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ter-school

검색결과 26,948건 처리시간 0.049초

초등학교 나이스 방과후학교 시스템의 효과분석 (An Effectiveness Analysis of Elementary NEIS After-school System)

  • 한재동;김갑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89-98
    • /
    • 2013
  • 2011년부터 방과후 학교 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나이스 방과후학교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재 운영중인 나이스 방과후 시스템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방과후 학교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정착할 필요가 있다. 2012학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 관내 11개 교육지원청 소속의 273개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담당교사 273명에게 설문을 의뢰하여 116명의 교사가 참여하였다. 나이스 방과후학교 시스템의 효과 분석에서는 업무처리시간(M=3.92)에 대해 가장 불만이 높았고, 다음으로 서류감축(M=3.82), 업무의 효율성(M=3.81), 업무의 정확성(M=3.76) 순으로 불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생 교사제의 효과 분석: 사범대학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The Effect of Teaching Experience in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 주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3호
    • /
    • pp.295-313
    • /
    • 2006
  • University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sought for ways of how to improve student teaching in order to supply mathematics teachers with practical theory to achieve the goals of the current educational reform in school mathematic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in the after-school mathematics programs and the ways of how to develop the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as an effective site for learning to teach based on the inquiry into student teachers' own teaching experience. For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student teachers who had taught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class observation, and seminal meetings with the student teachers in order to supplement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 analysis. Data analysis focused on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with teaching in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es, that is, what and how they had learned as teachers, what kinds of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in their teaching and supports that they expect to improve their learning through teaching.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in the after-school programs had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ir development as future mathematics teachers. Specifically,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 the site for learning through teaching at the early sta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the students teachers fo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peripherally in educational practice of school. Through the participation, the student teachers develop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eaching career and became to have more solid ideas about how to teach mathematics.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search provides following suggestions concerning how to improve student teaching.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 teachers to participate into the practice of teaching at the early sta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Second, it is important to give students teacher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eaching at peripheral and legitimate positions.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mentoring networks to support student teachers to move from a peripheral position toward a center of teaching practice.

  • PDF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차이 (Differences in After School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and the Degree of Learning Flow of After School in Middle School Student)

  • 신현아;장윤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499-511
    • /
    • 2011
  • 본 논문은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면서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1,2,3학년 382명이며, 조사도구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수강한 방과후학교 수업의 일반적 특성, 그리고 학습몰입 척도와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사용한 결과 방과후학교 특기 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지도교사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몰입 정도가 높은 중학생들이 학습몰입 정도가 낮은 중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교육과정, 지도교사, 교육시설만족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몰입 정도가 높은 중학생들에 있어서는 특기 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이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보다 방과후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시설만족도가 높았으며, 학습몰입 정도가 낮은 중학생들에 있어서는 교과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특기 적성수업을 수강한 중학생들 간에 방과후학교 교육과정과 교육시설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방과후학교 수학교육에 대한 수학교사들의 인식 (A survey on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 of after-school mathematics education)

  • 도종훈;박윤범;박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93-1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행 방과후학교 수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요구, 문제점 인식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는데, 무엇보다 교사들이 만족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프로그램 특히, 교육과학기술부, 지역 교육청, 혹은 수학교육 관련 교육 및 연구 기관 등의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고, 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으며, 전문성을 갖춘 외부강사의 확충 방안 및 방과후학교 수학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예체능 방과후 교육프로그램의 질과 아동의 정서조절 및 사회적 능력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Focused on Artistic-Physical Activities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 전은경;최보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33-48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focused on artistic-physical activitie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224 elementary school children (1st through 6th grades) and 41 teachers. The measures were questionnaire(after-school activities),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school-age), the Emotional Regulation Scale. and the Social Competen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 frequency, percentile, mean, and t-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Children in a higher group of curriculum quality and interaction with teacher had better emotional regulation than did children in a lower group. Children in a higher group of curriculum quality and scheduling had better social competence(leadership and competence) than did children in a lower group.

방과후 방치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fter-School Self-Care on Children's Development)

  • 이봉주;조미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6호
    • /
    • pp.7-27
    • /
    • 2011
  • 본 연구는 방과후 방치 정도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자료로는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차년도와 4차년도 아동 부가조사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기간의 방과후 방치 정도가 중학교 기간의 학업성취도,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비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방과후 방치 정도는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내재화 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과후 방치 정도가 클수록 학업성취도는 감소하고 내재화 문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과후 방치의 영향은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아동특성, 부모 및 가구 특성뿐 아니라 과거의 아동발달 정도를 통제하고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방과후 방치가 학업성취도와 아동의 정서 중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방과후 방치 아동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때 양적인 확대도 중요하지만 단순한 보호와 돌봄의 차원을 넘어선 아동발달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방과 후 돌봄 교실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 요구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mother's perception and policy demands for after school care classes)

