egg production and egg shell thickness, and increase the redness of egg yolk in layers.

  • PDF

기관지성 낭종(2례수술보고) (Bronchogenic Cyst (Two Case Report))

  • 김형묵;김영철;최인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7권1호
    • /
    • pp.9-12
    • /
    • 1974
  • Bronchogenic cysts, though known as a relatively common malformation of the mediastinum, were rarely discussed in Korean literatures. Since the surgical removal of asymptomatic lesions was adopted as the reasonable therapeutic principle, the incidence of bronchogenic cyst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previously expected. Two cases of bronchogenic cysts operated on in The Dept. of Thoracic Surgery, Korea University Woo Sok Hospital were reported and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Case 1. 5 year old boy with chief complaints of bulging cystic mass on left supraclavicular region during straining or coughing since his age of 2 was admitted, and cystogram with Lipiodol revealed hen-egg sized mass in the left antero-superior mediastinum without any communication with bronchus or esophagus. Cyst was successfully removed under general anesthesia thru left supraclavicular incision, and 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cyst revealed thin cystic wall lined with 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 and it`s content was milky white mucoid fluid devoid of any bacterial growth. Case 2. 15 year old school girl has been noted slowly growing walnut-sized mass on anterolateral side of the neck for 4 months without any subjective symptom except cosmetic problem... Mass was aspirated to find milky white mucoid fluid in some loculation and yellowish turbid fluid in other part due to chronic infection. Cystic tumor was removed under local anesthesia, which was loculated in between the trachea and esophagus without any communication, and pathological diagnosis of the cyst was bronchogenic cyst with columnar epithelial cell lining with moderate chronic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s. Postoperative conditions of the two cases were all excellent with normal life.

  • PDF

난용계 육성기 사료의 에너지 수준이 육성계의 성장 및 영양소 섭취량과 산란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Energy Levels for Egg-type Growing Puilets on Pullet Growth, Nutrient Consumption and Subsequent Laying Performance)

  • 이규호;정연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7-275
    • /
    • 1994
  • Three dietary ME levels of 3,200, 2,900 and 2,600 kcal /kg in the same 13% single-stage low protein diet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E levels of grower diets on egg-type pullet growth and subsequent laying performance. As the ME levels of grower diets decreased, cumulative feed and protein consumptions increased(P<0.05), however, the ME intake and body weight at 18 wk of age decreased(P<0.05). Grower feed cost decreased as the dietary ME level was decreas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dietary ME levels of grower diets. During the laying period, sexual maturity, hen-day egg production and average egg weight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ME levels of grower diet, however, daily feed intake and feed required per egg decreased as the dietary ME level of grower diet was reduced(P<0.05).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ullets can be reared on the low ME diet of 2,600 kcal /kg and it would he economical to utilize the low energy diet during the growing period when they are reared on a 13% single-stage low protein diet.

  • PDF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and organ development of brown layers fed reduced dietary protein levels in two rearing systems

  • Viana, Eduardo de Faria;Mello, Heloisa Helena de Carvalho;Carvalho, Fabyola Barros;Cafe, Marcos Barcellos;Leandro, Nadja Susana Mogyca;Arnhold, Emmanuel;Stringhini, Jose Henrique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3호
    • /
    • pp.444-452
    • /
    • 2022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crude protein (CP) and two rearing systems (cage and floor), on blood parameters and digestive and reproductive organ development of brown laying hens. Methods: A total of 400 Hisex Brown laying hens between 30 and 45 weeks of age were distribu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nd a 2×4 factorial arrangement, with main effects including two rearing systems (cage and floor) and levels of CP (140, 150, 160, and 180 g/kg), in a total of eight treatments and five replicates of 10 birds each with initial body weight of 1,877 g (laying hen in cage) and 1,866 g (laying hens in floor). The parameters evaluated were plasma total protein, albumin, uric acid, total cholesterol, relative weights of oviduct, abdominal fat, liver, gizzard, crest and dewlap, length of small intestine and oviduct. Results: The blood parameters were similar in birds reared in cage and floor systems. The birds reared on the floor showed greater small intestine and oviduct weight (%) and lower liver and pancreas weight (%). A significant interaction was observed between factors for the relative gizzard, crest and dewlap weight, serum protein, uric acid, and total cholesterol (p<0.05). The diets with 140 g/kg CP resulted in lower serum protein and lower cholesterol in birds reared in floor system, while birds reared in cage system showed no effect of CP on both parameters. Birds reared in cage and fed with 140 and 150 g/kg CP presented lower uric acid. The group of birds reared in floor system fed 180 g/kg had greater uric acid. Conclusion: The dietary protein level can be reduced up to 140 g/kg for Hisex Brown hens (30 to 45 weeks of age) without an important effect on metabolic profile and organ development in both rearing systems.

