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 dating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9초

신두리 지역의 고사구(古砂丘)에 대한 OSL 연대 측정 (A Luminescence Dating for a Relict Dune from the Sindu Dunefield)

  • 서종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4-122
    • /
    • 2005
  • 태안반도 신두 해안사구지대의 중앙부에서 고사구층으로 판단되는 퇴적물의 퇴적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OSL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조사 지점 최하부에서의 사구사 퇴적은 대략 680$\sim$730년 전으로, 1.5m 깊이에서는 480$\sim$610년 전으로 나타났다. 반면 1.3m부근의 암갈색 퇴적층을 사이에 두고 1.2m 깊이 퇴적층에서의 산출연대는 123$\sim$151년 전으로, 최상부 퇴적물의 연대는 약 68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구 표면으로부터 1.5m와 3m 깊이에서 채취한 두개의 시료는 200년 정도의 연대 차이가 있다. 이에 의하면 사구사의 집적율은 연간 약 0.75cm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연대를 추정한 사구사 퇴적층은 1개 지점에 불과하지만, 이를 토대로 볼 때, 지난 1,000년간 상당한 양의 사구사가 퇴적되었거나 재이동되었고, 적어도 한번의 토양화과정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지금까지 플라이스토세나 홀로세 초기로 알려진 고사구층의 형성 연대에 대한 연구가 다시 시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남한(南韓)의 신기화강암류(新期花崗岩類)의 관입시기(貫入時期)와 지각변동(地殼變動) (Study on the Intrusion Epochs of Younger Granites and their Bearing to Orogenies in South Korea)

  • 김옥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4권1호
    • /
    • pp.1-9
    • /
    • 1971
  • The "Younger Granites" in Korea were being believed to be late Cretaceous in age and named "Bulkuksa granites" by all previous works until the writer had discovered Jurassic granite in 1963. The present paper is to prove its validity by age dating on these granites which was carried out by Professor Y. Ueda, Tohoku University, Japan. The age of 37 granites samples from various localities ranges from 68 my to 181 my. Of these 10 samples belonged to early Jurassic, 6 samples to mid-Jurassic, 4 samples to late Jurassic, 5 samples to early Cretaceous, and 12 samples to late Cretaceous in age. It is of the writer's opinion that the granites intruded in from early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age belong to Daebo granites and are syntectonic plutons associated with Daebo orogeny, and only those of late Cretaceous age belong to Bulkuksa granites that were associated with Bulkuksa disturbance. Daebo granites are aligned along NE-SW Sinian direction in the middle parts of Korea and crop out in the cores of folded mountains which were formed by Daebo Orogeny, such as Charyong, Noryong, Sobaek, and Dukyu Ranges. On the contrary Bulkuksa granites are restricted in Kyongsang basin and adjacent few localities in distribution and show no alignment. Granites supposedly associated with other disturbances of post-precambrian Have not been found so far in S. Korea. Age dating of granites has revealed that Daebo orogeny might be continuous from Songrim distur bance of late Triassic age. From this viewpoint, it could be assumed that Daedong system of Jurassic age were deposited in separate intermontain basins while Daebo orogeny was active, so that Daedong system in separate localities in Korea could not been correlated in their lithology as well as stratig raphy.

  • PDF

청송 구암산 칼데라 화산암류의 SHRIMP U-Pb 연령측정과 화산과정 (SHRIMP U-Pb Dating and Volcanic Processes of the Volcanic Rocks in the Guamsan Caldera, Cheongsong, Korea)

  • 황상구;조인화;이기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6호
    • /
    • pp.467-476
    • /
    • 2017
  • 구암산 칼데라는 청송 남동부에 나타나며, 이 칼데라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지질은 규질 화산암류이고 화산각력암, 구암산응회암과 함몰후 관입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SHRIMP를 이용하여 저어콘 U-Pb 연령측정을 실시함으로서 화산암류의 분출시기, 관입시기와 칼데라 형성시기를 확실하게 하였다. 측정결과에 의하면 구암산응회암은 하부 회류응회암이 $63.77{\pm}0.94Ma$, 상부 회류응회암이 $60.1{\pm}1.8Ma$의 분출시기, 함몰후 관입체의 환상 유문암맥은 $60.65{\pm}0.95Ma$의 관입시기를 나타낸다. 이 자료에 의하면 구암산 칼데라는 구암산응회암의 상부 회류응회암 분출 직후, 환상암맥 관입 직전의 60.65~60.1 Ma 무렵에 형성되었음을 암시해준다. 구암산 칼데라 지역에서는 63.77~60.1 Ma 기간에 회류분출-칼데라함몰-환상관입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완벽한 칼데라윤회를 거치는 화산과정을 나타낸다.

