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 of he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1초

영양소의 증가가 산란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김상호;장병귀;최철환;서옥석;이상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03-104
    • /
    • 2003
  • 갈색 산란계의 생산특성 및 계란품질 변화를 구명하고자 780수를 공시하여 25∼70주령까지 관행사료와 10 % 증가 사료를 급여하였다. 산란율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난중은 10 % 증가 사료가 유의적으로 무겁게 나타났다(P<0.05). 사료요구율 역시 10 % 증가 사료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산란율은 52주령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난중은 52주령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난각강도와 후도는 60주령 근처에서 품질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augh unit는 56주령부터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영양소 함량의 증가는 난중과 사료요구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란기 영양소는 52∼56주령 사이에 차별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토종종계에 있어 조우성 개체와 만우성 개체간 생산능력 비교 고찰 (Comparison of Production Performances between Early- and Late-feathering Chickens in Parent Stocks of Korean Native Chicken)

  • 김기곤;조은정;최은식;권재현;정현철;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79-286
    • /
    • 2019
  • 현재 병아리의 성 감별은 만우성 유전자를 이용한 깃털감별법이 산업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깃털감별을 위한 계통 조성은 반드시 부계는 조우성, 모계는 만우성이어야 함으로 깃털의 조만성이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종종계의 깃털 자가성감별 계통 조성을 위하여 이들 중 만우성 개체들과 조우성 개체들 간의 생산능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발생 후 52주령까지의 생존율은 만우성 집단이 조우성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P<0.05). 체중은 거의 모든 주령에서 조우성과 만우성 집단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능력에 있어 초산일령은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일계산란율 및 산란지수의 경우 공히 만우성 집단이 조우성 집단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성적을 나타내었다(P<0.01). 난중을 비롯한 난각색, 난백높이 및 하우유니트 등 모든 난질 지표에 있어서도 조우성 집단과 만우성 집단간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토종닭의 육종 목표는 육용형이므로 깃털감별계통 조성시 부 계통은 체중 위주의 조우성으로, 모 계통은 산란성 위주의 만우성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결과는 토종종계의 깃털 자가성감별 계통 조성을 위해서 매우 바람직한 현상으로 사료된다.

산란계 운동장 사육이 생산성, 면역성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duction Performance, Immunity and Egg Quality by Raising on Exercise Yard in Laying Hens)

  • 김기수;이숙경;최영선;하창호;김원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7-103
    • /
    • 2013
  • 본 연구는 산란계의 동물복지를 적용한 운동장 면적에서 사육한 산란계의 생산성, 면역성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동물복지농가 육성과 안전축산물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사양시험은 13주령의 Hy-line-Brown 계열의 실용 산란계 90수를 공시하여 38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구는 수당 $0.042m^2$ 면적의 케이지에서 사육(케이지 사육), 수당 축사 $0.11m^2$(평사)와 운동장 $1.1m^2$를 결합한 환경에서 사육($1.1m^2$ 운동장), 수당 축사 $0.11m^2$(평사)와 운동장 $2.2m^2$를 결합한 환경에서 사육($2.2m^2$ 운동장)으로 시험구를 편성하여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10수씩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시험하였다. 초기 산란율은 유의적으로 케이지 사육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중 후반기에는 운동장 사육 시험구에서 다소 높은 산란율을 보였다. 사료섭취량은 39주령까지 운동장 시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많았으나(P<0.05), 이후에서 종료 시 까지는 차이가 없었다. 시산일령은 대조구 비해 운동장 사육 시험구에서 16일 지연되었으며(P<0.05), 사육 환경이 계란의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면역 활성을 조사한 결과, 운동장사육 시험구에서 IgA는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IgG, IgM 및 corticosterone은 비교적 높았다. 결론적으로 산란계운동장 사육은 산란 초기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나, 중 후기의 생산성은 약간 증가를 보였으며, 면역성은 증가하였으나 스트레스는 다소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기 산란율을 향상시키고, 적절한 외부의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사육 환경이 뒷받침된다면 운동장 사육이 동물복지형 사육으로 매우 적합한 사양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토종닭의 이면교배조합 시험을 이용한 신품종 종계 개발 (Development of a New Synthetic Korean Native Chicken Breed using the Diallel Cross-Mating Test)