산란계에 대한 오전용 사료와 오후용 사료의 영양수준 및 급여방법이 산란능력과 사료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Levels and Feeding Regimen of a.m. and p.m. Diets on Laying Hen Performances and Feed Cost)

  • 이규호;오용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5-204
    • /
    • 2002
  • 산란계에 대한 오전사료와 오후사료의 영양수준 및 급여방법이 산란능력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실험 1에서는 ISA Broun 갈색산란계 384수를 4처리 3반복, 반복당 32수씩을 공시하여 28~38주령에 2주간의 예비사양기간을 거쳐 본 시험 8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구(C)는 관행적인 산란계 단일 배합사료를 급여하였고, 시험구들(T1, T2 및 T3)은 고에너지-고단백질-저 Ca의 오전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오후사료를 별도로 급여하였다. 실험 2는 “ISA Brown” 갈색 산란계 384수를 3처리 4반복, 반복당 32수씩을 공시하여 48 ~ 58주령에 2주간의 예비사양기간을 거쳐 본 시험 8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구(C)는 관행적인 산란계 단일 배합사료를 급여하였고, T1은 고에너지-고단백질-저Ca의 오전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오후사료를 별도로 급여하였고, T2는 오전사료를 분말로 하고 오후사료를 펠렛으로 가공하여 50:50으로 혼합급여 하였다. 실험 1에서 헨데이 산란율과 평균난중 및 1일 1수당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와 시험구들(T1-T3)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1일 1수당 ME, CP 섭취량 및 사료비는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들(T1-T3)이 유의적으로 적었고(P<0.05), 시험구들간에는 오후사료의 ME및 CP 수준이 감소하고 Ca수준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산란 개당 및 산란 kg당 사료, ME CP요구량과 사료비도 모두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T1-T3)들이 유의적으로 적었으며(P<0.05), 시험구들 간에는 오후사료의 Ca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4배가 많은 73처리가 사료요구량에서 71과 72보다 많았고(P<0.05), 오후사료의 ME와 CP수준이 감소하고 Ca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란의 비중과 난각강도 및 난각후도 등 난각질은 모두 대조구에 비해 시험구(71-73)들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P<0.05),오후사료의 Ca수준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에서 헨데이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난중과 1일 1수당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오전사료와 오후사료의 별도급여구(T1)와 혼합급여구(T2)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1일 1수당 ME, CP섭취량 및 사료비는 모두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T1과 T2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산란 개당 ME와 CP요구량 및 사료비는 모두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산란kg 당 사료, ME, CP요구량 및 사료비는 모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계란의 비중과 난각후도는 대조구에 비해 T1과 T2구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P<0.05), 난각강도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T1과 T2구가 대조구보다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 결과 오전용 사료는 관행적인 산란계 배합사료에서 Ca공급제를 제외한 것을 급여하고, 오후용 사료는 Ca공급제를 3배 첨가한 T2처리로 15:00~16:00시에 교체급여를 하면 사료섭취량 감소와 사료비 절감면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고에너지-고단백질-저Ca의 분말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펠렛사료를 혼합급여하면 산란계의 사료섭취 량과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며, 오전사료와 오후사료 별도급여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는 사양체계로 기대가 되나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란각질과 란각파열과의 관계 및 란각파열에 영향하는 제요인 (Relationship Between Egg Shell Quality and Shell Breakage and Factors that Affect Shell Breakage)

  • 이유방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1
    • /
    • 1980
  • 연중 산란수의 6-8%가 산란시부터 소비자에게 이르는 사이에 파란으로 된다. 이들 파란의 대부분은 난각의 품질과 난각파열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는 여러 가지 생물적, 환경적, 관리적 요인들과의 상호관계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 이제까지 논의된 몇 가지 파란발생 요인들을 보면 닭의 연령, 계사의 온도와 습도, 케이지 씨스템과 케이지바닥의 설계, 케이지에 사용된 재료의 종류, 1일 채란회수,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각종 기구의 원활한 작동여부와 정비상태이다. 이 중에서 닭의 연령, 유전적 체질, 환경온도, 기구의 설계와 정비유지의 양부가 파란생성에 영향하는 중요 요인이라 하겠다. 난각의 품질과 난각파열 간에는 곡선관계에 있으므로 난각질의 조그마한 차이가 파란발생빈도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바. 이제까지 보고된 문헌에 의하면 파란발생 빈도는 l-2%의 낮은 수준에서 35%의 높은 수준에 이르기까지 넓은 변이를 보여주고 있다.