탄뎀가속기에 의한 방사성탄소 년대측정과 한국해에의 적용 (Radio-Carbon Age Determination by Tandem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The Korean Sea)

  • Suk, Bong-Chool;Toshio Nakamura;Nobuyuki Nakai;Asahiko Taira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40
    • /
    • 1990
  • 탄뎀가속기에 의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은 한국남해 및 남동해의 해저로부터 25개의 화석종 조개와 1개의 피트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특히 AMS기술은 종래의 C-14측정방법에 비해 양적으로 수밀리그램의 원소태탄소만으로써 충분히 측정가능하다. 본고는 자체 제작한 분석라인에 의한 전처리방법 및 분석과정을 기술하고, 한국남해 및 남동해에 대한 후기경신세의 해수면변동사에 대하여 고찰한다. 측정결과년대는 -530$\pm$100년에서 3,500년 이상의 범위로 본해역의 퇴적상은 후기경신세 이후의 해수준변동에 의한 복잡한 퇴적환경을 시사한다.

  • PDF

백령도 가을리에 분포하는 고(古)해안사구층의 특성과 형성 시기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nd Depositional Ages of Paleo-sand Dunes in Gaeul-ri, Baengnyeongdo Island)

  • 신원정;김종연;이재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47-64
    • /
    • 2020
  • The Baengnyeongdo-island, located at the northernmost point of the west coast, has developed several coastal landforms. Although the coastal landforms of Baengnyeongdo-island are widely used as a tourism resource, a lot of academic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particle size analysis, XRF, and OSL age dating were performed on the BR sandy deposits to find out the formation of coastal sand dunes on Baengnyeongdo-island. Bas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BR section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BR-A, BR-B and BR-C. First, about 56ka, which corresponds to the MIS 3, fine sand was deposited and forms the BR-C section. Second, the BR-B which located middle part of BR section, showed reversed age stratigraphy. The BR-B was interpreted as reworked sediments based on sedimentary facies and chemical weathering intensity. And, the BR-A composed of fine and medium sands was formed in middle Holocen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inds out the paleo sand dunes formed in Pleistocen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coastal sand dune development on the west coast.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도입된 K-Ar 연대 측정시스템: 개요 및 성능 (New K-Ar dating system in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Summary and Performance)

  • 김정민
    • 암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2-178
    • /
    • 2001
  • 1997읜 이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K-Ar 연대 측정 시스템이 도입되어 현재 이용중이다. 이 시스템은 흑연전기로, 가스 전처리 장치, 질량분석기와 자료획득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K-Ar연대 측정은 $^{38}$ Ar을 스파이크로 이용하는 동위원소 희석법에 의한 정밀한 Ar 농도 측정과 원자흡광분석을 통한 K 정량분석에의해 이루어진다. 연대가 잘 알려진 K-Ar 연대측정용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정밀성과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백만년 이하의 연대를 갖는 시료의 경우 질량분석기의 감도와 질량차별지수의 미약한 변화에도 큰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연대 측정이 곤란하나 중생대 및 제 3기의 K-Ar 연대를 갖는 표준시료의 연대를 측정했을 때, 믿을 만한 결과를 내고 있다. $92.6\pm$0.6 Ma의 연대가 알려진 SORI93혹운모의 경우 92.1$\pm$1.1 Ma의 연대를 얻을 수 있었고, $18.5\pm$0.6 Ma의 Bern4M 백운모는 권고치와 유사한 $17.8\pm$0.2 Ma의 연대를 얻을 수 있었다. .

  • PDF

한국의 육상에서 발견되는 광역테프라층의 지질학적 활용과 한계 (Geological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Regional Tephra Layers in Terrestrial Deposits in Korea)

  • 김정빈;김영석;임현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80-690
    • /
    • 2022
  • 테프라연대학은 광역테프라를 연대측정과 층서대비에 이용하는 연구이다. 광역 테프라층은 층서적 건층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4기지질학과 고고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논평에서는 테프라의 동정 방법과 연대측정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한반도의 육상퇴적층에서 발견되는 광역테프라층의 종류와 산출 특성에 대해 정리하였고, 광역테프라층의 지질학적 활용 방법과 한계점에 대해서도 토의하였다. 지금까지 한반도 육상의 고토양층, 해안단구 퇴적층, 호수퇴적층에서는 일본 큐슈 기원의 AT와 Ata, Kb-Ks 테프라가 발견되었다. 또한 공식적으로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Aso-4 테프라도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광역테프라층은 제4기 퇴적층, 특히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의 범위를 넘는 5만년 이상 퇴적층의 연대측정과 층서대비에 유용하며, 활성단층의 연대측정과 화산재해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테프라층을 지질학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퇴적학적 연구를 통해 일차퇴적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일라이트 폴리타입: 그 특성과 단층 활동연대 결정에의 활용 (Illite Polytyp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pplication to the Fault Age Determination)