  • 손시환;최은식;김기곤;박병호;추효준;허정민;오기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69-80
    • /
    • 2021
  • 본 연구는 생산능력이 우수한 신품종 토종 종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주)한협원종이 보유한 원종계(GPS) 4개 계통 934수를 이용하여 4 × 4 이면교배조합(diallel cross-mating) 검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검정 형질로서 외모 형태, 생존율, 체중, 초산일령, 난중 및 산란율을 대상으로 조합별 생산능력, 조합가, 결합능력 및 상반교잡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배조합 개체들의 깃털 색은 황갈색 및 적갈색과 이들 색 간의 혼합 양상을 나타내었다. 전체 조합의 평균 생존율은 86.8±12.3%이고, YH 조합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생존율의 조합가는 특정결합능력이 일반결합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HY의 특정결합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체중의 경우, 16개의 교배 조합이 유전적 특성에 따라 세 그룹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주령 체중의 교배조합별 조합가는 계통별 일반결합능력이 두 계통 간의 특정결합능력보다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FH 조합에서 가장 높은 조합가가 추정되었다. 산란 형질에 있어 전체 교배조합구의 평균 초산일령은 157일로서 교잡 구가 순계 구보다 빠른 성 성숙을 보였다. 전체 조합의 평균 일계산란율은 69.0±10.9%로서 이들 중 SY 조합이 가장 높은 산란율을 보였다. 산란율의 일반결합능력과 특정결합능력의 추정 범위가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교배조합 간 특정결합능력은 HS 및 FY 조합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반교잡 효과는 대부분의 조합에서 S와 Y를 모(母)로 사용하였을 때 자손들의 산란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신품종토종닭 종계로써 부계는 체중이 우수하면서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양호한 FH나 HF 조합이, 모계는 산란능력이 우수하며 적절한 체중을 지닌 FY, FS, HY 및 SY 조합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산란계에 있어서 가금티푸스 저항성 계통의 산란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Egg Production among Crossbreds with Resistance to Fowl Typhoid in Egg Type Chickens)

  • 오봉국;한성욱;김기석;한경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03
  • 본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시 품종으로 국내 산란계 품종중 우수계통으로 ISA 계통 White와 Brown P.S, Hyline 계통 White와 Brown P.S와 Lohman 계통 White와 Brown P.S 등 6개 계통을 선발하여 우량교배조합구를 구성하고 대조구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널리 사육하는 품종 ISA Brown CC. Hyline Brown CC와 Lohman Brown CC 3계종과 우량교배 조합구 6구를 공시하여 산란성에 대한 시험을 실시한바 성적은 다음과 같다. (1) 생존율에 있어서 육성율(0~l7주) 99.95%, 성계생존율 (18~72주) 91%로 시험구와 대조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시산일령은 평균 147~148일로 시험구, 대조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3) 18~72주령 산란율에서 시험구는 83.76%, 대조구는 77.82%로 시험구 산란율이 약 6%가 높아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산란지수에 있어서도 시험구 평균 산란지수는 18~72주시까지 292.33개이고 대조구는 271.31개로 시험구가 21개 더 생산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산란량에서도 18~72주시까지 시험구는 18.83kg, 대조구는 16.48kg으로 시험구가 2.35kg 더 많은 생산을 하였고 유의하였다. (6) 난중에 있어서도 30주령시, 72주령시 모두 시험구 난중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무거웠다. 18~72주시 평균난중에 있어서 시험구는 64.32g이고 대조구는 60.73g로서 시험구가 3.59g 만큼 더 무거웠으며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 (7) 사료요구율에 있어서 18~72주시 시험구는 2,297인데 대조구는 2,454로서 시험구가 계란 I1kg 생산에 사료 157g 만큼 절약되었으며 유의성이 있었다. (8) 난질조사에 있어서 산란말기인 72주령시 성적을 보면 시험구 H.U는 82.20이고 대조구는 77.82로서 시험구 계란이 4.38 H.U만큼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난황색, 난각두께에 있어서는 시험구와 대조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9) 난각색에 있어서는 시험구 난각색이 백색란과 갈색란의 중간에 속하는 연갈색 난각을 나타내며 소비자 기호도가 낮은 편이었다. (10) 체중에 있어서 육성기 8주령시, 12주령시, 18주령시까지 시험구와 대조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산란기 42주령시, 72주령시 체중에 있어서도 두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서울대학교 신입생의 폐결핵 유병률 추이에 대한 연구 (Trend of Preval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Among Seoul National University Freshmen)