  • 이재희;김대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93-300
    • /
    • 2020
  •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방과후 돌봄교실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인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경기, 인천, 강원에 있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5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6월 23일부터 2017년 7월 18일까지 포커스그룹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어머니가 바라보는 방과후 돌봄교실의 현실'과 '어머니의 방과후 돌봄교실에 대한 정책적 요구'로 분석하였다. '어머니가 바라보는 방과후 돌봄교실의 현실'은 '전반적인 방과후 돌봄교실의 수준이 낮음', '로또같은 선정확률', '교사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교육의 질', '돌봄교실에 다니는 아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제시하였다. '어머니의 방과후 돌봄교실에 대한 정책적 요구'는 '사고육의 대체제로 자리매김하기', '학부모 기대와의 괴리감 개선', '돌봄 대상 선정자의 확대', '탄력적인 운영에 대한 요구'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방과후 돌봄교실이 돌봄 기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방과후 돌봄교실의 수준별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방과후 돌봄교실이 사교육의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부모의 현실적인 요구를 반영하여야 한다.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조사 (Surve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appiness)

  • 조성연;신혜영;최미숙;최혜영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9-144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appiness by gender and grade and by attendance in after-school programs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Participants were 3,608 children in Korean provincial areas except Jeju-do; they responded to the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and t-test. Results were (1) children's happiness level was high; girls' happiness level was higher than boys'. As they moved up in school grade, happiness level decreased. (2) Their attendance in after-school programs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decreased their happiness level in leisure and extra academic activity, but it increased happiness in school/community life and sibling relations. Conclusions were that reduction in the amount of children's after-school programming would increase children's happiness.

  • PDF

방과후학교에서 계약법 적용에 따른 대안 모색 (A Study On The Exploring Alternatives In After-School Program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ontract Law)

  • 정영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219-228
    • /
    • 2016
  •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민간위탁의 정책 변화과정을 조사하고, 향후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정책관련 연구 자료와 관련 법규를 문헌조사 하였다. 조사결과 2004년부터 2008년은 교육부에서 방과후학교 운영계획을 수립하였으나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자문)를 통해 단위학교의 자율로 민간위탁이 진행되었고, 2008년부터 2015년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에서 공동으로 제작한 '방과후학교 운영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표준화된 절차를 따르고 있었으며, 2016년 이후에는 방과후학교 민간위탁 시 계약법을 적용하도록 하는 등 정책 변화가 있었다. 2016년 이후의 정책 변화는 방과후학교 민간위탁의 투명성 확보 필요성과 함께 방과후학교 민간위탁 계약규모가 커지면서 계약법을 준수해야 하는 법적 필요성에 기인한다. 하지만 최저가 입찰방식으로 인해 방과후학교 교육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기초금액에서 일정비율 이상을 인건비로 지급하도록 하여 지나친 가격경쟁을 방지하는 대안을 제시하였지만, 본 논문에서는 보다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 방과후학교 교육활동 및 시도의 특수성을 담아내는 시도의 조례를 제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 후 3D CT 영상을 이용한 하악과두 위치변화 분석 (THE EVALUATION OF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MANDIBULAR CONDYLE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USING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 장정록;최근호;박영준;김방신;유민기;국민석;박홍주;유선열;오희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5호
    • /
    • pp.316-323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change of the condyle using 3D CT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Patients and methods: Nine patients who underwent BSSRO for mandibular set-back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facial asymmetry were examined. Miniplates were used for the fixation after BSSRO. 3-D CT was taken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6 months after undergoing BSSRO. After creating 3D-CT images using V-works $4.0^{TM}$ program, axial plane, coronal plane, & sagittal plane were configured. Three dimensional positional change, from each plane to the condyle, of the nine patients was measur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6 months after undergoing BSSRO. Results: 1. The mean value of mandibular set-back for nine mandibular prognathism patients was 7.36 mm (${\pm}\;2.42\;mm$). 2. In the axial view, condyle is rotated inward immediately after BSSRO (p < 0.05), comparing with preoperative but outward 6 months after BSSRO comparing with postoperative (p < 0.05). 3. In the axial view, condyle is moved laterally immediately after BSSRO (p < 0.05), comparing with preoperative but regressed 6 months after BSSRO comparing with preoperative (p > 0.05). 4. In the frontal & coronal view, there is changed immediately after and 6 months after BSSRO, comparing with preoperative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ree-dimensional positional change of the condyle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is observed lateral displacement & inward rotation immediate after BSSRO, but the condyle in 6 months after BSSRO tends to regress to preoperative position.