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L Age Determination of the Hearths in a Bronze Age Dwelling Site by using Bayesian Statistics

베이지안 통계학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주거지내 화덕자리들의 광자극발광(OSL) 연대 결정

  • Kim, Myung-Jin (Center for Applied Radiation Research, Neosiskorea Co. Ltd.) ;
  • Yang, Hye-Jin (Ecavation Research Team 2, Baekje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
  • Hong, Duk-Geun (Department of Phys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명진 ((주)네오시스코리아 방사선응용연구센터) ;
  • 양혜진 ((재)백제문화재연구원 조사2팀) ;
  • 홍덕균 (강원대학교 물리학과)
  • Received : 2011.02.16
  • Accepted : 2011.04.0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OSL dating for three hearths having the sequence of use and discard in No. 29 and 29-1 dwelling sites at Sogol cultural site was carried out. Resulting from the deconvolution of natural CW-OSL decay curve and thermal zeroing test, it was turned out that OSL signal was entirely composed of the heat- and light-sensitive fast component with high photoionization cross-section and all quartz OSL signals were thermally bleached under $300^{\circ}C$ which is the minimum temperature related to heating and cooking in Bronze age. After dose recovery test and plateau test, paleodose of each hearth sample was evaluated by using SAR method, and OSL age was determined from the ratio of paleodose to annual dose rate. For the purpose of the precision improvement of OSL age, Bayesian statistics was applied to each hearth's age and the archaeological sequence information. Finally, it could be concluded to the accurate use period of each hearth from the resultant OSL ages.

이 연구에서는 소골 유적 29호 및 29-1호 주거지 내부에 사용 시기를 달리하여 존재하는 3개의 화덕자리에 대한 광자극발광(OSL)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연대측정에 앞서 석영 시료의 자연 OSL 신호 관찰 및 절대영년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OSL 신호는 광이온화 단면적이 커 열과 빛에 매우 민감한 fast 성분만으로 이루어졌으며 청동기인들의 일반적인 난방 및 취사 온도인 $300^{\circ}C$ 이하에서도 완벽히 절대영년 됨을 알 수 있었다. 각 시료의 고고선량은 단일시료재현법을 적용한 재현성 평가와 플래토우 평가로부터 산출되었고, 이를 연간선량율로 나누어 OSL 연대를 결정하였다. 이후 산출된 OSL 연대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발굴조사를 통해 파악된 화덕자리의 사용 시기와 각 화덕자리의 OSL 연대를 베이지안 통계에 적용한 결과, 개별 화덕자리의 사용 및 폐기 시점에 대한 높은 정밀도를 갖는 OSL 연대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itken MJ. An Introduction to Optical dat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998.
  2. Huntley DJ, Godfrey-Simth DI, Thewalt MLW. Optical dating of sediments. Nature 1985;313: 105-107. https://doi.org/10.1038/313105a0
  3. 김명진, 홍덕균. 한국 중부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의 광 여기 루미네선스를 이용한 연대측정. 보존과학회지 2004;16:5-14.
  4. 김명진, 홍덕균. Pre-dose effect를 이용한 고고학 시료 의 연대측정.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005; 18:329-337.
  5. 김명진. 단일입자 재현법을 이용한 고고학 시료의 광 여기 루미네선스 연대측정. 錦江考古 2005;2:153-170.
  6. 김명진. 극세립 석영(63-125${\mu}m$)을 이용한 천안 청당동 구석기 유적 고토양층의 OSL 연대측정. 錦江考古 2006; 3:189-204.
  7. 김명진, 송기웅, 이찬희, 장성윤, Isao Takashima, 홍덕균. 감쇄기법(subtraction method)을 이용한 백제 무령왕릉 관련 전(塼)의 연대결정.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007;20 508-515.
  8. 양혜진, 이정호. 공주 당암리 소골 유적. 제22회 호서고고학회 학술대회 2010.
  9. Fleming SJ. Thermoluminescence dating: refinement of the quartz inclusion method. Archaeometry 1970;12:133-147. https://doi.org/10.1111/j.1475-4754.1970.tb00016.x
  10. Spooner NA, Aitken MA, Smith BW, Franks M, McElroy C. Archaeological dating by infrared stimulated luminescence using a diode array. Radiat. Prot. Dosim. 1990;34:83-86.
  11. Botter-Jenson L, Bulur E, Duller GAT, Murray AS. Developments in radiation, stimulation and observation facilities in luminescence measurements. Radiat. Meas. 2003;37:535-541. https://doi.org/10.1016/S1350-4487(03)00020-9
  12. 김용대, 박흥선, 신기일, 신민웅, 이상은. 베이지안 통계학. 제1판. 서울; 자유아카데미, 2000.
  13. 김명진, 이성준, 박순발, 홍덕균. 베이지안 통계학(Bayesian statistics)을 이용한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可樂洞 類型의 연대 고찰, 한국상고사학보 2005;47: 37-57.
  14. Bailey RM, Smith BW, Rhodes EJ. Partial bleaching and the decay form characteristics of quartz OSL. Radiat. Meas. 1997;27:123-135. https://doi.org/10.1016/S1350-4487(96)00157-6
  15. 음식고고연구회. 취사실험의 고고학. 서울; 서경문화사, 2011.
  16. Murray AS, Wintle AG. The single aliquot regenerative dose protocol: potential for improvements in reliability. Radiat. Meas. 2003;37: 377-381. https://doi.org/10.1016/S1350-4487(03)00053-2
  17. Nambi KSV, Aitken MJ. Annual dose conversion factors for TL and ESR dating. Archaeometry 1986; 28:202-205. https://doi.org/10.1111/j.1475-4754.1986.tb00388.x
  18. Prescott JR, Stephan LG. Contribution of cosmic radiation to environmental dose. PACT 1982;8: 205-213.
  19. Zimmerman J. The radiation-induced increase of thermoluminescence sensitivity of fired quartz. J. Phys. C: Solid State Phys. 1971;4:3277-3291. https://doi.org/10.1088/0022-3719/4/18/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