  • 김동완;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윤용범;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495-502
    • /
    • 1998
  • 연구배경: 결핵유병률은 사회경제적 여건과 갚은 관련성을 가지지만 국내에서 특정 사회집단에서의 결핵유병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신입생이라는 특정 집단에서 지난 10년간의 유병률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 법: 1988년에서 1997년까지 서울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흉부방사선 소견상 활동성 폐결핵의 유병률을 조사하여 이를 본 연구보다 10년 전에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대학신입생에서의 유병률 보고와 비교하고, 전국민결핵실태조사결과 중 동일연령군의 유병률과 비교하였다. 결 과: 지난 20년간 서울대학교 신입생의 결핵유병률은 1977년 2.5%, 1980년 1.7%, 1985년 0.6%, 1990년 0.25%, 1995년 0.07% 로 꾸준하게 감소하였다. 이를 동일연령 일반인구와 비교했을 때 1985년, 1990년은 서울대학교 신입생에서 유의하게 유병률이 낮았으나 1995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서울대학교 학생의 결핵유병률은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이를 동일연령 전국 유병률과 비교하면 점차 두군의 유병률이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반적인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Dietary Non-phytate Phosphorus Levels on Egg Production, Shell Quality and Nutrient Retention in White Leghorn Layers

  • Panda, A.K.;Rao, S.V.Rama;Raju, M.V.L.N.;Bhanja, S.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8호
    • /
    • pp.1171-1175
    • /
    • 2005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28 to 44 weeks) to study the laying performance, shell quality, and nutrient retention of White Leghorn layers fed different levels of non-phytate phosphorus (NPP). Six levels of NPP (0.15, 0.18, 0.21, 0.24, 0.27 and 0.30%) at a constant calcium (Ca) level (3.5%) in maize-soya-deoiled rice bran based diets were formulated, and each experimental diet was offered ad libitum for 16 weeks to five replicates with five birds in each replicate. The body weight of WL layers fed diet containing 0.15% NPP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ose fed diet with 0.30% NPP, at 44 weeks of age. However, the hen day egg production, egg weight, daily feed intake and feed consumed per dozen eggs were not influenced by the variation in the NPP levels in the diet. The bone ash conten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birds fed 0.30% NPP as compared with those fed diets up to 0.24% NPP. Bone ash content was intermediate in the birds fed diet containing 0.27% NPP. The tibia strength followed the same trend as that of bone ash. Dietary NPP content had no influence on serum Ca and protein concentration and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However, serum inorganic P concentration increased linearly with NPP content in the diet. The concentration of P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birds fed 0.27% NPP or higher as compared with those fed 0.15% NPP. Levels of dietary NPP had no influence on egg quality parameters like shell wt, shell thickness, shell strength and specific gravity. The retention of nutrients such as DM, N and Ca were comparable among the WL layers fed different levels of NPP. However, the retention of P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e in the level of NPP in the diet. The retention of P in the birds fed diets up to 0.24% NPP in the diet was comparable, however further increasing the content of NPP (either 0.27% or 0.30%) reduced the retention of 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0.15% NPP (180 mg/b/d) in the diets of WL layers is adequate for optimum production performance during 28 to 44 weeks of age, however, WL layers require 0.27% NPP (324 mg /b/d) in the diet for optimum production with better bone mineralization.

닭의 인공수정에 있어서 적정주입간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Interval between Inseminations in Artificial Insemination)

  • 이재근;송해범;이상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42
    • /
    • 198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interval between inseminations in artifical insemination of hens. Two hundred and forty hens of Hisex commercial stock at 25 weeks of age and 20 cocks of the Rhode Island Red at 40 weeks of age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and a total of 6,784 eggs were obtained. The intervals between inseminations compared in this study were: 3 days (T1), 5 days (T2), and 7 days(T3). Mixed raw semen was inseminated and the semen does was 0.03ml per insemination per hen. The inseminations were conducted at 15:00 at each time. The total number of insemination performed was 9 for the T1, 6 for the T2 and 5 for the T3, and eggs were collected over a period of 31 days, 32 days and 35 dyas, respectively. The average egg production of the hens during the experiment was 85.9% and the average temperature during the experiment was around 30$^{\circ}C$. The average sperm count was 3.69 billion per ml.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ertility ove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bythe treatment was 91.7% for the T1, 84.4% for the T2, and 75.2% for the T3. The difference between T1 and T3 in fertility was significant at 5% level. The average fertility o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day after the insemination in the T2 and T3 was maintained at a relatively high level, but it tended to decline rapidly from the fifth day after the insemination. The average fertility for one week after the last insemination was 88.8% for the T1, 88.8% for the T2 and 78.6% for the T3, and none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o adjust the insemination intervals within the range from the 3 to 5 days in order to maintain a highest level of fertility in the hens at an early stage of egg production as in the case of the hens used in this experiment. An insemination interval of 3 days is recommended, especially at an initial stage of insemination. For the hens with a low fertility, shortening, of the insemination interval to 3 or 2 days is desirable.