  • 송윤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2호
    • /
    • pp.181-188
    • /
    • 2012
  • 일라이트에서 적층방식을 달리하여 나타나는 폴리타입은 대부분 1M과 $2M_1$이며, 적층 Disordering에 따른 $1M_d$ 또한 흔히 관찰된다. 본 해설에서는 일라이트의 폴리타입을 구분하고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광물학적 이론적 근거와 방법을 소개하고, 소규모 열수환경에 준하는 단층대 내 생성시기 및 조건을 달리하는 일라이트 폴리타입 혼합물에의 적용을 통한 단층 활동 및 재활동연대 결정에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단층연대해석의 정확도와 신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층암 대상시료 내 일라이트 폴리타입의 생성환경에 대한 정보, 동정 및 광물학적 특성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WILDFIRE(C)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정량분석에서, $1M_d$ 폴리타입의 Disordering 정도 및 I/S 광물의 팽창도에 기인한 (hkl) 회절선들의 Broadening 효과 등 일라이트 폴리타입 정량분석법의 오차요인을 최소화시키는 하기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베이지안 통계학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주거지내 화덕자리들의 광자극발광(OSL) 연대 결정 (OSL Age Determination of the Hearths in a Bronze Age Dwelling Site by using Bayesian Statistics)

  • 김명진;양혜진;홍덕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52-58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소골 유적 29호 및 29-1호 주거지 내부에 사용 시기를 달리하여 존재하는 3개의 화덕자리에 대한 광자극발광(OSL)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연대측정에 앞서 석영 시료의 자연 OSL 신호 관찰 및 절대영년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OSL 신호는 광이온화 단면적이 커 열과 빛에 매우 민감한 fast 성분만으로 이루어졌으며 청동기인들의 일반적인 난방 및 취사 온도인 $300^{\circ}C$ 이하에서도 완벽히 절대영년 됨을 알 수 있었다. 각 시료의 고고선량은 단일시료재현법을 적용한 재현성 평가와 플래토우 평가로부터 산출되었고, 이를 연간선량율로 나누어 OSL 연대를 결정하였다. 이후 산출된 OSL 연대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발굴조사를 통해 파악된 화덕자리의 사용 시기와 각 화덕자리의 OSL 연대를 베이지안 통계에 적용한 결과, 개별 화덕자리의 사용 및 폐기 시점에 대한 높은 정밀도를 갖는 OSL 연대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Early overcounting in otoliths: a case study of age and growth for gindai (Pristipomoides zonatus) using bomb 14C dating

  • Andrews, Allen H;Scofield, Taylor R.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호
    • /
    • pp.53-62
    • /
    • 2021
  • Gindai (Pristipomoides zonatus) is one of six snappers in a management complex called the Deep 7 of the Hawaiian Islands. Little is known about its life history and a preliminary analysis of otolith thin sections indicated the species may exhibit moderate growth with a lifespan approaching 40 years. Preliminary age estimates from the previous study were reinvestigated using the same otolith sections in an attempt to validate those ages with bomb radiocarbon (14C) dating. From the misalignment of birth years for the otolith 14C measurements with regional references - the post-peak bomb 14C decline period - it was concluded that previous ages were inflated from overcounting of the earliest growth zone structure in otolith sections. The oldest gindai was re-aged to 26 years once the age reading was adjusted for early overcounting, 13 years younger than the original estimate of 39 years for this fish. In general, the earliest otolith growth of gindai was massive and complicated by numerous subannual checks. The approach of lumping the early growth structures was supported by the alignment of 14C measurements from otolith core material (first year of growth). The result was greater consistency of calculated birthdates with the 14C decline reference, along with minor offsets that may indicate age estimation was imprecise by a few years for some individuals. The revised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applied to the validated age-at-length estimates revealed more rapid growth (k = 0.378 cf. 0.113) and a lifespan of approximately 30 years. The findings presented here are a case study of how the bomb 14C decline period can be used as a tool in the refinement of age reading protoc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