  • PDF

산란계 주령과 계란 난각 형태이상 정도가 내부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e of Laying Hens and Grade of Egg Shell Abnormality on Internal Egg Quality)

  • 김희수;김선만;노재중;이재익;이현정;조철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43-49
    • /
    • 2012
  • 본 연구는 산란계의 주령 및 난각의 형태이상 및 이상 정도가 내부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동일 주령의 산란계 2계군에서 56주령부터 62주령 사이에 산란한 계란 21,000개 중 각 주별 1,000개를 무작위 추출하여 축산물품질평가사가 정상란과 형태 이상란을 구분하였다. 각각의 출현율과 할란검사를 실시하여 내부품질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정상란은 81.22%, 이상란은 18.78%의 출현율을 보였다. 주령의 증가에 따른 이상란의 출현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Haugh unit은 60주령이 56주령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에는 차이가 없었다. 동일 주령대를 비교했을 경우 난백고와 Haugh unit은 형태 이상란이 낮고 또한 이상의 정도가 심한 경우 더 낮게 측정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특히 이상란 중 기형란의 난고와 Haugh unit이 현저하게 낮은 결과를 보여 이상란 중에서도 기형란이 내부 품질이 가장 낮게 판명되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56~62주령 산란계로부터 생산된 계란의 외형적 이상은 내부품질의 저하와 밀접하게 상관한다고 볼 수 있으며, 현 계란 등급판정 체계에서 외관판정은 신선도 평가에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산란 전용 토종 실용계 생산을 위한 2원교배 종계의 산란 능력 검정 (Performance of Laying Period of Two-way Crossbreed Parent Stock to Produce Laying-type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 김종대;추효준;강보석;김학규;허강녕;이명지;손보람;서옥석;최희철;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5-252
    • /
    • 2012
  • 본 시험은 토종 실용 산란계 생산을 위한 2원교배종 종계의 산란기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품종 복원 및 토착화한 토종 순종계의 2원교배종 암컷 480수를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발생된 4교배종 병아리를 각각 A) C계통${\times}$Y계통, B) C계통${\times}$L계통, C) C계통${\times}$ G계통, D) C계통${\times}$W계통으로 하여 총 4처리구로 하고, 교배종에 따라 각각 4반복, 반복당 30수씩 총 480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초산일령은 네 교배종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산난중과 초산시의 체중은 B계통이 가장 높았다(P<0.05). 20~72주령의 평균 체중은 B교배종이 가장 높았고, C와 D교배종은 A와 B교배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 사료 섭취량은 B교배종이 가장 높았으며, A교배종이 C와 D교배종에 비해 높았다(P<0.05). 주령별로 보았을 때 50주령 이후부터는 4교배종 모두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주령에 따른 평균 난중은 50주령 이후에 B교배종의 평균 난중이 가장 높고, D교배종이 가장 낮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대체로 A와 B교배종이 C와 D교배종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P<0.05). 26주령의 산란지수는 C교배종이 가장 높은 편이고 B교배종이 가장 낮았으나(P<0.05), 26주령 이후부터는 교배종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산란율은 38주령 이후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교배종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68~72주령은 각각 61.0, 51.8, 55.6 및 55.0%로 A교배종이 B교배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수정율은 A, B, C 및 D교배종이 각각 89.8, 91.2, 92.4 및 92.8%였다. 부화율은 각 교배종이 69.8, 70.7, 75.5 및 77.4%로 C와 D교배종의 A와 B교배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6~72주령까지 각 구간별로 성적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시기별로 사료를 교체하면서 산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 사료된다. 본 시험의 결과는 산란용 토종 실용계를 생산하기 위한 2원교배종의 산란기 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어미닭의 나이, 계란의 저장기간 및 부화중 난중의 변화가 육용계 병아리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ge of Hens, Egg Storage, and the Change of Egg Weight during Incubation on the Growth of Broiler Chicks)

  • 석윤오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9-306
    • /
    • 2004
  • 본 연구는 어미닭의 나이, 계란의 저장기간 및 부화중 난중의 변화가 병아리의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용종계 Cobb종으로부터 산란초기 계군($27\~28$주령)과 산란중기 계군($51\~52$ 주령)으로부터 종란을 수집하여 $10^{\circ}C$에서 6일간 계란을 저장(Young-EXP 혹은 Old-EXP 그룹)하거나, 부화기 입란 당일에 수거(Young-CON혹은 014-CON그룹)하여 부화시킨 4-그룹의 병아리(female 11수 + male 12수/그룹)를 6주 동안 평사에서 사육하였다. 산란중기 두 그룹(old-CON, old-EXP)상호간 입란시 난중의 차이는 1 g정도였는데 비해서, 산란초기 두 그룹(Young-CON, Young-EXP) 상호간 입란시 난중의 차이는 2.9 g정도(P<0.05)로 산란중기보다 산란초기에 일령의 증가에 따라 난중의 변화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입란시 난중에 대한 부화 18일경 난중의 감소 비율($\%$)은 그룹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 부화기간(21일간)의 난중 감소 비율($\%$)은 산란초기 그룹들보다 산란중기 그룹들이 유의하게(P<0.05) 더 컸다. 산란중기 계군들은 산란초기 계군들보다 부화시 체중이 평균 8.7g정도 유의하게(P<0.05) 더 무거웠으나, 시험종료시인 6주령시 체중은 4-그룹 상호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대부분 모든 주령의 체중에 있어서 계란의 저장기간 상호간에도 두 계군 모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도체율에 있어서도 계란의 저장기간 또는 어미자의 나이 상호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며, 입란시 난중과 부화 18일경 난중, 부화 후 성장률 및 43일령시 도체율 상호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