  • PDF

Effect of Scavenging and Protein Supplement on the Feed Intake and Performance of Improved Pullets and Laying Hens in Northern Vietnam

  • Minh, Do Viet;Lindberg, Jan Erik;Ogle, Bri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1호
    • /
    • pp.1553-1561
    • /
    • 2004
  • Two feeding trials were conducted with 128 pullets from 4 to 20 weeks of age and 96 laying hens from 23 to 63 weeks of ag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cavenging and type of protein supplement on the feed intake and performance of improved pullets and laying hens. The experiments had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four dietary treatments and four replicates. Treatments were: Control (Cont), scavenging but with access to a balanced concentrate at night; confinement (CF) and given the control feed ad libitum; scavenging and supplemented at night with the control feed, but with soybean meal replaced by cassava leaf meal (CLM); scavenging and supplemented at night with the control feed, but with fishmeal replaced y soybean meal (SBM). The mean daily dry matter (DMI), metabolizable energy (MEI) and crude protein intakes (CPI) of the pullets and laying hens, respectively, were 28%, and 18% higher for the confinement treatment (CF) compared to the scavenging treatments (p<0.001). The DMI, MEI and CPI of the pulle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cavenging treatments (p>0.05), but for the layers DMI, MEI and CPI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LM and SBM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 treatment (p<0.001). In the growing period, the average daily weight gain (ADG), supplement feed conversion ratio (FCR) and supplement feed cost/kg eggs (F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CF compared to Cont, and among scavenging treatments (p>0.05). In the laying period, the hen-day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and supplement FCR and FC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F compared to the scavenging treatments (p<0.001). Egg weight, and yolk, albumen and shell percentage and shape ind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cavenging treatments (p>0.05). However, shell and yolk percentage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CF compared to the Cont treatment (p<0.01). Mort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F compared to the scavenging treatments for pullets, and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CF compared to scavenging treatments for laying hens (p<0.001). It was concluded that scavenging pullets and layers were getting around 28% and 18%, respectively, of their nutrient requirements from scavenging activities, resulting in correspondingly lower supplement feed conversion ratios and feed costs. Daily gains of the pullets were not affected by scavenging or protein supplement, but egg production and mortality were lower for the confined hens.

성 감별 유전자를 도입한 다산계계통 신품종 육종에 관한 연구 I. 반생유전계통 조성 (Breeding of New Synthetic Egg Production Line in Domestic Chicken by Intlroducing Sex Linked Gene. I. Production of the Autosexing Breed)

  • 오봉국;손시환;이정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3-123
    • /
    • 1992
  • 본 연구는 반성은색유전자(S:silver gene)를 도입하여 성 감별용 산란종계 계통으로 육성하여 이를 모계통으로 이용함으로서 깃털에 의한 자웅감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잡종강세를 이용한 우수실용계를 작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암수 감별용 계통 조성을 위하여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백색 실용계 수컷(Z$^{s}$ Z$^{s}$ ) 및 갈색 실용계 암컷(Z$^{s}$ W)을 이용하여 이들 중 우수개체를 선발하여 교잡시킴으로서 생산된 개체중 유전적 조성이 은색유전자를 동형(homo)으로 가진 개체들을 모계통으로 육성하고, 부계통 조성을 위하여서는 갈색유전자를 동형으로 가진 개체를 선발 육성하므로서 감별의 원종계를 작출하였다. 이들 조성된 계통을 이용하여 생산능력이 우수한 계통으로 육종하기 위하여 폐쇄군 육종방법(clossed flock breeding)을 사용하였다. 합성종 계계의 산란능력 검정 결과 60주령까지의 산란기록에 근거한 주요 경제능력은 초산 일령 161일, 60주령시 산난수 219개, 산난율 84% 평균난중 61g으로 외국에서 수입되는 우수종계에 버금가는 성적을 나타내었다. 또한 깃털에 의한 자웅감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산난능력도 우수한 실용성 있는 암수 감별용 합성종을 육성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합성종 계통의 유전분석 결과 이들의 유전모수가 정상집단의 유전모수와 유사한 추정치를 보임으로서 특정계통 조성을 위한 선발에 기인된 유전변이의 변화는 거의 없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